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YRAMINE AND CANDICINE FROM BARLEY ROOTS = 大麥根에서의 tyramine과 candicine의 分難 及 同定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568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大麥根에서 tyramine (β­p­hydroxyphenylethylamine)을 純粹한 結晶狀態로 分離하였다。그 化合物과 그의 dibenzoyle 誘導體의 諸性質을 그들의 合成品과 比較하고 또 元素分析을 通하여 이를 同定하였다。
      2. 同植物에서 또한 candicine (β­p­hydroxylethyltrimethylammonium hydroxide)를 結晶狀態로 分離하고 위와 같은 方法으로 이를 同定하였다。
      3. 大麥에서 이 두 化合物의 所在를 確認하므로써 가져오는 意義를 論議하였다。
      번역하기

      1. 大麥根에서 tyramine (β­p­hydroxyphenylethylamine)을 純粹한 結晶狀態로 分離하였다。그 化合物과 그의 dibenzoyle 誘導體의 諸性質을 그들의 合成品과 比較하고 또 元素分析을 通하여 이를 同定하...

      1. 大麥根에서 tyramine (β­p­hydroxyphenylethylamine)을 純粹한 結晶狀態로 分離하였다。그 化合物과 그의 dibenzoyle 誘導體의 諸性質을 그들의 合成品과 比較하고 또 元素分析을 通하여 이를 同定하였다。
      2. 同植物에서 또한 candicine (β­p­hydroxylethyltrimethylammonium hydroxide)를 結晶狀態로 分離하고 위와 같은 方法으로 이를 同定하였다。
      3. 大麥에서 이 두 化合物의 所在를 確認하므로써 가져오는 意義를 論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yramine (β-p-hydroxyphenylethylamine) has been isolated in pure crystalline form from barley roots. It has been characterized through analysis and by comparison of its properties, and those of its dibenzoyl derivative, with the authentic substances.
      (b) Candicine (β-p-hydroxyphenylethyltrimeyhylammonium hydroxide) has been isolated in pure crystalline form from barley roots and identified in a similar fashion.
      (c) The consequence of the demonstration of these two substances in barley are discussed.
      번역하기

      (a) Tyramine (β-p-hydroxyphenylethylamine) has been isolated in pure crystalline form from barley roots. It has been characterized through analysis and by comparison of its properties, and those of its dibenzoyl derivative, with the authentic substan...

      (a) Tyramine (β-p-hydroxyphenylethylamine) has been isolated in pure crystalline form from barley roots. It has been characterized through analysis and by comparison of its properties, and those of its dibenzoyl derivative, with the authentic substances.
      (b) Candicine (β-p-hydroxyphenylethyltrimeyhylammonium hydroxide) has been isolated in pure crystalline form from barley roots and identified in a similar fashion.
      (c) The consequence of the demonstration of these two substances in barley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2. Experimental and Results
      • 3. Discussion
      • 4. Summary
      • 要 約
      • 1. Introduction
      • 2. Experimental and Results
      • 3. Discussion
      • 4. Summary
      • 要 約
      • 5. Literature Ci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