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중국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모음 조음 양상 = A study of the Korean vowel articulation of Korean-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9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조음 양상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모음 조음 오류 원인을 한국어-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지역의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이중모음을 조음 산출 검사 목록을 발화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와 아동의 연령에 따라 한국어 모음 조음 오류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모음 체계와 한국어 모음 체계가 1:1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어 모음 조음에 오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조음 양상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모음 조음 오류 원인을 한국어-중국어 모음 체계 대...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조음 양상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모음 조음 오류 원인을 한국어-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지역의 중국계 다문화가정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이중모음을 조음 산출 검사 목록을 발화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다문화가정 아동은 어머니의 한국어 숙달도와 아동의 연령에 따라 한국어 모음 조음 오류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어인 중국어 모음 체계와 한국어 모음 체계가 1:1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어 모음 조음에 오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coustically analyzes
      the articulation of Korean vowel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Korean vowel articulation err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in the Korean-Chinese vowel system contrast.
      Children and mothers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were asked to speak Korean vowels after looking at the list of articulation words.
      In addition, when acoustically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different Korean vowel articulation errors depending on their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the child's age. This confirmed that Korean
      vowels were uncertainly articulated because the Chinese vowel system and the
      Korean vowel system, the mother languages of multicultural mothers, did not
      correspond one-to-one. (Woosuk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study acoustically analyzes the articulation of Korean vowel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Korean vowel articulation err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in the Korean-C...

      This study acoustically analyzes
      the articulation of Korean vowel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Korean vowel articulation error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in the Korean-Chinese vowel system contrast.
      Children and mothers from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were asked to speak Korean vowels after looking at the list of articulation words.
      In addition, when acoustically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different Korean vowel articulation errors depending on their
      mother's Korean proficiency and the child's age. This confirmed that Korean
      vowels were uncertainly articulated because the Chinese vowel system and the
      Korean vowel system, the mother languages of multicultural mothers, did not
      correspond one-to-one. (Woosuk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우, "현대중국어 음운론" 신아사 2013

      2 박덕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교육 연구" 박문사 2012

      3 엄익상, "표준중국어음운론" 한신문화사 2016

      4 장찌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 내용 구성 연구" 경북대학교 2018

      5 김수진,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7

      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 ‧ 외국인 인구전망(2020~2040년)"

      7 고도흥, "음성언어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9

      8 이귀옥 ; 이혜련, "아동의 이중언어경험과 상위인지능력의 관계:기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105-119, 2005

      9 조승연 ; 이은주, "다문화가정의 조음음운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414-423, 2012

      10 교육인적자원부(교육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6

      1 이해우, "현대중국어 음운론" 신아사 2013

      2 박덕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교육 연구" 박문사 2012

      3 엄익상, "표준중국어음운론" 한신문화사 2016

      4 장찌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 내용 구성 연구" 경북대학교 2018

      5 김수진,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2007

      6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 ‧ 외국인 인구전망(2020~2040년)"

      7 고도흥, "음성언어의 이해" 한신문화사 1999

      8 이귀옥 ; 이혜련, "아동의 이중언어경험과 상위인지능력의 관계:기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105-119, 2005

      9 조승연 ; 이은주, "다문화가정의 조음음운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414-423, 2012

      10 교육인적자원부(교육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6

      11 Fry, "The physics of speech" Cambridge textbook in Linguistics 1979

      12 Hodson, B. W., "Targeting intelligible speech : a phonological approach to remediation" College-Hill Press 1983

      13 Laver, J., "Princitples of Pho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4 Goldstein, B. A, "Phonological skills in predominantly english-speaking, predominantly spanish-speaking, and spanish-english bilingual children" 36 (36): 201-218, 2005

      15 Ingram, D., "Phonological Rules in Young Children" 1 (1): 49-64, 1974

      16 Hoff-Ginsberg, E., "Language development" Brooks/Cole Pub 1997

      17 Sachs, K., "Langenscheidts Grossworterbuch franzosisch" Langenscheidt 1972

      18 Hoff, E., "Flexibility in early verb use: evidence from a multiple" Blackwell 2009

      19 Holbrook, A., "Diphthong Formants and their Movements" 5 : 38-58, 1962

      20 Heike, "Corpora in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history, methods, perspectives" John Benjamins Pub 2009

      21 Jakobson, R., "Child Language, Alphasia, and Phonological Universals" The Huge 1968

      22 Clark, "An introduction to phonetics and phonology" Basil Blackwell 1990

      23 Ladefoged, "A course in phonetics" Harcourt Brace & Company 2006

      24 Lisker, L., "A Cross-Language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 Acoustical Measurements" 20 : 384-422, 1964

      25 Ladefoged, "A Course in Phonetics"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1993

      26 통계청, "2020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