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상고기에는 박·석·김 3성이 교차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러한 때에 단일 혈연 관념으로 만들어진 종묘제도를 어떻게 운영하였을까 하는 점은 큰 의문이었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14219
2020
Korean
宗廟 ; 始祖廟 ; 神宮 ; 五廟制 ; 社稷壇 ; 『禮記』 ; 天子 七廟制 ; 王位繼承戰 ; 宗祖 ; 別子 ;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宗廟) ; the Shrine of the Founders(시조묘) ; Divine Palace(神宮) ; Five Shrine System(五廟制) the Altar of the Soil and Grain(社稷壇) ; the Book of Rites (C. Liji 禮記) ; the Seven Shrine System of the Son of Heaven(天子七廟制) ; the struggle for the succession of the throne(王位繼承戰)
KCI등재
학술저널
1-47(4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신라 상고기에는 박·석·김 3성이 교차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러한 때에 단일 혈연 관념으로 만들어진 종묘제도를 어떻게 운영하였을까 하는 점은 큰 의문이었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
신라 상고기에는 박·석·김 3성이 교차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러한 때에 단일 혈연 관념으로 만들어진 종묘제도를 어떻게 운영하였을까 하는 점은 큰 의문이었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단초로서 역대 중국의 예제상에 나타난 종묘제의 변화와 운영원리에 주목하였다. 이에 『삼국사기』 제사지에서 종묘제도로 기술한 始祖廟와 神宮, 五廟制와 社稷壇, 그리고 七廟制로의 확대‧정비과정을 중국 역대 禮制의 변화와 관련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김씨 왕실이 종묘제를 운영한 기본 원리를 찾아냄으로써, 그것이 신라 정치사회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상고기 신라 국왕들은 즉위 후 의례적으로 시조 박혁거세의 陵廟에 제사함으로써 왕의 권위를 인정받았다. 지증왕이 즉위를 전후하여 『禮記』의 이념에 따라 시조가 태어난 나을에 신궁을 설립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박혁거세를 配享하였다. 무열왕은 즉위와 함께 오묘제를 수용하고, 문무왕대에 당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7묘제를 지향하였지만, 신문왕대에 당과 화해를 서두르면서 5묘제로 환원하였다. 중대 왕실이 설행한 종묘는 일종 家廟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김씨왕실은 혜공왕대에 그들의 家廟인 종묘를 국가 종묘제로 정립하고, 다시 선덕왕이 사직단을 정비함으로써 『예기』의 국가 종묘·사직 체계를 완비하였다. 애장왕대에 이르러 다시 전통적인 天子七廟制를 채용하고, 아울러 사직단도 祗祭에 맞추어 개혁하였다. 이는 祖功宗德의 이념과 宗法의 원리를 따른 것으로서, 황제국으로서의 위상을 천명한 것이었다. 신라 하대 종묘의 소목에서 祖考의 신위를 함께 遷徙하거나 祔廟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는 왕위 계승 쟁탈전으로 말미암은 것인데, 왕위계승쟁탈전은 원성왕의 손자인 인겸과 예영을 宗으로 하는 別子들간에 왕위 계승권을 두고 벌인 무력 충돌과정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early Silla Period, three families, Parks, Seoks, and Kims, took turns to succeed the throne. It was a great question how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hich was installed based on the idea of single blood ties, was operated at the tim...
During the early Silla Period, three families, Parks, Seoks, and Kims, took turns to succeed the throne. It was a great question how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hich was installed based on the idea of single blood ties, was operated at the time. This paper noted the changes and principles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hich appeared in the ritual writings of the ancient China, as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such problems. The entries in the Jesaji of the Samguksagi about the Shrine of the Founders, Divine Palace, Five Shrine System, and the Altar of the Soil and Grain, which were recorded in the category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of adopting the Seven Shrine System was compared and reviewed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the Chinese ritual system. I also sought to find out the basic principles of the Kimsoperation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order to understand its function in Silla"s political society.
The kings in the early Silla period ritually offered sacrifices to the shrine of Park Hyeok-geose, the founder of the kingdom, in order to openly acquire king’s authority. Established at Naeul, where the founding father was born, by King Jijeung at around his enthronement, the Divine Palace embodies the teachings of the Book of Rites (C. Liji 禮記). It was a place to perform rites for heaven and the founder of the kingdom right at the birthplace of Park Hyeok-geose.
Along with the accession of King Muyeol, the Kims accepted the Five Shrine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the Seven Shrine System was adopted amid the process of confrontation with the Tang dynasty. But the Five Shrine System was soon restored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Sinmun while the kingdom was in hurry of reconciliation with the Tang dynasty. The Royal Ancestral Shrin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mid Silla period,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family shrine of the Kims. In the era of King Aejang, the traditional Seven Shrine System of the Son of Heaven was adopted again, along with the reformation of the Altar of the Soil and Grain.
This measure was based on the fundamentals of giving posthumous investiture to the preceding kings according to the meritorious deeds of the ancestors and the virtue of the clan, and it also followed the agnatic principles in order to declare his status as an emperor.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it was common to move or enshrine spirit tablets of the deceased father and grandfather together in the ranges of spirit tables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is was due to the struggle for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at the time. The battle for the succession was a clash between Ingyeom, the grandson of King Wonseong, and the descendants of Yeyeo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변태섭, "한국고대의 계세사상과 조상숭배신앙(상)(하)" 3・4 : 1959
2 최재석, "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1987
3 이문기, "한국고대사와 고고학:김정학박사미수기념논총" 2000
4 나희라, "한국 고대의 신관념과 왕권" 69 : 1996
5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신서원 2011
6 박순교, "한국 고대의 고고와 역사" 학연문화사 1997
7 정연식, "통일신라의 종묘 건축과 종묘제의 변화 -계림 북쪽의 대형건물 유구와 관련하여-" 한국사연구회 (153) : 77-125, 2011
8 박남수, "신라화백제도와 화랑도" 신서원 2013
9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10 김두진, "신라의 종묘와 명산대천의 제사" 52 : 1999
1 변태섭, "한국고대의 계세사상과 조상숭배신앙(상)(하)" 3・4 : 1959
2 최재석, "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1987
3 이문기, "한국고대사와 고고학:김정학박사미수기념논총" 2000
4 나희라, "한국 고대의 신관념과 왕권" 69 : 1996
5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신서원 2011
6 박순교, "한국 고대의 고고와 역사" 학연문화사 1997
7 정연식, "통일신라의 종묘 건축과 종묘제의 변화 -계림 북쪽의 대형건물 유구와 관련하여-" 한국사연구회 (153) : 77-125, 2011
8 박남수, "신라화백제도와 화랑도" 신서원 2013
9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10 김두진, "신라의 종묘와 명산대천의 제사" 52 : 1999
11 이종태, "신라의 시조와 태조" 52 : 1999
12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3 정재교, "신라의 국가적 성장과 신궁" 11 : 1987
14 최광식, "신라의 神宮 設置에 대한 新考察" 43 : 1983
15 황선영, "신라의 廟制와 廟號" 5 : 1989
16 최광식, "신라와 당의 대사・중사・소사 비교 연구" 95 : 1996
17 박남수, "신라수공업사" 신서원 1996
18 박남수,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40 : 2019
19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20 안주홍, "신라 혜공왕대의 종묘제 개편과 그 함의" 부산경남사학회 (111) : 121-152, 2019
21 강진원, "신라 하대 종묘와 烈祖 元聖王" 역사학회 (234) : 1-30, 2017
22 박남수, "신라 진성왕대 효종랑과 화랑도" 한국사학회 (132) : 267-312, 2018
23 강진원, "신라 중대 宗廟制 운영과 五廟 始定" 역사학회 (245) : 145-177, 2020
24 안주홍, "신라 애장왕대의 종묘개편과 천자 지향" 영남문화연구원 (73) : 237-267, 2020
25 박남수, "신라 문무대왕의 삼국통일과 宗廟制 정비" 신라사학회 (38) : 263-316, 2016
26 채미하,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 혜안 2008
27 박남수, "신라 「法光寺石塔記」와 御龍省의 願堂 운영" 한국고대사학회 (69) : 217-252, 2013
28 채미하, "신라 ‘三姓交立’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 한국고대사탐구학회 (9) : 145-176, 2011
29 강종훈, "신궁의 설치를 통해 본 마립간 시기의 신라" 6 : 1994
30 신종원, "삼국사기 제사지 연구" 38 : 1984
31 박초롱, "문무왕대 고구려·가야의 조상제사 재개 조치와 그 의미- 중국 二王後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86) : 113-148, 2017
32 "다산시문집"
33 천관우, "고조선사・삼한사연구" 일지사 1989
34 조우연,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0) : 36-73, 2010
3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황남동대형건물지 : 황남동 123-2번지 유적" 2009
36 "魏書"
37 김효진, "高句麗 王號 ‘太祖王’의 정립 과정과 의미" 한국사연구회 (178) : 1-39, 2017
38 이승호, "高句麗 王室의 世系 인식 추이와 宗廟의 변천" 인문과학연구소 (22) : 145-173, 2016
39 "隋書"
40 "舊唐書"
41 "禮記"
42 박남수, "眞殿寺院의 기원과 新羅 成典寺院의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41) : 73-101, 2012
43 "漢書"
44 "沙溪全書"
45 "毛詩"
46 "東史綱目"
47 "月沙集"
48 "晉書"
49 "春秋左傳"
50 "日本書紀"
51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52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53 박남수, "新羅 眞殿寺院의 조영과 그 思想的 背景" 신라문화연구소 40 (40): 49-74, 2012
54 김나경, "新羅 五廟制 受容의 意味" 한국고대사학회 (97) : 107-142, 2020
55 박남수, "新羅 下代 王室의 祭禮와 元聖王 追崇의 정치사회적 의의" 한국사학회 (108) : 39-69, 2012
56 전덕재, "新羅 上代 王宮의 變化와 宗廟" 신라문화연구소 (36) : 1-30, 2010
57 "新唐書"
58 김용천, "後漢시대 廟議와 宗法觀念" 중국고중세사학회 (17) : 77-109, 2007
59 "後漢書"
60 任敏赫, "廟號의 禮制原理와 朝鮮의 受容" 국사편찬위원회 104 : 2004
61 변태섭, "廟制의 變遷을 통하여 본 新羅社會의 發展過程" 8 : 1964
62 "尚書"
63 "宋書"
64 박남수, "唐의 祀典 체계와 신라의 祀典 정비" 신라사학회 (45) : 443-502, 2019
65 拜根興, "唐代高麗百濟移民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2
66 井上秀雄, "古代朝鮮史序說" 寧樂社 1978
67 旗田巍, "古代の朝鮮" 學生社 1974
68 金承璨, "又軒 丁中煥博士 還曆紀念論文集" 1974
69 小田省吾, "半島廟制槪要" 269 : 1937
70 郭善兵, "中國古代 帝王宗廟" 人民出版社 2007
71 "三國遺事"
72 米田雄介, "三國史記に見える新羅の五廟制" 高書房 15 : 1987
73 "三國史記"
『舊唐書』와 『續日本紀』를 통해 본 唐日交流 -安史의 亂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