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식으로 포장된 개념으로서의 ‘비인기 종목’ 이해 = Sociological Understanding a Concept of ‘Unpopular Sports Event’ Packaged in Common Sen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09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 and pattern in which this concept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the concept of ‘unpopular events’ that have been used as common sense in the sports world, and to propose criteria for discriminating against unpopular sports among existing sports events based on this. To this end, research results (21 articles) mentioning ‘unpopular events’ in sports-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articles (20 articles) repor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and Internet newspapers were critically reviewed.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unpopular events were 1) lacking a concept definition, 2) mixing the selection criteria, and 3) being ab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Second, three criteria for comparing the popularity of sports events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context of unpopular events during the analysis process of the first research resul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an unpopular event that is used very frequently in the sports world is a kind of ‘political coined’ that is used with the intention of securing resources that are insufficient for a specific situation, especially for them, without clear standards. In response,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sports sociology should focus on clarifying “common sense packaged concepts” that are used without consensus on clear standards, although they assume that political jargon or everyone will know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 and pattern in which this concept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the concept of ‘unpopular events’ that have been used as common sense in the sports world, and to propose criteria for d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 and pattern in which this concept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the concept of ‘unpopular events’ that have been used as common sense in the sports world, and to propose criteria for discriminating against unpopular sports among existing sports events based on this. To this end, research results (21 articles) mentioning ‘unpopular events’ in sports-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articles (20 articles) repor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and Internet newspapers were critically reviewed.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unpopular events were 1) lacking a concept definition, 2) mixing the selection criteria, and 3) being ab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Second, three criteria for comparing the popularity of sports events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context of unpopular events during the analysis process of the first research resul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an unpopular event that is used very frequently in the sports world is a kind of ‘political coined’ that is used with the intention of securing resources that are insufficient for a specific situation, especially for them, without clear standards. In response,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sports sociology should focus on clarifying “common sense packaged concepts” that are used without consensus on clear standards, although they assume that political jargon or everyone will know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계에서 상식으로 통용되어 온 ‘비인기 종목’ 개념의 용례를 분석하고자 이 개념이 사용된 맥락과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스포츠 종목 중 비인기 종목을 구분할 판별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육 관련 학회지 내 ‘비인기 종목’이 언급된 연구물(21편)과 주요 일간지와 인터넷 신문에서 보도된 기사(20편)가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 그 결과, 첫째, 비인기 종목은 1) 개념 정의 부재, 2) 선정 기준 혼재, 3) 상황적 맥락에 의존하여 남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번째 연구 결과 분석 과정 중 비인기 종목 맥락과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스포츠 종목의 인기 정도를 비교, 판별할 1) 참여 인구 중심, 2) 국민 인식 중심 3) 조직 자생력 중심의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스포츠계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인기종목이란 명확한 기준 없이 특정 상황에 맞게, 특히 자신들에게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활용되는 일종의 ‘정치적 조어’임을 제시한다. 덧붙여 ‘비인기’의 용례가 스포츠계 구성원 사이에서 합의된 개념이라는 모호성과 더불어 어떤 종목이 진정 비인기 종목인가를 밝히지 않아야 한다는 암묵적 동의가 만연됨으로써 향후 도래할 공적 재원 투자 맥락에서 정책적 결정을 어렵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계에서 상식으로 통용되어 온 ‘비인기 종목’ 개념의 용례를 분석하고자 이 개념이 사용된 맥락과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스포츠 종목 중 비인기 종...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계에서 상식으로 통용되어 온 ‘비인기 종목’ 개념의 용례를 분석하고자 이 개념이 사용된 맥락과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스포츠 종목 중 비인기 종목을 구분할 판별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육 관련 학회지 내 ‘비인기 종목’이 언급된 연구물(21편)과 주요 일간지와 인터넷 신문에서 보도된 기사(20편)가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 그 결과, 첫째, 비인기 종목은 1) 개념 정의 부재, 2) 선정 기준 혼재, 3) 상황적 맥락에 의존하여 남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번째 연구 결과 분석 과정 중 비인기 종목 맥락과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스포츠 종목의 인기 정도를 비교, 판별할 1) 참여 인구 중심, 2) 국민 인식 중심 3) 조직 자생력 중심의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스포츠계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인기종목이란 명확한 기준 없이 특정 상황에 맞게, 특히 자신들에게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활용되는 일종의 ‘정치적 조어’임을 제시한다. 덧붙여 ‘비인기’의 용례가 스포츠계 구성원 사이에서 합의된 개념이라는 모호성과 더불어 어떤 종목이 진정 비인기 종목인가를 밝히지 않아야 한다는 암묵적 동의가 만연됨으로써 향후 도래할 공적 재원 투자 맥락에서 정책적 결정을 어렵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