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의장애학생 상담 실태 및 활성화 방안 = Reality and Improvement Strategy in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Second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4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ality, problems, and improvement strategy in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secondary schools. For the purpose, one hundred and twenty-one counseling teachers/counselors from seco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ality, problems, and improvement strategy in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secondary schools. For the purpose, one hundred and twenty-one counseling teachers/counselors from second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rovided with counseling services in the higher rate were those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and learning disabilities. The counseling method used were various including psychological counseling, art therapy, behavior therapy and play therapy. The counseling topics in the higher rate wer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school adaptation ability, and behavior modification for problem behaviors. Second,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little vitalized,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m were less provided than regular students. Third, main problems of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lack of communication or intelligence abilities of those students, the lack of counselo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ack of counseling time for the students due to counselor’s excessive work. Fourth, the improvement strategies in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ggested mainly were strengthening of counselor’s counseling a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lution of counselor’s excessive work, and increase of counselo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hopefull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policies to improve counseling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장애학생 대상 상담 실태와 문제점 및 상담 활성화 방안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상담교사/상담사 ...

      본 연구는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장애학생 대상 상담 실태와 문제점 및 상담 활성화 방안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상담교사/상담사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모든 유형의 장애학생들에게 상담이 제공되고 있었으나 그 중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학습장애 학생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상담방법으로는 심리상담 외에도 미술치료, 행동수정, 놀이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었으며, 상담의 주제는 대인관계/사회성 기술 향상,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 문제행동 수정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장애학생 상담의 전반적인 활성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에 비해 상담 서비스가 덜 제공되고 있었다. 상담교사/상담사들은 장애학생의 상담 담당은 상담교사/상담사보다는 특수교사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장애학생 상담과 관련한 주된 문제점으로는 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인지능력 부족, 상담교사/상담사의 장애학생 특성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부족, 상담교사/상담사의 업무과다로 인한 장애학생 상담시간 부족 등으로 조사되었다. 상담교사/상담사들이 제안하는 장애학생 상담 활성화 방안으로는 상담교사/상담사의 장애학생 상담역량 강화, 상담교사/상담사의 업무과다 문제 해결, 상담교사/상담사의 장애학생 특성 이해 증대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 대상 상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해주,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105-137, 2016

      2 권효진, "학교 전문상담교사의 비장애 중학생에 대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33-54, 2008

      3 김동일, "특수아 상담" 학지사 2016

      4 송영범,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1-21, 2013

      5 송현종, "통합교육과 학교상담: 학교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215-234, 2005

      6 서유진,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상담연구 방안: 장애학생 상담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33-174, 2010

      7 조수연,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59-75, 2013

      8 박성현, "전문상담교사의 장애 상담 지원 실태 및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341-360, 2013

      9 최하영,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내 특수아상담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9-38, 2013

      10 송현종, "장애학생과 비 장애학생 간의 상담에 대한 태도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49-66, 2006

      1 임해주,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105-137, 2016

      2 권효진, "학교 전문상담교사의 비장애 중학생에 대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33-54, 2008

      3 김동일, "특수아 상담" 학지사 2016

      4 송영범,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1-21, 2013

      5 송현종, "통합교육과 학교상담: 학교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215-234, 2005

      6 서유진,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상담연구 방안: 장애학생 상담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33-174, 2010

      7 조수연,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59-75, 2013

      8 박성현, "전문상담교사의 장애 상담 지원 실태 및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341-360, 2013

      9 최하영,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내 특수아상담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9-38, 2013

      10 송현종, "장애학생과 비 장애학생 간의 상담에 대한 태도 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3 (13): 49-66, 2006

      11 송현종,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상담교사의 준비와 역할수행 실태 분석" 한국상담학회 9 (9): 755-769, 2008

      12 송현종, "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상담자의 준비-경도장애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6 (6): 933-946, 2005

      13 서유진, "장애학생 상담교과 이수를 통한 예비상담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역할 수행역량 변화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93-118, 2011

      14 정광조, "일반 중학교 비(非)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69-92, 2014

      15 김계현, "상담학 개론" 학지사 2011

      16 김영숙, "교사와 부모를 위한 특수아 상담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9

      17 김향지, "경도정신지체 및 학습장애아동의 통합교육 상담방안" 40 (40): 241-257, 2001

      18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19 Milsom, A, S., "Student with disabilities : School counselor involvement and preparation" 5 (5): 331-338, 2002

      20 Bowen, M. 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have mild disabilities" 2 (2): 16-25, 1998

      21 Milsom, A, S., "Assis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ransitioning to college : What school counselors should know" 8 (8): 436-44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39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