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워드 제어,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Korea Anabaptist Press 2010
2 이호중, "회복적 사법: 이념과 법이론적 쟁점들" 한국피해자학회 9 : 2001
3 이백철, "회복적 사법: 대안적 형벌체제로서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3) : 137-172, 2002
4 김영식, "회복적 교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6
5 조극훈, "헤겔철학에서 용서담론과 회복적 정의"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953-984, 2017
6 쿠르트 젤만, "헤겔의 형벌이론" 한국법철학회 1 : 1998
7 조극훈, "헤겔의 근대 자연법론 비판 -이성의 ‘분화와 통합’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4) : 217-243, 2013
8 한스 벨첼, "자연법과 실질적 정의" 삼영사 2001
9 헤겔, "자연법" 한길사 2004
10 조극훈, "인문교정의 학적 체계 정립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8 (8): 35-62, 2014
1 하워드 제어,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Korea Anabaptist Press 2010
2 이호중, "회복적 사법: 이념과 법이론적 쟁점들" 한국피해자학회 9 : 2001
3 이백철, "회복적 사법: 대안적 형벌체제로서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3) : 137-172, 2002
4 김영식, "회복적 교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6
5 조극훈, "헤겔철학에서 용서담론과 회복적 정의"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953-984, 2017
6 쿠르트 젤만, "헤겔의 형벌이론" 한국법철학회 1 : 1998
7 조극훈, "헤겔의 근대 자연법론 비판 -이성의 ‘분화와 통합’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4) : 217-243, 2013
8 한스 벨첼, "자연법과 실질적 정의" 삼영사 2001
9 헤겔, "자연법" 한길사 2004
10 조극훈, "인문교정의 학적 체계 정립 연구" 아시아교정포럼 8 (8): 35-62, 2014
11 조극훈, "사회갈등과 범죄에 대한 철학적 고찰" 아시아교정포럼 7 (7): 1-34, 2013
12 몽테스키, "법의 정신" 홍신문화사 1997
13 래리 시겔, "범죄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2
14 한영선, "박탈공간으로서의 교정시설 - 박탈에서 회복으로 -" 아시아교정포럼 10 (10): 55-82, 2016
15 프로이트, "문명속의 불만" 열린책들 2004
16 전석환,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을 위한 시론" 아시아교정포럼 13-32, 2007
17 이백철, "교정학" 교육과학사 2015
18 박연규, "교정에서 회복적 정의의 관계윤리 - 콜슨, 제어,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 아시아교정포럼 10 (10): 113-144, 2016
19 이경재, "고전주의 범죄학의 인본주의사상" 경찰학연구소 3 (3): 7-30, 2008
20 Alleman, T, "Turnstile justice: Issues in American Correction" Prentice Hall 2002
21 Hudson, S, "The Limitations of Recognition: The Complexity of Actualizing Freedom in Hegel’s Philosophy of Right" 195 : 2014
22 Siep, L, "Sozialphilosophie und Kritik" 179-201, 2009
23 Zehr, H., "Restorative justice: Critical issues" 40-43, 2003
24 Luzon, G, "Restorative justice and normative responsibility" 4 (4): 27-40, 2016
25 Hegel, G. W. F., "Phӓnomenologie des Geistes" Felix Meiner Verlag 1952
26 Hobbes, T, "Leviathan" Macmillan 1962
27 Skotnicki, A, "How is Justice restored?" 19 (19): 187-204, 2006
28 Johnstone, Gerry, "Handbook of restorative justice" 27-45, 2013
29 Sticker, M, "HEGELS KRITIK DER ANERKENNUNG- SPHILOSOPHIE: Die Aufhebung verwirklichter Anerkennung in der Phänomenologie des Geistes" 49 : 89-122, 2015
30 Mohr, J,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heraus" Akademie Verlag 1997
31 Hegel, G. W. F.,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Suhrkamp Verlag 1971
32 Ricken, N, "Erziehung und Anerkennung" 82 (82): 215-230, 2006
33 Honneth, A, "Dialectics, Self-consciousness, and Recognition" The Hegelian Legacy 171-200, 2009
34 Braithwaite, J, "Crime, Shame, and Reintegr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35 Crawford, A., "Community justice: transforming communities through restorative justice" 3 : 215-, 2003
36 Siep, L, "Anerkennung als Prinzip der praktischen Philosophie: Untersuchungen zu Hegels Jenaer Philosophie des Geistes" Felix Meiner Verlag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