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부모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23804
부천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상담심리학 , 2022.2
2022
한국어
155.5 판사항(21)
경기도
(The) effec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vii, 82 p. : 삽화 ; 26 cm.
가톨릭대학교 (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유금란
참고문헌 포함
I804:41027-2000005931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부모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부모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여자 대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척도(FRS-A),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CCS), 사회적 지지 척도(PSSS)가 포함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 및 SPSS PROCESS macro v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는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과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유능성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화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화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적 지지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화 하위 요인 중 물리적 부모화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했으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모화 하위 요인 중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화 각 하위 요인인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적 지지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51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8 or older, including the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FRS-A), Self-Concept Clarity Scale(SCCS),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PSSS), and Korean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K-ICQ).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6 and SPSS PROCESS macro v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ification, self-concept clarity,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concept clarity,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which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was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ification, unfair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espectively.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which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support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emotional parentification, unfair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are sub-factors of parent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