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 추론이란 인공지능 개발의 기초가 되는 자연어 이해의 과제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자연어 추론 모델은 전제와 가설의 관계를 함의, 모순, 중립으로 판단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8647
2020
Korean
710
KCI등재
학술저널
949-975(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어 추론이란 인공지능 개발의 기초가 되는 자연어 이해의 과제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자연어 추론 모델은 전제와 가설의 관계를 함의, 모순, 중립으로 판단한다. ...
자연어 추론이란 인공지능 개발의 기초가 되는 자연어 이해의 과제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자연어 추론 모델은 전제와 가설의 관계를 함의, 모순, 중립으로 판단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델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 추론 말뭉치를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초 연구는 말뭉치의 생성과 검증에 활용되는 문장 개념 정립, 함의 개념 정리, 함의 추론에 개입하는 근거 자질 유형화로 구성된다. 이러한 논의는 추후 한국어 추론 구축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i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type of understanding requir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o be able to make inferences. The Korean inference model determines whether the semantic ...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i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type of understanding requir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o be able to make inferences. The Korean inference model determines whether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a premise and hypothesis is entailment, contradiction, and neutr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a Korean semantic inference corpus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Korean inference model. Sentences are units composed of a premise and a hypothesis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categorized as entailment, contradiction, or neutral.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se relationships in the Korean language are either linguistic feature or world knowledge.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Korean inference benchmark in suppor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래, "한글 텍스트 함의 인식 이용 정답 합성 개발 연구"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10 (10): 39-47, 2014
2 박영순, "한국어 의미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3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4 최성필, "텍스트 추론(Textual Inference)연구 동향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30 (30): 68-77, 2012
5 남승호, "처소논항 교체의 의미론: 자동사와 형용사를 중심으로" 언어교육원 38 (38): 295-318, 2002
6 강범모, "의미론에서 "의미"와 관련된 용어들의 개념과 번역어" 한국언어정보학회 15 (15): 79-92, 2011
7 라이언스, "의미론 1: 의미 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2011
8 한지윤, "언어 추론 모델 개발을 위한 말뭉치 구축 방법론 연구" 언어정보연구원 48 : 351-384, 2019
9 최경봉, "어휘의미론 : 의미의 존재 양식과 실현 양상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사 2015
10 남길임,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형태론 8 (8): 339-360, 2006
1 김영래, "한글 텍스트 함의 인식 이용 정답 합성 개발 연구"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10 (10): 39-47, 2014
2 박영순, "한국어 의미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3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4 최성필, "텍스트 추론(Textual Inference)연구 동향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30 (30): 68-77, 2012
5 남승호, "처소논항 교체의 의미론: 자동사와 형용사를 중심으로" 언어교육원 38 (38): 295-318, 2002
6 강범모, "의미론에서 "의미"와 관련된 용어들의 개념과 번역어" 한국언어정보학회 15 (15): 79-92, 2011
7 라이언스, "의미론 1: 의미 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2011
8 한지윤, "언어 추론 모델 개발을 위한 말뭉치 구축 방법론 연구" 언어정보연구원 48 : 351-384, 2019
9 최경봉, "어휘의미론 : 의미의 존재 양식과 실현 양상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사 2015
10 남길임,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형태론 8 (8): 339-360, 2006
11 도재학, "국어의 문장 의미와 어휘 의미" 역락 2018
12 고광주, "국어의 격교체 구문 연구" 한국어학회 18 : 389-408, 2003
13 장요한, "국어국문학의 고전과 현대" 도서출판 역락 2017
14 유현경, "국어 형용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5 최호철, "국어 발화의 의미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36 : 481-529, 2011
16 양정석, "국어 동사의 의미 분석과 연결이론" 도서출판 박이정 1995
17 서은아,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학회 (264) : 123-151, 2004
18 Conneau, A, "XNLI: Evaluating crosslingual sentence representations"
19 Garoufi, K,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applied textual entailment" Saarland University 2007
20 Khot, T, "SciTaiL: A Textual Entailment Dataset from Science Question Answering" 17 : 41-42, 2018
21 Storks, S, "Recent advances in natural language inference: A survey of benchmarks, resources, and approaches" 2019
22 Dagan, I, "Probabilistic Textual Entailment:Generic Applied Modeling of Language Variability" 2004
23 Bowman, S, "New Protocols and Negative Results for Textual Entailment Data Collection" 2020
24 Chierchia, Gennaro, "Meaning and grammar (2nd ed.):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MIT Press 2000
25 Zaenen, A, "Local Textual Inference: Can it be defined or circumscribed" 31-36, 2005
26 Ham, J, "KorNLI and KorSTS: New Benchmark Datasets for Korean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27 Bentivogli, L, "Building Textual Entailment Specialized Data Sets: a Methodology for Isolating Linguistic Phenomena Relevant to Inference" LREC 2010
28 Kaneko, K, "Building Japanese textual entailment specialized data sets for inference of basic sentence relations" 2 : 273-277, 2013
29 Glickman, O, "Applied Textual Entailment" Bar Ilan University 2006
30 Minsky, M, "Adversarial nli: A new benchmark for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2019
31 Bowman, S. R, "A large annotated corpus for learning natural language inference" 2015
32 Williams, A, "A broad-coverage challenge corpus for sentence understanding through inference" 2017
중국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 분석에 대한 연구
통시 말뭉치에 기반한 언어 변화 연구 -20세기 신문 말뭉치의 구축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3 | 1.33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