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부산다운 건축상 책자를 통해 문화 홍보의 역할로 부산시에서 실질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을 고찰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07110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42(1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부산다운 건축상 책자를 통해 문화 홍보의 역할로 부산시에서 실질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을 고찰하고자 ...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부산다운 건축상 책자를 통해 문화 홍보의 역할로 부산시에서 실질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3차원 입체적인 건축물들을 2차원적인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의 디자인적 이해 및 접근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아른하임의 시지각 요소를 적용하여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부산다운 건축상 심사대상 2013년부터 2016년에 오른 건축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의 심사 기준 및 내용을 포함한 건축물의 특성 및 현황을 정리한다. 둘째,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고찰한 다음 시지각 요소의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조사대상의 선정 및 분석항목을 분류한다. 앞서 도출한 분석항목을 토대로 분석요소를 도출한다. 넷째, 앞서 도출된 분석요소를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 건축물에 적용하여 조형예술적 표현요소들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부산다운 건축상 수상작에 있어서 년도 별로 건축적 구성요소와 시각적 구성요소의 경향을 파악하고 부산도시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조형예술적 표현특성에 대한 결과를 정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by focusing on actually running award about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which is role of cultural promotion through each year’s brochure of architect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by focusing on actually running award about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which is role of cultural promotion through each year’s brochure of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It is a means to present design understanding and approach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original three dimensional architecture into a two dimensional image by analyzing the visual perceptual elements of Arnheim and to understand the trend of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s of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Range of research is architectural prizes of Busan in 2013 to 2016. A study of method is divided five sections. First, arrange the building’s characteristics and status which is including the examination standard of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and the contents by focusing on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Second, consider a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ual element and then derive characteristic of visual perceptual element. Third, select a research subject and categorize an analysis item. Fourth, analyze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to reflect the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by analysis element which is already found. At last, figure out the trend of visual elements and architectural components base on architectural prize of Busan and arrange the result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istic expression considering property of city space in Bus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식, "시지각 우선순위에 의한 건축물 조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콩지역 건축물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75-82, 2015
2 조정화,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에 따른 창살문양의 조형성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3 (13): 173-182, 2015
3 Wassily Kandinsky., "Understanding of Formative Art" Johyeongsa 32-33, 1996
4 Park Gyeongae, "Study of Three dimensional Design" Kimoondang 23-25, 2008
5 Ham Jeong-dong, "Space Design and Molding Exercise" Kimoondang 39-40, 2011
6 Gyorgy Kepes., "Language of Vision" Daegwangseorim 44-, 1984
7 "Interior glossary"
8 Kang Kyung-A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pattern seen through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1
9 "Color dictionary"
10 Paik Gisu, "Aesthetics, treatise on art" Dongmin cultural history 36-, 1972
1 김근식, "시지각 우선순위에 의한 건축물 조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콩지역 건축물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75-82, 2015
2 조정화,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에 따른 창살문양의 조형성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3 (13): 173-182, 2015
3 Wassily Kandinsky., "Understanding of Formative Art" Johyeongsa 32-33, 1996
4 Park Gyeongae, "Study of Three dimensional Design" Kimoondang 23-25, 2008
5 Ham Jeong-dong, "Space Design and Molding Exercise" Kimoondang 39-40, 2011
6 Gyorgy Kepes., "Language of Vision" Daegwangseorim 44-, 1984
7 "Interior glossary"
8 Kang Kyung-A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pattern seen through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1
9 "Color dictionary"
10 Paik Gisu, "Aesthetics, treatise on art" Dongmin cultural history 36-, 1972
11 Kim Min Seon, "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 of Dynamism in Contemporary space" The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Kon-Kuk University 2004
12 Jeong Na-La, "A Study on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4 : 168-180, 2003
토지이용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의 기온분포에 대한 고찰 - 전주지역의 온도에 대한 비교 -
고층건물 SRC기둥의 확률론적 기둥축소량 해석 및 보정법
필로티 R/C 건물의 구조설계에서 본 구조특성 조사 연구 - 부산지역에서 신축된 건물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53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