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 30년대 한국 지식인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 -양건식, 정래동, 김태준의 경우- = The introduction of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in 1920, 30s Korea -The activities of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9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15년에 시작되어 중국 사상과 언어의 개혁을 이끈 신문화운동은 중국 문제에 관심을 가진 1920,30년대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문학 영역에서 새로운 문학 형식의 ...

      1915년에 시작되어 중국 사상과 언어의 개혁을 이끈 신문화운동은 중국 문제에 관심을 가진 1920,30년대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문학 영역에서 새로운 문학 형식의 탄생, 문학을 통한 현실 자각, 계몽 등은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사상혁명을 고민하는 지식인들의 참조점이 되었다. 양건식은 1920년대 초 중국 신문화운동에 깊이 공감하며 중국의 신문학작품을 열성적으로 번역했다. 이를 통해 조선문학의 성장과 사상혁명에 기여하기를 희망했다. 정래동은 신문화운동이 퇴조된 1923년 중국 유학길에 올라 중국전문가로 성장했다. 따라서 1920, 30년대에 걸쳐 중국신문화운동의 의미를 인정하는 한 편사후적으로 거리를 두고 평가함으로써 신문화운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 김태준은 1930년의 짧은 중국 체류를 통해 문예운동이 사상운동의 기반임을 목도하면서 신문화운동의 의미에 공감했다. 그러나 프로문학이 성행하던 당시 한-중 프로문학의 관점에 공감하면서 신문화운동을 극복해야 할 과거로 간주했다. 중국신문화운동은 수용자의 환경과 사상에 따라 각자 다른 편차를 띠고 인식되고 소개되었다. 1920,30년대 한국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은 당시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였다. 특히 이 네트워크 안에서 중국의 문학 담론과 창작물이 근대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대처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동시에 이 시기 한국의 중국신문화운동 담론은 당시 존재하던 한중 지식네트워크 안에서 형성된것이다. 더 나아가 단절이나 무기력으로 인식되던 한일합병 이후 한중 지식네트워크의 존재양상을 탐색할 수 있는 유력한 실마리가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started in China at 1915, leaded the reform of idea, language and literature.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who can be called as 1st generation sinologist in modern Korea, had interest in it during 1...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started in China at 1915, leaded the reform of idea, language and literature.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who can be called as 1st generation sinologist in modern Korea, had interest in it during 1920s~30s. Especially, the birth of new writing style, perceptions of realitythrough literature, enlightenment in thoughts became the main references for them to seek the way the Korean revolution of literature, culture and thoughts. Yang, Geon-sik expressed sympathy with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deeply therefore translated several volumes of novels and plays of modern China and hoped Chinese literature can be helpful to the growth of literature and the revolution of ideas in modern Korea. Jung, Nae-dong went to China to study after New Culture Movement declined, it made him evaluate New Culture Movement more objectively, although he also hoped to learn from Chinese literature. Kim, Tae-jun on the one hand witnessed literature movement played the role of useful means in social and ideological movement, but on the other hand regarded New Culture Movement as the past of current proletarian literature, all his views is bases on socialist idea. These three types of view constructs the multi images of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in 1920s~30s Korea. All of these views are relevant to the effort of Korean intellectuals to accomplish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literature. It can be important historica resources for describing the knowledge communication and network of Korea and China between 1910s and 1930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민, "梁白華의 중국현대문학 수용과 번역에 대한 연구 : 현대소설 번역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2 박남용, "金光洲의 중국 체험과 중국 신문학의 소개, 번역과 수용" 중국연구소 47 : 135-153, 2009

      3 백지운, "한국의 1세대 중국문학 연구의 두 얼굴 ―정내동과 이명선" 대동문화연구원 (68) : 397-422, 2009

      4 김시준, "한국에서의 중국현대문학연구 개황과 전망" 중국어문학회 (4) : 1-8, 1997

      5 박진영,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성립의 기원과 역사성" 이화인문과학원 7 (7): 5-38, 2014

      6 박진영, "중국문학의 발견과 전문 번역가 양건식의 초상" 근대서지학회 (10) : 2014

      7 양건식, "중국단편소설집" 개벽사 1923

      8 정래동, "정래동전집 Ⅱ-평론편" 금강출판사 1971

      9 정래동, "정래동전집 Ⅰ-학술논문편" 금강출판사 1971

      10 방평, "정래동 연구 : 중국현대문학의 소개와 번역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1 서경민, "梁白華의 중국현대문학 수용과 번역에 대한 연구 : 현대소설 번역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2 박남용, "金光洲의 중국 체험과 중국 신문학의 소개, 번역과 수용" 중국연구소 47 : 135-153, 2009

      3 백지운, "한국의 1세대 중국문학 연구의 두 얼굴 ―정내동과 이명선" 대동문화연구원 (68) : 397-422, 2009

      4 김시준, "한국에서의 중국현대문학연구 개황과 전망" 중국어문학회 (4) : 1-8, 1997

      5 박진영,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성립의 기원과 역사성" 이화인문과학원 7 (7): 5-38, 2014

      6 박진영, "중국문학의 발견과 전문 번역가 양건식의 초상" 근대서지학회 (10) : 2014

      7 양건식, "중국단편소설집" 개벽사 1923

      8 정래동, "정래동전집 Ⅱ-평론편" 금강출판사 1971

      9 정래동, "정래동전집 Ⅰ-학술논문편" 금강출판사 1971

      10 방평, "정래동 연구 : 중국현대문학의 소개와 번역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11 박남용, "일제시기 중국 현대희곡의 국내 번역과 그 특징 연구" 중국학연구회 (50) : 429-459, 2009

      12 박남용, "일제 시기 중국 현대소설의 국내 번역과 수용" 중국어문논역학회 (24) : 305-325, 2009

      13 남윤수, "양백화문집 3-산문, 평론"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5

      14 정선경, "양건식의 중국신문학운동 수용과 번역의 태도" 중국어문학연구회 (79) : 417-448, 2013

      15 이한결, "양건식 소설에 나타난 절망의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22) : 25-53, 2014

      16 박용식, "양건식 문학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4) : 1991

      17 정종현, "신남철 문장선집1-식민지 시기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18 고재석, "신구문학사상의 대립과 교체 -이광수와 양건식의 소설론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16) : 167-180, 1993

      19 "북경학생통일 재중동포학생"

      20 이주미, "백화 양건식의 현대적 문예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411-432, 2008

      21 최용철, "백화 양건식의 중국문학 연구와 번역에 대하여" 영남중국어문학회 (28) : 1996

      22 성현자, "백화 양건식의 중국 신문학 운동 수용 연구" 한국비교문학회 (24) : 1999

      23 왕철, "백화 양건식의 번역문학 : '중국신문학운동' 번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24 배개화, "백화 양건식과 근대적 문체의 실험" 한국현대문학회 (18) : 155-194, 2005

      25 고재석, "백화 양건식 문학연구 1-3.1운동 이전까지의 생애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2) : 1989

      26 양건식, "만일 내가 다시 이십 살의 청년이 될 수 있다면-유학 십 년" (8) : 1926

      27 공상철, "루쉰과 김태준의 ‘文’ 의식 비교 연구―《漢文學史綱要》와 《朝鮮漢文學史》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학회 (12) : 179-205, 2004

      28 양건식, "내가 제일 창피하던 일-필담하다 대실수" (11) : 1928

      29 백영길, "김태준과 동아시아 문학-중국현대문학론 및 연안행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 : 1997

      30 정문상, "근현대 한국인의 중국 인식의 궤적" 한국근대문학회 (25) : 203-231, 2012

      31 장노현, "근대전환기 중국 매개 번역문학의 현황과 양상" 국제어문학회 (56) : 321-345, 2012

      32 정선경, "근대시기 양건식의 중국고전소설 번역 및 수용에 관하여" 중국어문학연구회 (73) : 351-377, 2012

      33 홍석표, "근대 한중 교류의 기원-문학과 사상 그리고 학문의 교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34 이용범, "金台俊과 郭沫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35 백영길, "金台俊的中國現代文學論及魯迅觀" 한국중국현대문학회 (17) : 1999

      36 趙姬珍, "白華 梁建植 단편소설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31-252, 2002

      37 양백화, "最近五十年의 中國文學(一)"

      38 "新建할 朝鮮文學의 性格"

      39 양백화, "文學革命에서 革命文學"

      40 天台山人, "文學革命後의 中國文藝觀-過去十四年間」(一)~(十八)"

      41 정래동, "文壇肅淸과 外國文學輸入의 필요(四)"

      42 김태준, "外國文學專攻의 辯(6)-新文學의 飜譯紹介"

      43 양백화, "中國의 思想革命과 文學革命」(一)~(十三)"

      44 정래동, "中國의 國故整理에 對한 諸說(完)-七. 國學運動의 我見, 成仿吾"

      45 정래동, "中國文人印象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