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릉 『해운정역방록』의 내력과 지역사적 가치 = Gangneung Haeunjeong Visitor’s Book’s Personal History and Local Val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2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海雲亭歷訪錄』(이하 『역방록』)은 漁村 沈彦光(1487~1540)의 別業으로 건립된 강릉 해운정의 방명록이다. 해운정 창건 직후인 1538~1989년까지 약 450여 년간 해운정을 다녀간 1,408명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私的 공간을 방문한 현존 最古 · 最大의 방명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지금까지 기본적인 서지사항 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은 『역방록』의 서지사항을 분석하고, 내용의 사실성 검증과 지역사를 복원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방록』은 해운정 관련 文籍 등이 燒失되자 심언광의 후손 沈爀(‘煿’으로 개명)이 타다 남은 자료와 家傳되는 문적을 참고하여 1774년에 최초로 筆寫한 것이다. 그러나 내용을 검토해 보면 현존하는 것은 심혁 이후 누군가 여러 사람이 다시 필사하였고, 1830년경 이후부터 방문자들의 친필서명이 이어진다.
      내용은 방문자 본관과 이름, 干支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방문동기, 題詠 여부 등의 기타내용이 기재된 곳도 있다. 명단 중 강원관찰사나 강릉부사의 소임을 띠고 왔던 방문자를 先生案 등과 비교해 보면 방문한 해와 재임기간이 모두 일치한다. 그리고 文集의 기록과 해운정 詩板 등을 대조해 보면 기록의 정확성이 재차 확인된다. 더불어 『역방록』을 통해 기존에 밝히지 못했던 현존 해운정 시판 시의 작자와 작정시기가 추가로 확인된다. 『역방록』은 대부분이 필사되긴 했으나 기록 내용이 매우 정확한 사료이다.
      『역방록』의 주인인 심씨문중은 18세기 문중재실인 河南齋의 門中書院化를 추진하는 일로 江陵士林들과 갈등을 빚는다. 심씨문중은 이 일을 전후하여 해운정을 중심으로 중앙 老論 세력과 꾸준한 교유 관계를 맺었고, 이들 노론은 심씨의 하남재 서원추진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심씨문중과 노론과의 연망관계가 『역방록』에 수록된 인물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확인된다.
      번역하기

      『海雲亭歷訪錄』(이하 『역방록』)은 漁村 沈彦光(1487~1540)의 別業으로 건립된 강릉 해운정의 방명록이다. 해운정 창건 직후인 1538~1989년까지 약 450여 년간 해운정을 다녀간 1,408명의 이름이...

      『海雲亭歷訪錄』(이하 『역방록』)은 漁村 沈彦光(1487~1540)의 別業으로 건립된 강릉 해운정의 방명록이다. 해운정 창건 직후인 1538~1989년까지 약 450여 년간 해운정을 다녀간 1,408명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私的 공간을 방문한 현존 最古 · 最大의 방명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지금까지 기본적인 서지사항 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은 『역방록』의 서지사항을 분석하고, 내용의 사실성 검증과 지역사를 복원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방록』은 해운정 관련 文籍 등이 燒失되자 심언광의 후손 沈爀(‘煿’으로 개명)이 타다 남은 자료와 家傳되는 문적을 참고하여 1774년에 최초로 筆寫한 것이다. 그러나 내용을 검토해 보면 현존하는 것은 심혁 이후 누군가 여러 사람이 다시 필사하였고, 1830년경 이후부터 방문자들의 친필서명이 이어진다.
      내용은 방문자 본관과 이름, 干支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방문동기, 題詠 여부 등의 기타내용이 기재된 곳도 있다. 명단 중 강원관찰사나 강릉부사의 소임을 띠고 왔던 방문자를 先生案 등과 비교해 보면 방문한 해와 재임기간이 모두 일치한다. 그리고 文集의 기록과 해운정 詩板 등을 대조해 보면 기록의 정확성이 재차 확인된다. 더불어 『역방록』을 통해 기존에 밝히지 못했던 현존 해운정 시판 시의 작자와 작정시기가 추가로 확인된다. 『역방록』은 대부분이 필사되긴 했으나 기록 내용이 매우 정확한 사료이다.
      『역방록』의 주인인 심씨문중은 18세기 문중재실인 河南齋의 門中書院化를 추진하는 일로 江陵士林들과 갈등을 빚는다. 심씨문중은 이 일을 전후하여 해운정을 중심으로 중앙 老論 세력과 꾸준한 교유 관계를 맺었고, 이들 노론은 심씨의 하남재 서원추진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심씨문중과 노론과의 연망관계가 『역방록』에 수록된 인물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확인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eunjeong was built as villa of Sim Eun-guang (沈彦光)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written by many visitors. There are 1,408 names who lived for 450 years (1538~1989) in this book. This is the oldest visitor’s book but there were no studies in this book and bibliographic terms were not distinguished. Thus, this thesis analyzes bibliographic terms of Haeunjeong visitor’s book and restored the contents of historicity and local history.
      As an official paper about Haeunjeong was destroyed by fire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rewritten by Sim Hyeok (沈爀: Sim Eun-guang’s descendant) in 1774. His reference was remaining materials and on official paper but after reviewing contents, remaining book was rewritten by many people and there were other visitor’s handwriting signature.
      The contents were based on visitor’s family clan, name, the sexagenary cycle. After studying comparing two contents, the list was same as list of the ex-officers (Gangwon-provincial governor and Gangneung Local Magistrates) of tenure of office and visiting. A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is book has the date of poem writer of A poetry and style board’s Haeunjeong. The visitor book was rewritten but it was very correctness historical records.
      There were conflict between scholar-official Gangneung community and Samcheok-Shim Clan ( The book’s owner) because the clan tried to private academy in rural area of Hanam ancestral shrine (河南齋) of ancestral shrine in 18C family. In this time the clan had a relationship between Noron (老論) who had a strong power group in the Seoul by using Haeunjeong and Noron supported Clan. The visitor’s book shows their relationship because the book also shows many Noron visited this villa.
      번역하기

      Haeunjeong was built as villa of Sim Eun-guang (沈彦光)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written by many visitors. There are 1,408 names who lived for 450 years (1538~1989) in this book. This is the oldest visitor’s book but there were no stud...

      Haeunjeong was built as villa of Sim Eun-guang (沈彦光)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written by many visitors. There are 1,408 names who lived for 450 years (1538~1989) in this book. This is the oldest visitor’s book but there were no studies in this book and bibliographic terms were not distinguished. Thus, this thesis analyzes bibliographic terms of Haeunjeong visitor’s book and restored the contents of historicity and local history.
      As an official paper about Haeunjeong was destroyed by fire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rewritten by Sim Hyeok (沈爀: Sim Eun-guang’s descendant) in 1774. His reference was remaining materials and on official paper but after reviewing contents, remaining book was rewritten by many people and there were other visitor’s handwriting signature.
      The contents were based on visitor’s family clan, name, the sexagenary cycle. After studying comparing two contents, the list was same as list of the ex-officers (Gangwon-provincial governor and Gangneung Local Magistrates) of tenure of office and visiting. A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is book has the date of poem writer of A poetry and style board’s Haeunjeong. The visitor book was rewritten but it was very correctness historical records.
      There were conflict between scholar-official Gangneung community and Samcheok-Shim Clan ( The book’s owner) because the clan tried to private academy in rural area of Hanam ancestral shrine (河南齋) of ancestral shrine in 18C family. In this time the clan had a relationship between Noron (老論) who had a strong power group in the Seoul by using Haeunjeong and Noron supported Clan. The visitor’s book shows their relationship because the book also shows many Noron visited this vil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해운정역방록』의 書誌事項 분석
      • Ⅲ. 『해운정역방록』 내용의 史實性
      • Ⅳ. 『해운정역방록』에 투영된 沈氏一門과 老論의 連網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해운정역방록』의 書誌事項 분석
      • Ⅲ. 『해운정역방록』 내용의 史實性
      • Ⅳ. 『해운정역방록』에 투영된 沈氏一門과 老論의 連網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연구" 집문당 1997

      2 이상균, "조선시대 遊覽傳統에서의 人物名所 烏竹軒의 탄생" 역사문화학회 21 (21): 93-122, 2018

      3 강릉문화원, "완역 증수임영지"

      4 동해문화원, "동해시금석문집" 2002

      5 강릉문화원, "국역 동호승람" 2001

      6 강릉문화원, "강릉의 누정자료집"

      7 "鳳巖集"

      8 "霽月堂集"

      9 "關東誌"

      10 "萬家譜"

      1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연구" 집문당 1997

      2 이상균, "조선시대 遊覽傳統에서의 人物名所 烏竹軒의 탄생" 역사문화학회 21 (21): 93-122, 2018

      3 강릉문화원, "완역 증수임영지"

      4 동해문화원, "동해시금석문집" 2002

      5 강릉문화원, "국역 동호승람" 2001

      6 강릉문화원, "강릉의 누정자료집"

      7 "鳳巖集"

      8 "霽月堂集"

      9 "關東誌"

      10 "萬家譜"

      11 "臨瀛儒義"

      12 "漁村集"

      13 "淵齋集"

      14 "海雲亭歷訪錄"

      15 "河南齋志"

      16 "河南齋事蹟"

      17 "朝鮮王朝實錄"

      18 李揆大, "朝鮮後期 嶺東地方의 鄕村支配構造에 관한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2

      19 "性潭集"

      20 "崇禎紀元後三丁酉增廣司馬榜目"

      21 "山水軒遺稿"

      22 "宋子大全"

      23 "史記"

      24 "俛宇集"

      25 삼척심씨세보편찬위원회, "三陟沈氏文獻世稿" 1985

      26 삼척심씨세보편찬위원회, "三陟沈氏世譜-卷之三" 1985

      27 오죽헌/시립박물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기념 특별전-대관령 높은 고갯길 하늘과 맞닿아"

      28 임호민, "18세기 강릉지방 사족·관·문중간의 갈등양상"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9 : 2005

      29 이규대, "17세기 江陵地方 程夫子 影幀과 祠·院의 事體 論議" (사)율곡학회 29 : 255-28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7 1.50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