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 The mediation of democratic school rule and self-este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9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chooling has direct effects on youth's education achievement and scientific knowledge. Also, students acquire social norm and values in school system. social cognitions and feelings are also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such as school regulations, managerial style and student union activity. Specially, student's sociality is advanced through democratic managemen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democratic management of school influences student's sociality. Some studies have shown a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school manage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student. There are four latent variables and one observed variable in this study. The latent variables are involved operating of school, self esteem, sociality and observed variable is democratic activity of student union. Results demonstrate that involved operating of school has a direct influence on student's sociality. Also democratic school rule influence on sociality through process variables such as self estee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undemocratic school rules need to be revised and for student's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in decision-making at their school.
      번역하기

      Schooling has direct effects on youth's education achievement and scientific knowledge. Also, students acquire social norm and values in school system. social cognitions and feelings are also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such as school regulations, ma...

      Schooling has direct effects on youth's education achievement and scientific knowledge. Also, students acquire social norm and values in school system. social cognitions and feelings are also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such as school regulations, managerial style and student union activity. Specially, student's sociality is advanced through democratic managemen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democratic management of school influences student's sociality. Some studies have shown a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school manage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student. There are four latent variables and one observed variable in this study. The latent variables are involved operating of school, self esteem, sociality and observed variable is democratic activity of student union. Results demonstrate that involved operating of school has a direct influence on student's sociality. Also democratic school rule influence on sociality through process variables such as self estee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undemocratic school rules need to be revised and for student's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in decision-making at their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학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한국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 운영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성의 확보가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생의 자치조직으로서 학생회의 활동이 어떤 경로를 매개하여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학교의 참여적 운영이나 학칙의 민주적 규정 등 학교운영의 민주성은 교급별,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의 참여적 운영이나 학칙의 민주적 규정 등은 일반계 고등학교보다는 실업계 고등학교가 높았고, 민주적 학생회 운영은 일반계 고등학교가 실업계 고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의 참여적 운영과 민주적인 학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은 사회성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학생회의 활동을 단지 학생자치기구로서의 상징적 의미부여에서 벗어나 학생자치기구의 자율적․민주적 활동을 증진하는 것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도 중요하다는 점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학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학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한국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 운영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성의 확보가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생의 자치조직으로서 학생회의 활동이 어떤 경로를 매개하여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학교의 참여적 운영이나 학칙의 민주적 규정 등 학교운영의 민주성은 교급별,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의 참여적 운영이나 학칙의 민주적 규정 등은 일반계 고등학교보다는 실업계 고등학교가 높았고, 민주적 학생회 운영은 일반계 고등학교가 실업계 고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의 참여적 운영과 민주적인 학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은 사회성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학생회의 활동을 단지 학생자치기구로서의 상징적 의미부여에서 벗어나 학생자치기구의 자율적․민주적 활동을 증진하는 것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도 중요하다는 점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모경환, "한국 청소년의 시민의식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77-101, 2010

      2 정수현,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성과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25-249, 2008

      3 정수현,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 비교 평가 연구" 학교운영위원회 성과 평가 연구위원회 2005

      4 권문희, "학교운영위원회의 민주성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서부경남지방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5 손순종, "학교교육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민주적 시민성을 중심으로" 7 (7): 73-95, 2000

      6 원순식, "학교교육 참여에 관한 서울지역 학부모의 의견 조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7 박진민, "학교 풍토의 민주성이 학생의 정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교장 교사간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8 박재숙, "학교 청소년의 인권보장,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5-59, 2010

      9 백영호, "학교 의사결정과정의 민주화에 관한 연구"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임희숙, "학교 공동체의 참여의 시민교육 모색. 교육발전연구" 21 (21): 21-41, 2005

      1 모경환, "한국 청소년의 시민의식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77-101, 2010

      2 정수현,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성과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25-249, 2008

      3 정수현,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 비교 평가 연구" 학교운영위원회 성과 평가 연구위원회 2005

      4 권문희, "학교운영위원회의 민주성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서부경남지방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5 손순종, "학교교육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민주적 시민성을 중심으로" 7 (7): 73-95, 2000

      6 원순식, "학교교육 참여에 관한 서울지역 학부모의 의견 조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7 박진민, "학교 풍토의 민주성이 학생의 정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교장 교사간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8 박재숙, "학교 청소년의 인권보장,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5-59, 2010

      9 백영호, "학교 의사결정과정의 민주화에 관한 연구"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임희숙, "학교 공동체의 참여의 시민교육 모색. 교육발전연구" 21 (21): 21-41, 2005

      11 강현아, "청소년참여권 현황과 지표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12 이용교, "청소년인권과 인권교육" 인간과복지 2004

      13 라병년, "중학생의 민주적 시민자질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적 요인 연구 : 고양 파주시 교사와 학생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최은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동거가족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105 : 217-278, 2009

      15 김민화, "여가활동이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217-229, 2009

      16 박정화, "아동의 방과 후 스포츠 종목과 참여 수준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535-545, 2009

      17 정훈, "셀레스땡 프레네 학교 협동체의 교육원리 : 협력과 민주주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8) : 207-227, 2007

      18 김성열, "성공적인 학교운영위원회의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18 (18): 243-269, 2000

      19 김성열,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성과"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23-44, 2004

      20 박현선,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빈곤대리변수와 빈곤동반 위험요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6) : 113-137, 2008

      21 김영기, "민주적 학교운영을 위한 학교구성원들의 역할 수행에 관한 탐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2 박성업, "고등학생들의 학교급별 임원경험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5

      23 강수진, "가족배경이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모우울과 가족갈등의 경로를 중심으로" 26 (26): 115-149, 2010

      24 김혜래, "가족건강성과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0) : 159-182, 2009

      25 Ehman, L. H, "The school as a political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75

      26 Bowles, S.,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Basic Books 1976

      27 Sylva, K., "School influences on children's development" 33 (33): 135-170, 1996

      28 Cheng,H., "Perceived ParentalRearing Styl ,Self-esteem and Self-criticism As Predictors of Happiness" 5 : 1-21, 2003

      29 Grill, J., "Access to learning : rethinking the promise of distance education" 10 (10): 32-33, 2003

      30 곽대섭,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교육과 교사의 역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