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가치관의 혼란과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한 불안은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살아가기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특히 인성(人性)...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7843
2021
-
사소절 ; 士小節 ; 인성교육 ; 이덕무 ; 李德懋 ; Sasojeol ; Character Education ; Lee Deok Moo
KCI등재
학술저널
107-132(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가치관의 혼란과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한 불안은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살아가기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특히 인성(人性)...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가치관의 혼란과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한 불안은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살아가기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특히 인성(人性) 형성에 결정적 시기인 아동기부터의 인성교육이 강조되게 되면서, 인성교육은 유아기부터 일상생활 속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믿었던 우리나라의 전통적 인성교육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인성교육을 중요시했던 우리나라의 아동교육과 관련한 교육고전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인성교육관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현대 인성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실학파의 대표적 교육 고전의 하나인 이덕무(李德懋)의 『사소절(士小節)』에 나타난 인성교육관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사소절(士小節)』에서 강조하고 있는 시대에 적합한 선비정신 함양에 드러난 인성교육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erspective of character education in Sasojeol. Sasojeol is a educational guidance published by Lee Duk Moo. Lee Duk Moo was one of the famous Korean scholars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18th 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erspective of character education in Sasojeol. Sasojeol is a educational guidance published by Lee Duk Moo. Lee Duk Moo was one of the famous Korean scholars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18th century. It was the 18th century that was bloomed with practical science and Lee Duk Moo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and leaders who was influenced by the field. At the era of collision between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the School of Neo-Confucian, Sasojeol was written as a kind of a manual of manners. It was consists of Sajeon, Bueui, Dongyu. Because it was written in very concrete and practical manner using examples of real life situation, Sasojeol became substitution for Zhu Xi’s Sohak. In Sasojeol, Lee Duk Moo addresses that children need to keep their acquired manners from their earlier ages and be ready for dignity. And to do so, they are supposed to learn manners in everyday life. And these manners serve as a foundation of Seonbi spirit. Overall, Lee Duk Moo emphasized manners of Seonbi, yet in a practial way. And these principles in Lee Dukmoo's Sasojeol suggest that they are connected with guiding of character education in modern society.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桂眞, "李德懋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 보통교육사상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2 심정열, "李德懋의 士小節 「童規」篇을 통한 敎育方法 硏究" 근역한문학회 27 : 153-186, 2008
3 이성무, "한국역사의 이해" 집문당 1-326, 2006
4 안대회, "청장관 이덕무 연구" 학자원 1-426, 2019
5 박형근, "창의 인성 중심의 리더십" 양서원 1-173, 2018
6 김정현, "조선후기 초학 교재에 나타난 실학교육사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정호훈,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고려사학회 (31) : 111-143, 2008
8 김향은,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원리" 아동교육학회 (10) : 421-429, 2001
9 구자역, "인성과 리더십" 양서원 1-308, 2019
1 金桂眞, "李德懋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 보통교육사상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2 심정열, "李德懋의 士小節 「童規」篇을 통한 敎育方法 硏究" 근역한문학회 27 : 153-186, 2008
3 이성무, "한국역사의 이해" 집문당 1-326, 2006
4 안대회, "청장관 이덕무 연구" 학자원 1-426, 2019
5 박형근, "창의 인성 중심의 리더십" 양서원 1-173, 2018
6 김정현, "조선후기 초학 교재에 나타난 실학교육사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정호훈,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고려사학회 (31) : 111-143, 2008
8 김향은,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원리" 아동교육학회 (10) : 421-429, 2001
9 구자역, "인성과 리더십" 양서원 1-308, 2019
10 최태삼, "이덕무의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 생활지도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11 김정기, "아정 이덕무의 아동교육사상 : 『사소절』의 「동규」편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2 권수영, "실학기행" 황금시간 1-288, 2011
13 이덕무, "사소절" 전통문화연구회 1-24, 2013
14 한기언, "교육명저해제" 한국학술정보 1-506, 2009
15 李明順, "士小節에 대한 일고찰 : 그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16 김기현, "『소학』 저술과 ‘미발 함양’ 공부의 상관 관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7) : 183-206, 2017
17 신동은, "『小學』의 교육적 원리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31) : 45-70, 2004
18 권정원, "『士小節』의 초학교재로의 변화과정 연구" 동양한문학회 34 (34): 43-65, 2012
19 최은주, "‘어린이 키우기’와 ‘어린이 모시기’에 관한 문헌연구- 「동규(童規)」와 「해월신사법설(海月神師法說)」을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5-44, 2012
20 윤인숙, "16세기『小學』諺解의 사회 정치적 의미와 대중화 -『飜譯小學』과『小學諺解』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58) : 189-216, 2012
대곡(大谷) 김석구(金錫龜)의 리일원적(理一元的) 사유(思惟)에서의 선악론(善惡論)과 경론(敬論)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의 심설논변(心說論辨)에 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