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대학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00452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7.68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95 p.; 26 cm.

      • 소장기관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going to train for teacher as in-service training center and re-educated center. This subjects were consist of teachers who are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re graduated already.
      This study was made by random sampling of 98 schools
      which are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sist of 160 school teacher who are stud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d. Among 143 questionnaires, 129
      questionnaires without 14 dishones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ol be used this study made by myself through precedent study which was related study in domestic about the realities of manage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 analyzed the collected material using by SPSSWIN and I did test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tudied to take new knowledge and since interesting for major field. They choose after consideration for honor and authority of professor. when taking lectures, they have choose the lectures in concern for their major field and interesting.
      When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said
      the difficult is insufficient time and information but most student have satisfaction for their study. They have unsatisfaction for environ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cause of insufficient book in library related major, facility equipment.
      They prefer a unit of subject to graduation test for a
      condition of graduation, want to be teach when four semester or three semester. They recognized the method of deciding teaching professor have to consider their decision sufficientl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statement of research plan, so they want to communicate their thought through the way
      interview teaching professor and statement in the middle. They want to write dissertation with two way. One is the way present type, the other is replace the credit which have had.
      In the support of administration, they have low satisfaction,
      and said tuition fee is too expensive. In the course work period of evening time, they want four or five semester system. In the evaluation of learning, they want the way report or degree of participatio.
      In the level of content of curriculum, they evaluate that
      beyond normal then undergraduate. In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they expect that the kind of subject and the
      category is going to extense. and although the content which learned in graduate school was a theory, that was very useful to teach student.
      In case of the type of teaching,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to a lecture of professor himself and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side by side a
      statement of student and a lecture of professor are similar.
      The best desirable teaching type was to go side by side a
      lecture of professor and statement of student and discussion. In case of lecture and teaching, the best opinion was the needs of sincerity attitude for teaching and preparation of professor. The satisfaction for lecture and teaching of present was no more then 11%.
      So being variety of the content of teaching and curriculum as to doing regularly function of reeducation and succession education, they expect to improve the management realiti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graduate student expect to be introduce about korea theory pattern then foreign country. Also they expect to be limit for student per a course of study.
      To improve this problem , I suggest this follows;
      First, It need form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asking of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econd, special study book must dispose in the library enough
      Third, the useful utility for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have to be made and improve to use conveniently.
      Four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maintained comfortable continuously.
      Fifth, It was made to intensify for service quality of
      administration support and achieve appropriate time and
      effectively .
      Sixth, it need be reduce tuition fee and enlarge scholarship.
      Seventh, the teaching and semina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o take in focus of the problem in concern with school field .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going to train for teacher as in-service training center and re-educated center. This subjects were consist of teachers w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going to train for teacher as in-service training center and re-educated center. This subjects were consist of teachers who are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re graduated already.
      This study was made by random sampling of 98 schools
      which are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sist of 160 school teacher who are stud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d. Among 143 questionnaires, 129
      questionnaires without 14 dishones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ol be used this study made by myself through precedent study which was related study in domestic about the realities of manage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 analyzed the collected material using by SPSSWIN and I did test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tudied to take new knowledge and since interesting for major field. They choose after consideration for honor and authority of professor. when taking lectures, they have choose the lectures in concern for their major field and interesting.
      When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said
      the difficult is insufficient time and information but most student have satisfaction for their study. They have unsatisfaction for environ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cause of insufficient book in library related major, facility equipment.
      They prefer a unit of subject to graduation test for a
      condition of graduation, want to be teach when four semester or three semester. They recognized the method of deciding teaching professor have to consider their decision sufficientl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statement of research plan, so they want to communicate their thought through the way
      interview teaching professor and statement in the middle. They want to write dissertation with two way. One is the way present type, the other is replace the credit which have had.
      In the support of administration, they have low satisfaction,
      and said tuition fee is too expensive. In the course work period of evening time, they want four or five semester system. In the evaluation of learning, they want the way report or degree of participatio.
      In the level of content of curriculum, they evaluate that
      beyond normal then undergraduate. In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they expect that the kind of subject and the
      category is going to extense. and although the content which learned in graduate school was a theory, that was very useful to teach student.
      In case of the type of teaching,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to a lecture of professor himself and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side by side a
      statement of student and a lecture of professor are similar.
      The best desirable teaching type was to go side by side a
      lecture of professor and statement of student and discussion. In case of lecture and teaching, the best opinion was the needs of sincerity attitude for teaching and preparation of professor. The satisfaction for lecture and teaching of present was no more then 11%.
      So being variety of the content of teaching and curriculum as to doing regularly function of reeducation and succession education, they expect to improve the management realiti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graduate student expect to be introduce about korea theory pattern then foreign country. Also they expect to be limit for student per a course of study.
      To improve this problem , I suggest this follows;
      First, It need form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asking of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econd, special study book must dispose in the library enough
      Third, the useful utility for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have to be made and improve to use conveniently.
      Four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maintained comfortable continuously.
      Fifth, It was made to intensify for service quality of
      administration support and achieve appropriate time and
      effectively .
      Sixth, it need be reduce tuition fee and enlarge scholarship.
      Seventh, the teaching and semina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o take in focus of the problem in concern with school field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에 대한 계속교육.재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대해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의견을 파악하여 교육대학원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수도권의 98개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160명을 임의 표집하여 회수된 응답지 143부중에서 누락반응이 많은 부실한 응답지 14부를 제외한 129부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관한 국내 관련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르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생들은 새로운 지식 습득 목적과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 때문에 진학하고, 교수의 명성과 권위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을 선택한다. 수강 신청 시 자신의 전공영역과 관심을 기준으로 수강 선택을 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시간과 정보의 부족이 어려움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진학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분야에 관련된 서적과, 편의시설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평가하여 교육대학원의 전반적인 교육환경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다.
      졸업요건으로 종합시험 대신 교과목의 학점으로 대치하는 것을 선호하고, 4학기나 3학기에 논문을 지도 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논문 지도교수 결정방법으로 학생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계획서 발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그 형태로 지도교수와 면담하는 방법과 중간발표의 형태로 의견을 교환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학위논문 작성은 현행도로 작성하는 방법과 누적된 이수학점으로 대치하는 방법으로 나뉘어 나타났다.
      행정지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교육대학원의 등록금이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다.
      야간제 수업연한으로는 4학기 제와 5학기 제를 선호한다. 학습평가 방법에 대해 보고서 평가나 수업 참여도 평가를 교육대학원의 학습방법으로 선호하고 있고, 학부와 비교한 교육과정의 내용수준은 보통이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해 현재 소속된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운영에서 개설과목의 종류나 범위가 좀 더 확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서 공부한 내용이 주로 이론적이지만 학생을 지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 교육대학원 수업방식에 대해 교수강의 형태로 교육대학원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과 교수강의와 학생발표가 병행되어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업형태로는 교수강의와 학생발표 그리고 토론학습이 병행된 수업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서 교수의 성의 있는 준비와 수업태세가 요구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현재의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 만족하는 응답자는 11%에 불과하였다. 강의 내용과 교과과정이 다양화되어 현직교원의 계속교육.재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외에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수나 강사의 수업내용이 외국 이론보다는 한국적 이론 모형을 강의내용에서 소개받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행정 지원의 강화와 한 강좌 당 수강인원이 제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서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확보되고 이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은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다섯째, 행정지원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적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의 확대와 학비의 감면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이 학교 현장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에 대한 계속교육.재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대해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의견을 파악하여 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에 대한 계속교육.재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대해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의견을 파악하여 교육대학원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수도권의 98개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160명을 임의 표집하여 회수된 응답지 143부중에서 누락반응이 많은 부실한 응답지 14부를 제외한 129부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관한 국내 관련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르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생들은 새로운 지식 습득 목적과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 때문에 진학하고, 교수의 명성과 권위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을 선택한다. 수강 신청 시 자신의 전공영역과 관심을 기준으로 수강 선택을 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시간과 정보의 부족이 어려움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진학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분야에 관련된 서적과, 편의시설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평가하여 교육대학원의 전반적인 교육환경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다.
      졸업요건으로 종합시험 대신 교과목의 학점으로 대치하는 것을 선호하고, 4학기나 3학기에 논문을 지도 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논문 지도교수 결정방법으로 학생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계획서 발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그 형태로 지도교수와 면담하는 방법과 중간발표의 형태로 의견을 교환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학위논문 작성은 현행도로 작성하는 방법과 누적된 이수학점으로 대치하는 방법으로 나뉘어 나타났다.
      행정지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교육대학원의 등록금이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다.
      야간제 수업연한으로는 4학기 제와 5학기 제를 선호한다. 학습평가 방법에 대해 보고서 평가나 수업 참여도 평가를 교육대학원의 학습방법으로 선호하고 있고, 학부와 비교한 교육과정의 내용수준은 보통이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해 현재 소속된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운영에서 개설과목의 종류나 범위가 좀 더 확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서 공부한 내용이 주로 이론적이지만 학생을 지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 교육대학원 수업방식에 대해 교수강의 형태로 교육대학원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과 교수강의와 학생발표가 병행되어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업형태로는 교수강의와 학생발표 그리고 토론학습이 병행된 수업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서 교수의 성의 있는 준비와 수업태세가 요구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현재의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 만족하는 응답자는 11%에 불과하였다. 강의 내용과 교과과정이 다양화되어 현직교원의 계속교육.재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외에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수나 강사의 수업내용이 외국 이론보다는 한국적 이론 모형을 강의내용에서 소개받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행정 지원의 강화와 한 강좌 당 수강인원이 제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서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확보되고 이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은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다섯째, 행정지원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적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의 확대와 학비의 감면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이 학교 현장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3.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연구의 배경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3. 연구의 제한점 = 3
      • Ⅱ. 연구의 배경 = 4
      • 1. 교육대학원의 설립목적과 기능 = 4
      • 2. 교육대학원의 현황 = 11
      • 3.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 = 21
      • 4. 현대사회의 특징과 교육대학원 = 23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6
      • 1. 연구대상 표집 및 측정도구 = 26
      • 2. 조사대상 = 28
      • 3. 자료의 처리 = 29
      • Ⅳ. 연구 결과 = 30
      • 1. 진학동기와 만족도 및 개인적인 사항 = 30
      • 2.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 = 42
      • 3. 학사운영 및 학위 취득과정에 대한 인식 = 48
      • 4. 행정지원에 대한 만족도 = 59
      • 5.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 62
      • 6. 수업에 대한 인식 = 70
      • Ⅴ. 요약 및 결론 = 76
      • 1. 요약 = 76
      • 2. 결론 및 제언 =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