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사영역과 의미 선택의 문제 (1) = A Research of a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26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자가 문장에서 자신의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어
      떻게 구체적인 어휘나 문법 형태를 선택하는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런데 화자의 의도를 밝힌다는 것은 상당히 추상적인 분야에 속하는
      것이므로 연구의 편의와 명료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두 요소가 서로 선
      택적으로 사용되는 예들을 분석 모델로 삼을 것이다. 즉, 러시아어 재
      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호환성과 관련한 문제이다.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는 자신의 의미 자질
      을 통해 화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발화를 통해 화자의 의지를 반영한
      다. 비록 그러한 의미 자질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주요 의미 자질은 아닐지라도, 그것들이 화자의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
      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는 주요 의미가
      아닌 부가적 의미로 불릴 수 있다. 부가적 의미란 재귀-소유대명사 본
      유의 재귀적 의미나 인칭-소유대명사의 소유주 지시 의미를 제외한,
      화자의 의도에 따라 발화상에 나타나는 내재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러
      한 부가적 의미로는 감정이입(empathy)의 유무와 배분적/집합적 의미
      를 들 수 있다.
      형태적으로 고유의 지시 의미를 갖지 못하는 재귀-소유대명사들은
      문장 내에서 사용되면서 자신의 지시 대상을 우선적으로 획득하려 한
      다. 따라서 자신의 선행사와의 상호 관계 정립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그러한 관계 정립을 통해 자신의 의미 자질을 실현하려 한다. 이렇게
      자신의 의미 자질 실현 과정에서 선행사의 자질을 계승하려는 재귀-소
      유대명사에 비해, 상응하는 인칭-소유대명사들은 오히려 자신의 피 수
      식어에 의미를 집중한다. 이러한 의미 지향 방향의 차이로 인하여 이들
      의 부가적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그것이 화자의 발화 의도에
      반영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
      사의 부가적 의미를 분류하고 그들의 발생원인을 의미지향성과 연관하
      여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 그들의 의미 지향 영역이
      생성문법적 분석에 따른, 재귀-소유대명사의 결속 영역과 인칭-소유
      대명사의 비결속 영역이라는, 자신의 지배범주와 일치됨을 보여줌으로
      써 통사적 실현과 의미적 발현의 상관성을 증명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자가 문장에서 자신의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어 떻게 구체적인 어휘나 문법 형태를 선택하는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런데 화자의 의도를 밝힌다는 것은 상당히 추...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자가 문장에서 자신의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어
      떻게 구체적인 어휘나 문법 형태를 선택하는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런데 화자의 의도를 밝힌다는 것은 상당히 추상적인 분야에 속하는
      것이므로 연구의 편의와 명료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두 요소가 서로 선
      택적으로 사용되는 예들을 분석 모델로 삼을 것이다. 즉, 러시아어 재
      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호환성과 관련한 문제이다.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는 자신의 의미 자질
      을 통해 화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발화를 통해 화자의 의지를 반영한
      다. 비록 그러한 의미 자질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주요 의미 자질은 아닐지라도, 그것들이 화자의 선택을 강요한다는 점
      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는 주요 의미가
      아닌 부가적 의미로 불릴 수 있다. 부가적 의미란 재귀-소유대명사 본
      유의 재귀적 의미나 인칭-소유대명사의 소유주 지시 의미를 제외한,
      화자의 의도에 따라 발화상에 나타나는 내재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러
      한 부가적 의미로는 감정이입(empathy)의 유무와 배분적/집합적 의미
      를 들 수 있다.
      형태적으로 고유의 지시 의미를 갖지 못하는 재귀-소유대명사들은
      문장 내에서 사용되면서 자신의 지시 대상을 우선적으로 획득하려 한
      다. 따라서 자신의 선행사와의 상호 관계 정립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그러한 관계 정립을 통해 자신의 의미 자질을 실현하려 한다. 이렇게
      자신의 의미 자질 실현 과정에서 선행사의 자질을 계승하려는 재귀-소
      유대명사에 비해, 상응하는 인칭-소유대명사들은 오히려 자신의 피 수
      식어에 의미를 집중한다. 이러한 의미 지향 방향의 차이로 인하여 이들
      의 부가적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그것이 화자의 발화 의도에
      반영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
      사의 부가적 의미를 분류하고 그들의 발생원인을 의미지향성과 연관하
      여 설명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 그들의 의미 지향 영역이
      생성문법적 분석에 따른, 재귀-소유대명사의 결속 영역과 인칭-소유
      대명사의 비결속 영역이라는, 자신의 지배범주와 일치됨을 보여줌으로
      써 통사적 실현과 의미적 발현의 상관성을 증명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additional
      meanings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Russian possessive pronouns express empathy, distributive meaning and
      collectional meaning. (Empathy is the speaker's identification with a
      person/thing that participates in the event or state that he describes in a
      sent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nature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and discusses how speaker decides a
      selection betwee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stand in
      complementary relation for each other. It is due to the their meaning
      directivity.
      (1) a.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мою жену. ⇒ [S ... [NP мою → (же
      ну)]]
      b.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свою жену. ⇒ [S (я) ← свою ]
      In the case of examples in (1.a) and (1.b), the difference in meaning
      directivity of pronouns is based on meaning properties of themselves. And
      schema for meaning directivity of russian pronouns looks like (2).
      (2) a. Head-oriented pronoun: [NP Personal-possessive
      pronoun → (Head)]
      b. Antecedent-oriented pronoun: [S (Antecedent) ←
      Reflexive-possessive pronoun]
      Their meaning directivity are hold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with
      binding domain. Then the meaning representation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syntactic struc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additional meanings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Russian possessive pronouns express empathy, distributive meaning and ...

      This study addresses the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domain and
      meaning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additional
      meanings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Russian possessive pronouns express empathy, distributive meaning and
      collectional meaning. (Empathy is the speaker's identification with a
      person/thing that participates in the event or state that he describes in a
      sent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nature of russian possessive pronouns and discusses how speaker decides a
      selection betwee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Personal-possessive pronoun and reflexive-possessive pronoun stand in
      complementary relation for each other. It is due to the their meaning
      directivity.
      (1) a.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мою жену. ⇒ [S ... [NP мою → (же
      ну)]]
      b. Я бы не мог ударить свою жену. ⇒ [S (я) ← свою ]
      In the case of examples in (1.a) and (1.b), the difference in meaning
      directivity of pronouns is based on meaning properties of themselves. And
      schema for meaning directivity of russian pronouns looks like (2).
      (2) a. Head-oriented pronoun: [NP Personal-possessive
      pronoun → (Head)]
      b. Antecedent-oriented pronoun: [S (Antecedent) ←
      Reflexive-possessive pronoun]
      Their meaning directivity are hold the same syntactic structure with
      binding domain. Then the meaning representation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syntactic stru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2.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부가적 의미 차이
      • 3. 통사 영역과 의미 발현
      • 4. 맺는 말
      • 국문 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2. 재귀-소유대명사와 인칭-소유대명사의 부가적 의미 차이
      • 3. 통사 영역과 의미 발현
      • 4. 맺는 말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