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기업은 현실적 경영 활동의 발전과 장기적인 비전 마련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방안 중의 하나로 혁신적인 경영 활동을 위한 전문 분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기업은 현실적 경영 활동의 발전과 장기적인 비전 마련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방안 중의 하나로 혁신적인 경영 활동을 위한 전문 분야 ...
세계적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기업은 현실적 경영 활동의 발전과 장기적인 비전 마련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방안 중의 하나로 혁신적인 경영 활동을 위한 전문 분야 간의 융합(convergence)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타 전문 분야와의 융합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이 가시화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은 기업을 통해 시장에서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상품 생산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영과 기술, 판매 및 소비자 전문 분야와 협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경영목표의 일관성 확보와 관련 부서간의 정보 교류 및 결과물을 위한 업무 추진의 효율적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렇게 타 전문 분야와의 긴밀한 협의와 조화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업무의 특성상, 타 전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실무의 효율화와 새로운 전문 분야로의 확대에 관한 연구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특히 디자인경영과 관련된 연구 사례의 대부분은 대기업 중심의 정책과 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과 같은 경영 환경의 특수성이 고려된 디자인경영의 사례가 요구되어 진다. 경영 환경의 여건이 서로 다른 중소기업의 경우 일반적 디자인경영 이론을 모든 사례에 적용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디자인경영은 대기업 중심의 체계 에서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장기적인 비전을 담는 전략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전략의 핵심적 내용으로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 중심의 조직과 의사결정과정을 보완하는 관련 전문가들의 조언가 집단이 필요하다. 또한 디자인 중요도가 높은 경우, 디자인을 중심으로 타 전문 분야화의 융합을 통한 융합디자인전략 수립의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수행 할 수 있는 기업의 융합디자인 전략가(CCDSP: corporate convergence
design strategy planner)가의 필요성도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의 디자인경영 체계 중심에서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융합디자인전략 수립의 기본적인 과정과 체계, 모델을 통해 성공적인 사례와 융합디자인 전략의 요소 및 가능성에 대한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한 사례연구로 학습용 스탠드 개발을 통하여 디자인 비중이 높은 신규 벤처사업에서 디자인을 중심으로 브랜드, 기술의 융합을 통한 융합디자인전략수립으로 시장점유율 37.5%를 달성한 한국 3M의 융합디자인전략 수립의 과정과 체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3M의 신규 벤처 사업인 학습용 스탠드 조명기기 사업의 시장 진출의 사업 특징과 융합 디자인 전략 성공 요소를 전문 분야별로 정리, 분석하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디자인전략 수립을 실증적 방법으로 논의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디자인에 중요도가 높은 신규 벤처사업에서 브랜드 전략과 기술기획을 통한 융합디자인전략 수립의 실증적 사례와 학문적 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전문 분야 간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전략 수립으로 장기적 비전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과정(process)과 체계(system) 및 모델(model)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rporates are making every efforts to develop preparation of realistic management activities and long term visions, within global stagnant economic environment. Convergence between professional areas of revolutionary management activities, as one of ...
Corporates are making every efforts to develop preparation of realistic management activities and long term visions, within global stagnant economic environment. Convergence between professional areas of revolutionary management activities, as one of the measures of such efforts, is currently getting heightened attention. Inside design industry, the need for discussion for convergence with other professional areas is getting visible. Design generally is involved in production of goods for sale in the market through corporates, and by this involvement cooperates with other professional areas such as management, technologies, sales and consumer
specialties. This is very much effective to achieve consistency in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nterchange between professional areas and work promotion on outcome. Due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 of design business being performed through close discussion and harmony with other professional areas, there came the need for study on improved practice due to convergence by other professional areas to design as the center, and extended role of design to new professional area. This study aims to suggest forming process, system and model for design strategy through convergence between professional areas by case studies and researches of convergence applied between brand strategy and technology plan in new venture business emphasizing designs. As the empirical case study, this study summarized 3M's success factors when making inroad into students'
illumination stand devices market which was a new venture business, and discussed converged design strategy establishment centered on design by empirical method.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버드 경영대학원, "창의와 혁신의 핵심 전략" 청림출판 2004
2 이수봉,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3 사도야마 야스히코, "디자인전략경영입문" 미진사 1995
4 경노훈, "기업이미지를 디자인하라" 이손 2006
5 박천규, "기업 브랜드와 개별 브랜드의 상생전략, LG경제"
6 조은환, "경영이념에 기반한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주)지엠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8 (28): 135-145, 2010
7 Oakely, Mark, "Design Management" Blackwell Reference 1990
1 하버드 경영대학원, "창의와 혁신의 핵심 전략" 청림출판 2004
2 이수봉,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3 사도야마 야스히코, "디자인전략경영입문" 미진사 1995
4 경노훈, "기업이미지를 디자인하라" 이손 2006
5 박천규, "기업 브랜드와 개별 브랜드의 상생전략, LG경제"
6 조은환, "경영이념에 기반한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주)지엠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8 (28): 135-145, 2010
7 Oakely, Mark, "Design Management" Blackwell Reference 1990
구매 후 촉진상황에서 소비자의 긍정적 사고가 재구매의도 및 긍정적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 평가에 있어서 고객 활동 차원과 기업 역량의 상호작용 효과
뮤지컬 출연배우의 전문성과 인지도가 관람객의 관람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격적 비교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이 브랜드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08-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Journal of Product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6-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3 | 0.788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