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a 총칭 구문 내에서의 전위 = La dislocation dans la construction de ca gener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0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 우리는 ça 총칭 구문 내에서의 전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 보았다.
      먼저, 우리는 전위를 전통적인 분석 도구 즉 중복과 강조 그리고 탈 중의화의 틀 내에서 살펴보았는데, 이들 모두 ça 총칭 구문을 온전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ça 총칭 구문에서 전위의 역할은 탈 중의화에 그치지 않고 다소간 잘못된 문장을 교정하는 데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미 효과들은 바로 명사구와 동사구간의 직접적인 관계의 분리에서 파생하는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3절에서 이러한 분리의 효과, 결과들을 살펴 보았다. ça 총칭 구문 내에서 전위 현상은 한정 명사구보다는 비 한정 명사구에서 더 큰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전위는 명사구를 통사적으로 분리시켜, 그 명사구가 직접적인 서술 관계에서 벗어나게끔 하기 때문이다. (명사구 자체의 한정 효과가 강하게 남아 있어, 술어에 덜 의존하는 한정 명사구에 비해) 술어에 보다 더 의존하는 비 한정 명사구의 경우, 전위는 즉각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즉 명사구의 지시 해석이 술어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명사구의 위치에 따른 전위 기능의 차이를 설명했다. 즉 좌 전위와 우 전위는 통사적으로 유사한 행태를 보이지만, 운율상이나 기능적 구조에서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좌 전위는 단절의 유무로 이분할 수 있는데, 단절이 있을 경우, 전위는 주제를 초점화 함으로써 강조의 기능을 한다. 단절이 없을 경우, 전위는 이와 같은 담화상의 효과가 없는, 단순히 기계적인 (전위의) 변이형일 뿐이다. 우 전위는 문 내부에서 기능하며, 주로 주제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 전위의 주요한 기능은 언술에 감정적인 성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 우리는 ça 총칭 구문 내에서의 전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 보았다. 먼저, 우리는 전위를 전통적인 분석 도구 즉 중복과 강조 그리고 탈 중의화의 틀 내에서 살펴보았...

      본 논문에서 우리는 ça 총칭 구문 내에서의 전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 보았다.
      먼저, 우리는 전위를 전통적인 분석 도구 즉 중복과 강조 그리고 탈 중의화의 틀 내에서 살펴보았는데, 이들 모두 ça 총칭 구문을 온전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ça 총칭 구문에서 전위의 역할은 탈 중의화에 그치지 않고 다소간 잘못된 문장을 교정하는 데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미 효과들은 바로 명사구와 동사구간의 직접적인 관계의 분리에서 파생하는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3절에서 이러한 분리의 효과, 결과들을 살펴 보았다. ça 총칭 구문 내에서 전위 현상은 한정 명사구보다는 비 한정 명사구에서 더 큰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전위는 명사구를 통사적으로 분리시켜, 그 명사구가 직접적인 서술 관계에서 벗어나게끔 하기 때문이다. (명사구 자체의 한정 효과가 강하게 남아 있어, 술어에 덜 의존하는 한정 명사구에 비해) 술어에 보다 더 의존하는 비 한정 명사구의 경우, 전위는 즉각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즉 명사구의 지시 해석이 술어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명사구의 위치에 따른 전위 기능의 차이를 설명했다. 즉 좌 전위와 우 전위는 통사적으로 유사한 행태를 보이지만, 운율상이나 기능적 구조에서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좌 전위는 단절의 유무로 이분할 수 있는데, 단절이 있을 경우, 전위는 주제를 초점화 함으로써 강조의 기능을 한다. 단절이 없을 경우, 전위는 이와 같은 담화상의 효과가 없는, 단순히 기계적인 (전위의) 변이형일 뿐이다. 우 전위는 문 내부에서 기능하며, 주로 주제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 전위의 주요한 기능은 언술에 감정적인 성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ote sur la dislocation du sujet : thématisation ou focalisation" 281-294, 1997

      2 "Les gosses, ça se lève tôt le matin : l’interprétation générique du syntagme nominal disloqué au moyen de ce ou ça" 133-162, 1996

      3 "Les dislocations en français contemporain" ho (ho): 1999

      4 "Des cerisiers, ça fleurit au printemps : une construction bien énigmatique" 95-111, 1998

      1 "Note sur la dislocation du sujet : thématisation ou focalisation" 281-294, 1997

      2 "Les gosses, ça se lève tôt le matin : l’interprétation générique du syntagme nominal disloqué au moyen de ce ou ça" 133-162, 1996

      3 "Les dislocations en français contemporain" ho (ho): 1999

      4 "Des cerisiers, ça fleurit au printemps : une construction bien énigmatique" 95-111,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4 0.51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