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 염증 매개 물질인 bradykinin은 일차 감각신경인 척수 후근 신경절 (DRG) 세포를 활성화하여 말초에서 통각을 유발하고 전도한다. Bradykinin에 의하여 DRG 세포에 존재하는 Ca 통로의 활성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685492
1998년
Korean
510.000
한국연구재단(NRF)
1-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표적 염증 매개 물질인 bradykinin은 일차 감각신경인 척수 후근 신경절 (DRG) 세포를 활성화하여 말초에서 통각을 유발하고 전도한다. Bradykinin에 의하여 DRG 세포에 존재하는 Ca 통로의 활성화...
대표적 염증 매개 물질인 bradykinin은 일차 감각신경인 척수 후근 신경절 (DRG) 세포를 활성화하여 말초에서 통각을 유발하고 전도한다. Bradykinin에 의하여 DRG 세포에 존재하는 Ca 통로의 활성화가 억제되는 것이 통각의 유발 및 전도 과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Ca 통로에 대한 선택적인 억제제를 사용하여 Ca 통로를 종류 별로 분리한 후 그 중 bradykinin에 의하여 억제되는 Ca 통로의 종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Whole-cell patch-clamp 방법으로 일차 배양한 흰쥐 DRG 세포에서 막전압 의존성 Ca 통로를 통한 Ba 전류를 기록하였다. 유지 전압 -80 ㎷에서 150 ㎳ 동안 자극 전압을 -60 ㎷부터 10 ㎷ 간격으로 증가시켜 주었다. 자극전압 -50 ㎷ 에서 Ba에 의한 내향전류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0 ㎷에서 최고값을 보이고 +50 ㎷ 근처에서 역전되었다. Bradykinin (100 nM)에 의하여 high-voltage activated (HVA) Ba 전류가 억제되었으며, 3분 간격으로 badykinin을 반복하여 처치하였을 때 비슷한 크기의 억제효과를 다시 관찰할 수 있었다. DRG세포의 Ba 전류가 bdykinin에 의하여 억제될 때 활성화 time constant가 약간 커지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Low-voltage activated (LVA) Ba 전류인 T-형 전류는 bradykinin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HVA Ba 전류 중 nifedipine (1 uM)에 의하여 억제되는 L-형 Ba 전류도 역시 bradykinin에 의하여 억제되지않았다. 한편, N- 및 P-형 억제제로 Ba 전류가 억제되면, bradykinin에 반응하는 전류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DRG 세포의 Ca 통로 중 N- 및 P-형 통로 만이 bradykinin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