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영위하는 공간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공간적 존재로써 인간의 삶 전체에 걸친 활동이 학습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인간의 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89674
2019
-
코워킹 스페이스 ; 공간활용 ; 학습경험 ; 배움 ; 상호작용 Coworking Space ; Using Space ; Learning Experience ; Learning ; Interaction
373
학술저널
29-48(2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삶을 영위하는 공간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공간적 존재로써 인간의 삶 전체에 걸친 활동이 학습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인간의 새...
삶을 영위하는 공간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공간적 존재로써 인간의 삶 전체에 걸친 활동이 학습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인간의 새로운 공간인 공유하는 업무 공간,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을 활용하는 경험이 학습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낯선 공간 속에서 공간적 지식을 쌓아가며 개인적인 공간(公有空間)과 공유 공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지(無知) 자각(self awareness)과 사유(思惟)를 통해 새로운 배움을 결심하거나, ‘공간을 함께 쓰는 사람’들과 만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있었다. 즉, 물리적으로 주어진 공간을 자신만의 공간으로 길들이고 재창조하며, 이렇게 재창조된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spatial being, we are learning from variety of experiences in our living space. In additio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the perception that human activities throughout life are learning is expanding. Along with this flow, t...
As a spatial being, we are learning from variety of experiences in our living space. In additio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the perception that human activities throughout life are learning is expanding. Along with this flow, the study looked at the learning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using the space of the Coworking Space, a new and recently growing workplace for human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using spaces given to them, recognizing unfamiliar spaces, learning space and using them in their own ways. Participants decide to learn of new things through the unknowing and self-awareness or they were learning voluntarily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who share space. In other words, they were using physically given space as his own and participating in voluntarily learning activities by motivating new learn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학순, "존재와 공간" 한길사 2016
2 강학순, "볼노우의 인간학적 공간론에 있어서 '거주'의 의미" 한국하이데거학회 (16) : 5-32, 2007
3 강예지, "대학생 경영컨설팅 인턴의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63-82, 2013
4 국립환경과학원, "국민 일일 활동시간 양상에 따른 개인노출 평가 연구" 2009
1 강학순, "존재와 공간" 한길사 2016
2 강학순, "볼노우의 인간학적 공간론에 있어서 '거주'의 의미" 한국하이데거학회 (16) : 5-32, 2007
3 강예지, "대학생 경영컨설팅 인턴의 일터에서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63-82, 2013
4 국립환경과학원, "국민 일일 활동시간 양상에 따른 개인노출 평가 연구" 2009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침묵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조직학습지향성을 매개로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