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 비숙성치즈의 보충섭취가 지질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89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식이로 유도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비숙성치즈를 보충 투여하였을 때 간과 혈액 내 지질상태 및 항산화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4주간 고콜레스테롤 식이섭취를 통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한 뒤 고콜레스테롤식이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비숙성치즈 첨가식이를 6주간 더 투여하였다. 실험기간 중 평균 식이섭취량은 그룹 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체중 변화량과 식이효율은 다른 군에 비해 비숙성치즈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대조군에서 간 무게, 혈장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농도 및 혈장 AST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숙성치즈섭취군에서는 고콜레스테롤 혈증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간조직의 총 지질함량,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의 농도도 비숙성치즈 보충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분변의 지질성분에는 비숙성치즈 보충섭취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혈장 retinol과 γ-tocopherol, α-tocopherol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대조군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비숙성치즈 보충섭취 후 혈장 retinol, α-tocopherol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백혈구 DNA 손상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숙성치즈의 보충섭취는 이를 52.3% 감소시켰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비숙성치즈의 보충섭취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 상태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수준의 기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지며 비숙성치즈의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등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식이로 유도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비숙성치즈를 보충 투여하였을 때 간과 혈액 내 지질상태 및 항산화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나머지...

      본 연구에서는 식이로 유도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비숙성치즈를 보충 투여하였을 때 간과 혈액 내 지질상태 및 항산화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4주간 고콜레스테롤 식이섭취를 통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한 뒤 고콜레스테롤식이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비숙성치즈 첨가식이를 6주간 더 투여하였다. 실험기간 중 평균 식이섭취량은 그룹 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체중 변화량과 식이효율은 다른 군에 비해 비숙성치즈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대조군에서 간 무게, 혈장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농도 및 혈장 AST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숙성치즈섭취군에서는 고콜레스테롤 혈증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간조직의 총 지질함량,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의 농도도 비숙성치즈 보충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분변의 지질성분에는 비숙성치즈 보충섭취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혈장 retinol과 γ-tocopherol, α-tocopherol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대조군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비숙성치즈 보충섭취 후 혈장 retinol, α-tocopherol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백혈구 DNA 손상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숙성치즈의 보충섭취는 이를 52.3% 감소시켰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비숙성치즈의 보충섭취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 상태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수준의 기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지며 비숙성치즈의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등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unripened cheese supplement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hypercholesterolemic SD rats. Rats were induced to have hypercholesterolemia by feeding them high cholesterol diet (0.5% cholesterol and 0.2% sodium cholate) for 4 weeks and then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wa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with 5% unripened cheese (URC) daily for 6 weeks, and the other one wa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without 5% unripened cheese (URC) daily for 6 weeks. Significantly-increased plasma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 and AST activity because of the high-cholesterol diet were reduced 18.8%, 40.5%, and 33%, respectively, by URC supplementation. Also, URC lowered hepatic total lipids, TCs, and TGs, whereas fecal lipid profiles were not changed by URC. The supplementation of URC resulted in an increase of plasma retinol and α-tocopherol by 40.5% and 39.2% and leukoytic DNA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by 52.3% compared to hypercholesterolemic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ripened cheese supplements could exert significant health benefits to those with hypercholesterolemia through ameliorating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effect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unripened cheese supplement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hypercholesterolemic SD rats. Rats were induced to have hypercholesterolemia by feeding them high cholesterol diet (0.5% c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unripened cheese supplement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hypercholesterolemic SD rats. Rats were induced to have hypercholesterolemia by feeding them high cholesterol diet (0.5% cholesterol and 0.2% sodium cholate) for 4 weeks and then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wa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with 5% unripened cheese (URC) daily for 6 weeks, and the other one wa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without 5% unripened cheese (URC) daily for 6 weeks. Significantly-increased plasma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 and AST activity because of the high-cholesterol diet were reduced 18.8%, 40.5%, and 33%, respectively, by URC supplementation. Also, URC lowered hepatic total lipids, TCs, and TGs, whereas fecal lipid profiles were not changed by URC. The supplementation of URC resulted in an increase of plasma retinol and α-tocopherol by 40.5% and 39.2% and leukoytic DNA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by 52.3% compared to hypercholesterolemic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ripened cheese supplements could exert significant health benefits to those with hypercholesterolemia through ameliorating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eff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진, "황금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219-226, 2010

      2 송용범, "홍삼물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에서 간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 32 (32): 283-290, 2008

      3 김아라, "청국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체중감소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88-697, 2010

      4 조애리, "전지분유와 발효유를 이용한 치즈 유사품개발" 한국축산식품학회 30 (30): 102-109, 2010

      5 김라정, "생마늘,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159-170, 2010

      6 김태현, "명일엽과 울금 추출물의 투여가 고콜레스테롤식이와 P-407로 유도한 고지혈증쥐의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708-713, 2008

      7 이충언, "고콜레스테롤 함유 청국장 식이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6 (16): 932-937, 2006

      8 김윤준, "간기능 검사 해석" 대한소화기학회 51 (51): 219-224, 2008

      9 Karvonen HM, "The effect of vegetable oil-based cheese on serum total and lipoprotein lipids" 56 : 1094-1101, 2002

      10 Genser D, "Status of lipid soluble antioxidants and TRAP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and healthy controls" 53 : 675-679, 1999

      1 윤혜진, "황금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219-226, 2010

      2 송용범, "홍삼물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에서 간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 32 (32): 283-290, 2008

      3 김아라, "청국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체중감소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88-697, 2010

      4 조애리, "전지분유와 발효유를 이용한 치즈 유사품개발" 한국축산식품학회 30 (30): 102-109, 2010

      5 김라정, "생마늘,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159-170, 2010

      6 김태현, "명일엽과 울금 추출물의 투여가 고콜레스테롤식이와 P-407로 유도한 고지혈증쥐의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708-713, 2008

      7 이충언, "고콜레스테롤 함유 청국장 식이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6 (16): 932-937, 2006

      8 김윤준, "간기능 검사 해석" 대한소화기학회 51 (51): 219-224, 2008

      9 Karvonen HM, "The effect of vegetable oil-based cheese on serum total and lipoprotein lipids" 56 : 1094-1101, 2002

      10 Genser D, "Status of lipid soluble antioxidants and TRAP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and healthy controls" 53 : 675-679, 1999

      11 Horwitt MK, "Relationship between tocopherol and serum lipid levels for determination of nutritional adequacy" 18 : 223-236, 1972

      1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Joongang Publishing Co. 386-387, 2000

      13 Kim DY, "Radi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components on antioxidant enzymes,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γ-irradiated mice" 22 : 1-10, 1998

      14 Hamad EM, "Protective effect of whey proteins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57 : 1-7, 2011

      15 Robles R, "Oxidative stress in the neonate" 65 : S75-S81, 2001

      16 Singh N, "Oxidative stress and heart failure" 147 : 77-81, 1995

      17 Chiba H, "Opioid antagonist peptides derived from kappa-casein" 56 : 363-366, 1989

      18 Shon DH,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soymilk and cow's milk (a review)" 14 : 66-76, 1997

      19 Abou-Zeid NA, "New type of Domiati cheese of potential benefit to people with high blood cholesterol" 59 : 89-94, 1992

      20 Trompette A, "Milk bioactive peptides and beta-casomorphins induce mucus release in rat jejunum" 133 : 3499-3503, 2003

      21 Chi D, "Milk and milk products consumption in relationship to serum lipid levels: a community-based study of middle-aged and older population in Japan" 12 : 84-87, 2004

      22 Betti C, "Micro gel electrophoresis assay (comet assay) and SCE analysis in human lymphocytes from 100 normal subjects" 307 : 323-333, 1994

      23 Miwa K, "Low serum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in subjects with various coronary risk factors" 68 : 542-546, 2004

      24 Dziuba J, "Influence of glycosylation in micelle-stabilizing ability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 terminal fragment of cow's k-casein" 6 : 1017-1044, 1996

      25 Stapleton PA, "Hypercholesterolemia and microvascular dysfunction: interventional strategies" 7 : 54-64, 2010

      26 Zhang X, "High dietary fat induces NADPH oxidase-associat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rat cerebral cortex" 191 : 318-325, 2005

      27 Jauhiainen T, "Effects of low-fat hard cheese enriched with plant stanol esters on serum lipids and apolipoprotein B in mildly hypercholesterolaemic subjects" 60 : 1253-1257, 2006

      28 Intorre F, "Differential effect of cheese fatty acid composition on blood lipid profile and redox status in normolipidemic volunteers: a pilot study" 62 : 660-669, 2011

      29 Chun HN, "Development of Korean dairy industry- cheese" 23 : 161-166, 2005

      30 Kloner RA, "Deleterious effects of oxygen radicals in ischemia/reperfusion. Resolved and unresolved issues" 80 : 1115-1127, 1989

      3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eath by Causes 2007"

      32 Nestel PJ, "Dairy fat in cheese raises LDL cholesterol less than that in butter in mildly hypercholesterolaemic subjects" 59 : 1059-1063, 2005

      33 Glowinska B,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children with obes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lipoprotein(a) level and body mass index correlate with family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161 : 511-518, 2002

      34 Ahotupa M, "Baseline dienes conjugation in LDL lipids as a direct measure of in vivo LDL oxidation" 31 : 257-261, 1998

      35 Halliwell B,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16 : 33-50, 1996

      36 Lee HJ, "Antioxidant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components on the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mouse treated with paraquat" 23 : 182-189, 1999

      37 Burton GW, "Antioxidant action of carotenoids" 1119 : 109-111, 1989

      38 Folch J,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226 : 497-502, 1957

      39 Jung CS, "A development of cholesterol removed cheese" 13 : 129-147,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