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슈 지명의 어원에 대한 고찰 = Crosscultural study of etymology of toponym focusing on Kyushu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7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일본의 문화 교류에 대해 지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국호의 어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지명에 대한 논점을 정리한다. 규슈의 북부는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하고 남부는 미야자키와 가고시마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한다. 본고에서는 고마, 고라이, 구다라, 시라기, 가라, 가락국, 가야, 조선의 어원에 대한 논쟁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것이 규슈 지역의 명칭에 어떤 형태로 남아 있는지에 대해 선행연구, 사전,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지명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풀이하는 차음, 차훈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이 동시에 사용된 어휘도 찾아볼 수 있었다. 고대 국가명은 현존하는 지명 이외에도 유적지, 유물 등에도 남아 있었고 행정구역의 개편 등에 의해 현재는 소실되었지만 현지 주민에게는 여전히 익숙한 지명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실례 분석을 위해 가라, 가야, 고마, 고우리, 고라이, 구시, 다타라, 무라, 바루, 세후리, 수구, 와지로, 후레 등의 어원에 대해 살펴본다.
      본고는 한국과 일본이 각자의 문명 전환기에 상대방에게 매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본다. 근대에는 일본이 서구 문명의 매개자였다면 고대와 중세에는 한국이 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규슈 지명에 남아 있는 한일 교류의 발자취가 당대뿐만 아니라 현재의 우리에게 남겨준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번역하기

      본고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일본의 문화 교류에 대해 지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국호의 어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지명에 대한 논점을 정리한다. 규슈의 북부는 후쿠...

      본고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일본의 문화 교류에 대해 지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국호의 어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지명에 대한 논점을 정리한다. 규슈의 북부는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하고 남부는 미야자키와 가고시마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한다. 본고에서는 고마, 고라이, 구다라, 시라기, 가라, 가락국, 가야, 조선의 어원에 대한 논쟁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것이 규슈 지역의 명칭에 어떤 형태로 남아 있는지에 대해 선행연구, 사전,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지명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풀이하는 차음, 차훈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이 동시에 사용된 어휘도 찾아볼 수 있었다. 고대 국가명은 현존하는 지명 이외에도 유적지, 유물 등에도 남아 있었고 행정구역의 개편 등에 의해 현재는 소실되었지만 현지 주민에게는 여전히 익숙한 지명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실례 분석을 위해 가라, 가야, 고마, 고우리, 고라이, 구시, 다타라, 무라, 바루, 세후리, 수구, 와지로, 후레 등의 어원에 대해 살펴본다.
      본고는 한국과 일본이 각자의 문명 전환기에 상대방에게 매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본다. 근대에는 일본이 서구 문명의 매개자였다면 고대와 중세에는 한국이 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규슈 지명에 남아 있는 한일 교류의 발자취가 당대뿐만 아니라 현재의 우리에게 남겨준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toponyms of Kyushu region. After briefly examining the cultural background with the etymology of the Goguryeo, Baekje, Gaya, Silla, Goryeo and Joseon. The origin of toponyms is analyz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dialect and etymology dictionaries.
      This paper examines the etymology of the toponym of North and South Kyushu arear, included the name of relics or historical sites. It attem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In Kyushu,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south region of Korea in ancient time. For instance, It appears directly the Chinese character of Korea in the notation on Karakunidake as 韓國岳, which spans the border between Kagoshima and Miyazaki. It’s similar in Karakuni Ujumine shrine as 韓國宇豆峯which is located around the peak of mountain Karakuni. At the same time, the toponym of Korai village on Kagoshima and Nagasaki reminds us to Goryeo(高麗), either.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tymology is as follows.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s of cultural exchange remains in various forms in toponym. First, place names are mainly composed by sounds or meanings of chinse character, additionally there are couples of examples which is formed by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Second, it is analyzed the etymology of Gara, Gaya, Goma, Gouri, Gorai, Kushi, Datara, Mura, Baru, Sefuri, Sugu, Wajiro, and Fure. Third,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Kyushu region was relatively systemized in the area of Baekje and Gaya compared to other ancient countries. In additionally, forth, the migration route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because of the migration means as ships at that time. Fifth, it was meaningful migration of Korean with royal families, relatives and people who have specific skills such as a (certificated) ceramic craftsman, agriculturist, castle building engineer etc. It also considers the role of crosscultural projects and its positive effects to the future generation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toponyms of Kyushu region. After briefly examining the cultural background with the etymology of the Goguryeo, Baekje, Gaya, Silla, Goryeo and Jose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toponyms of Kyushu region. After briefly examining the cultural background with the etymology of the Goguryeo, Baekje, Gaya, Silla, Goryeo and Joseon. The origin of toponyms is analyz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dialect and etymology dictionaries.
      This paper examines the etymology of the toponym of North and South Kyushu arear, included the name of relics or historical sites. It attem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In Kyushu,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south region of Korea in ancient time. For instance, It appears directly the Chinese character of Korea in the notation on Karakunidake as 韓國岳, which spans the border between Kagoshima and Miyazaki. It’s similar in Karakuni Ujumine shrine as 韓國宇豆峯which is located around the peak of mountain Karakuni. At the same time, the toponym of Korai village on Kagoshima and Nagasaki reminds us to Goryeo(高麗), either.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tymology is as follows.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s of cultural exchange remains in various forms in toponym. First, place names are mainly composed by sounds or meanings of chinse character, additionally there are couples of examples which is formed by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Second, it is analyzed the etymology of Gara, Gaya, Goma, Gouri, Gorai, Kushi, Datara, Mura, Baru, Sefuri, Sugu, Wajiro, and Fure. Third,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Kyushu region was relatively systemized in the area of Baekje and Gaya compared to other ancient countries. In additionally, forth, the migration route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because of the migration means as ships at that time. Fifth, it was meaningful migration of Korean with royal families, relatives and people who have specific skills such as a (certificated) ceramic craftsman, agriculturist, castle building engineer etc. It also considers the role of crosscultural projects and its positive effects to the future gener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黎明館(가고시마 역사자료센타)"

      2 김공칠, "한일 공통 어휘연구" 한국 문화사 2006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4 김희경,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교육 과제" 이새의나무 출판사 2021

      5 김석형, "초기 조일관계 연구" 사회과학원 출판사 1996

      6 이진아, "지구 위에서 본 우리 역사" 루아크 2019

      7 도수희, "잃어버린 고대 한국어 ‘백제어’를 찾아서"

      8 이재훈, "일본으로 건너갔다 천년 만에 돌아온 우리말들"

      9 이남교, "일본어 源流산책 15-서우루(ソウル)"

      10 김달수, "일본 속의 한국문화 유적을 찾아서" 대원사 1995

      1 "黎明館(가고시마 역사자료센타)"

      2 김공칠, "한일 공통 어휘연구" 한국 문화사 2006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4 김희경,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교육 과제" 이새의나무 출판사 2021

      5 김석형, "초기 조일관계 연구" 사회과학원 출판사 1996

      6 이진아, "지구 위에서 본 우리 역사" 루아크 2019

      7 도수희, "잃어버린 고대 한국어 ‘백제어’를 찾아서"

      8 이재훈, "일본으로 건너갔다 천년 만에 돌아온 우리말들"

      9 이남교, "일본어 源流산책 15-서우루(ソウル)"

      10 김달수, "일본 속의 한국문화 유적을 찾아서" 대원사 1995

      11 이병운, "일본 규슈 지방의 행정구역 지명어 연구" 11 : 279-330, 1998

      12 심보경, "일본 고대 무장국 지명에 반영된 한국계 지명 어원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0

      13 김인택, "일본 가고시마 방언 어휘에 잔재하는 한국어적 요소 -기층 어휘를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14) : 25-45, 2004

      14 한글학회편집부, "우리말큰사전4-옛말과 이두" 어문각 1992

      15 이재운, "우리말 어원 500가지" 예담출판사 2008

      16 배우리, "우리땅 이름의 뿌리를 찾아서" 토담출판사 1994

      17 도수희, "백제의 국호에 관한 몇 문제" 22 : 27-51, 1991

      18 안호상, "나라 이름 조선에 대한 고찰" 8 (8): 77-96, 1965

      19 "나가사키시 정기간행물"

      20 서정범, "국어어원사전" 보고사 2000

      21 玉林晴朗, "言語學上より見たる佛印と日本との關係(中島利一郎)" 書物展望社 8-14, 1942

      22 国立国語研究所, "沖縄方言辞典" 1973

      23 日本歴史大辞典編集委員会, "日本歴史大辞典" 河出書房新社 1985

      24 宮本洋一, "日本姓氏語源辞典" 示現舎 2016

      25 谷川健一, "地名の古代史" 河出書房新社 2012

      26 김달수, "古代朝鮮と日本文化 : 神々のふるさと" 講談社 1986

      27 도수희, "北九州地域의 韓系地名語源硏究" 충남대 대학원 1999

      28 九州の中の朝鮮文化を感合える会, "九州のなかの朝鮮" 明石書店 2002

      29 후쿠오카대한민국총영사관, "『퀴클리』 214호"

      30 "https://blog.daum.net/osowny/15972757"

      31 김성규, "Silk의 어원은 신라비단 Serica-시라기(新羅)에서 유래" 역사산책 2001

      32 Kim, Tae-Heui, "Comparative Study on Similar Origin of Korean, Mongolian, Japanese and Chinese and the Ancient Political History of Korean People" 국제비교한국학회 4 : 200-226, 1998

      33 백성호, "400년 전 일본에 조선인 성당 나가사키서 봉헌 기념 미사"

      34 성시홍, "17세기 일본 도자기의 성공 요인"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2019

      35 이오봉, "1300여 년 동안 백제 정가왕·복지왕 기리며, “사라바(살아서 봐), 오사라바(잘살아서 다시 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