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성공회의 유교 아비투스 -서울주교좌성당 사례를 중심으로- = Confucian Habitus of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eoul Anglican Cathedral of St. Mary and St. Nichol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1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fucia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When the Anglican Church was introduced to Korean soil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fucian traditions were like common sense and collective ethics for Koreans. For this reason, while introducing its universal teachings to Korea, the Anglican Church was influenced by the Confucian tradition of Korea. As a result, the Korean Anglican Church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Anglican Church, distinguished from other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but also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Anglican churches in the world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 habitu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eoul Anglican Cathedral of St. Mary and St. Nicholas, this article delineates the features of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today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ts members. In doing so, one can observe how the Confucian traditions of Korean society are accepted and operated with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In other words, one can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glican Church, which are distinct from other Anglican churches in the world, along with the fact that Confucian habitus are present in the Korean Anglican Church just like other Korean Protestant churche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fucia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When the Anglican Church was introduced to Korean soil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fucian traditions were like common sense...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fucia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When the Anglican Church was introduced to Korean soil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fucian traditions were like common sense and collective ethics for Koreans. For this reason, while introducing its universal teachings to Korea, the Anglican Church was influenced by the Confucian tradition of Korea. As a result, the Korean Anglican Church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Anglican Church, distinguished from other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but also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Anglican churches in the world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 habitu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eoul Anglican Cathedral of St. Mary and St. Nicholas, this article delineates the features of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today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ts members. In doing so, one can observe how the Confucian traditions of Korean society are accepted and operated with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In other words, one can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glican Church, which are distinct from other Anglican churches in the world, along with the fact that Confucian habitus are present in the Korean Anglican Church just like other Korean Protestant chu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종교 사회학적 관점에서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볼 수 있는 유교적 특징을 살펴본다. 19세기 말에 성공회가 한국 땅에 소개되었을 때 한국인에게 유교적 전통은 상식과 기본윤리처럼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성공회는 성공회만의 보편적인 전례를 소개하면서도 한국의 유교적 전통을 존중하여 받아들였다. 이러한 결과, 한국 성공회는 다른 한국의 개신교회와 구별되는 성공회 성당만의 보편적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유교 아비투스에 영향받아 한국 교회에서만 보이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이 글은 서울주교좌성당에 대한 참여 관찰과 그 구성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오늘날 성공회 성당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국사회의 유교적 전통이 성공회 성당 안에서 어떻게 구별되게 수용되어 작동하고있는지 볼 수 있다. 즉,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유교 아비투스가 다른 한국개신교회에서처럼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는 부분과 함께, 그들과 달리 구별되는 성공회 성당만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종교 사회학적 관점에서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볼 수 있는 유교적 특징을 살펴본다. 19세기 말에 성공회가 한국 땅에 소개되었을 때 한국인에게 유교적 전통은 상식과 기본윤리처럼 ...

      이 글은 종교 사회학적 관점에서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볼 수 있는 유교적 특징을 살펴본다. 19세기 말에 성공회가 한국 땅에 소개되었을 때 한국인에게 유교적 전통은 상식과 기본윤리처럼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성공회는 성공회만의 보편적인 전례를 소개하면서도 한국의 유교적 전통을 존중하여 받아들였다. 이러한 결과, 한국 성공회는 다른 한국의 개신교회와 구별되는 성공회 성당만의 보편적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유교 아비투스에 영향받아 한국 교회에서만 보이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이 글은 서울주교좌성당에 대한 참여 관찰과 그 구성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오늘날 성공회 성당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국사회의 유교적 전통이 성공회 성당 안에서 어떻게 구별되게 수용되어 작동하고있는지 볼 수 있다. 즉,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유교 아비투스가 다른 한국개신교회에서처럼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는 부분과 함께, 그들과 달리 구별되는 성공회 성당만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구, "유교와 성공회 강화성당 건축" 113-129, 2007

      2 박장희, "영국 성공회의 강화도 선교와 특징"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3 최철희, "세계 성공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96

      4 서신혜, "성공회의 『성교리증(聖敎理證)』 간행과 교리서의 현지화" 한국기독교학회 (100) : 65-91, 2016

      5 강영지, "성공회대 도서관 소장 문서를 통해서 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의 설계와 건립의 과정" 대한건축학회 32 (32): 71-78, 2016

      6 방원일,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Eli Barr Landis)의 한국 종교 의례 연구" 한국종교학회 78 (78): 169-198, 2018

      7 대한성공회, "성공회 기도서"

      8 이성회, "부르디외의 ‘아비투스’ㆍ장ㆍ자본의 상호형성 메커니즘 ―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 연구의 활성화 방안 ―"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51-171, 2013

      9 주낙현, "몸을 굽혀 인사하기-신앙인의 예절 연습"

      10 이영호, "랜디스(Eli Barr Landis)의 의료활동과 ‘한국학’ 연구" 한국학연구소 (44) : 543-572, 2017

      1 이정구, "유교와 성공회 강화성당 건축" 113-129, 2007

      2 박장희, "영국 성공회의 강화도 선교와 특징"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3 최철희, "세계 성공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96

      4 서신혜, "성공회의 『성교리증(聖敎理證)』 간행과 교리서의 현지화" 한국기독교학회 (100) : 65-91, 2016

      5 강영지, "성공회대 도서관 소장 문서를 통해서 본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의 설계와 건립의 과정" 대한건축학회 32 (32): 71-78, 2016

      6 방원일,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Eli Barr Landis)의 한국 종교 의례 연구" 한국종교학회 78 (78): 169-198, 2018

      7 대한성공회, "성공회 기도서"

      8 이성회, "부르디외의 ‘아비투스’ㆍ장ㆍ자본의 상호형성 메커니즘 ―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 연구의 활성화 방안 ―"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51-171, 2013

      9 주낙현, "몸을 굽혀 인사하기-신앙인의 예절 연습"

      10 이영호, "랜디스(Eli Barr Landis)의 의료활동과 ‘한국학’ 연구" 한국학연구소 (44) : 543-572, 2017

      11 채병관, "뒤르케임, 부르디외, 에르비외-레제의 관점으로 본 21세기 한국개신교회의 안과 밖" 한국사회역사학회 19 (19): 79-102, 2016

      12 이재정, "대한성공회 백년사: 1890-1900" 대한성공회출판부 1990

      13 "대한성공회 미사 예문: 한글 원문과 제정 영역 대조"

      14 Bourdieu, Pierre,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1995

      15 이근복, "교회를 그리며 교회를 그리워합니다: 도심 속 성소,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66 : 54-57, 2019

      16 최영기, "강화지역 성공회 교회건축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20 (20): 537-540, 2000

      17 Bourdieu, Pierre, "The Logic of Practi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18 Bourdieu, Pierre,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19 Landis, Eli Barr, "Hospital Naval Fund" 2 (2): 55-56, 1892

      20 Rutt, Richard, "An Early Koreanologist: Eli Barr Landis 1865-1898" 54 : 59-100,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80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