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20여 년간 중증 중독학 연구 관련 독성물질의 고찰 = Toxicants Reported in Research on Fatal Toxic Exposur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7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With the very wide range of known toxicants, the correct early management of fatal toxic exposure can be delayed. Past epidemiologic data on fatal toxic exposure would be helpful to emergency physicia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

      Purpose: With the very wide range of known toxicants, the
      correct early management of fatal toxic exposure can be
      delayed. Past epidemiologic data on fatal toxic exposure
      would be helpful to emergency physicia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ports of toxicants on fatal toxicology
      research during the past two decades in Korea, with a
      focus on emergency symptom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basic information and
      abstracts of about 200,000 articles from approximately 500
      journals between 1980 to 2003, which were retrieved from
      Med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and Research
      Information Center for Health and focused on fatal toxicology
      related to emergency medicine. The search terms used
      were the names of toxicants and related terms.
      Results: A total of 88 toxicant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research on fatal toxic exposure. The number of articles
      increased sharply after 1995. Frequently involved toxicants
      were carbon monoxide (in 93 articles), followed by paraquat
      (in 84), and organophosphate pesticide (in 37). Original articles
      exceeded case reports in number for these three most
      frequent toxicants. Articles on paraquat were more numerous
      than those on organophosphate pesticide or carbon
      monoxide especially after the late 1980s.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 that over a 24-year-period,
      carbon monoxide, paraquat, and organophosphate pesticides
      have been prominent in both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fatal toxic exposure in Korea, which underscore the
      need for review of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정보센터와 전남대학교 보건연구정보센터를 통하여 국내 50여 종학 술 지 2 0 여 만 편 중 1980년부터 2003년까지 발행된 응급의학 관련 급성 중독학 ...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정보센터와 전남대학교 보건연구정보센터를 통하여 국내 50여 종학 술 지 2 0 여 만 편 중 1980년부터 2003년까지 발행된 응급의학 관련 급성 중독학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했다.2. 방법상기 연구정보센터의 검색엔진에 독성물질의 이름과 관련단어들을 입력하여 검색을 시행했고 연구대상에 해당하는논문을 선정했다. 선정된 논문에서 독성물질의 이름, 논문의 발간 연도, 학술지 명, 논문의 성격(원저 혹은 증례),그리고 ICD-10(The International Statistical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Problems-10)에 따른 독성물질의 중분류 및 소분류를 조사했고 추가로 원저 논문에 다빈도로 게재된 독성물질을 연도별로 조사했다7).1) 검색단어 선정 및 검색 과정ICD-10의 19 번째 대분류인‘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결과’내의 2가지 중분류를 이용했다. 이 중분류는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T36-T50)과 비의약용 물질에 의한 중독(T51-T65)으로 모두 30가지 소분류와 24가지 세분류로 나뉘는데 여기에 명시된 중독물215 개의 명칭을 검색단어로 선정했다. 또한, 위의 세분류에서 누락되거나 중독물 명칭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경우는 국외 응급의학 교과서와 국내의 중독백과를 이용하여 총 14가지의 단어를 검색에 추가했다8-10). 그밖에 중독,폭로, 노출, 활성탄, 위세척의 단어를 추가하여 검색했다.검색은 2004년 10월1일부터 2004년 12월3 1일까지 3개월동안, 선정된 총 329 개의 중독물 명칭을 국문과 영문으로상기 연구정보센터의 검색엔진에 입력하여 시행했고 또한,대한의사협회의 의학용어집 제 4판을 토대로 유사명칭을 검색했다.2) 연구대상 논문의 선정과 기준상기 과정을 통해 검색된 논문의 기본 서지정보 중 제목을 근거로 1가지 독성물질을 주제로 한 응급의학 관련 급성중독학 논문을 선정했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독성물질의 섭취목적과 폭로기간에 상관없이 위장관과 호흡기(비강을 포함)를 통해 독성물질을 섭취한 후 발생한 응급증상 혹은 이로 인한 후유증 관련 원저 및 증례, (2) 독성물질 투여 후 실험동물의 생리 반응과 조직 변화를 관찰하는연구도 (1)번 기준에 준했으나 폭로 후 관찰기간이 4주 이내인 경우로 국한했다. (3) 응급증상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제2조의‘응급증상 및 이에 준하는 증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했고 기본 서지정보만으로 선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초록을 이용했다.선정과정에서 아래에 해당하는 논문, (1) 치료 목적으로의료기관에서 사용한 의약물의 독성과 관련된 연구, (2) 에탄올과 세균성 식중독 관련 연구, (3) 무증상 혹은 비응급증상 상태에서 신체와 환경에 대한 중독물 모니터링, 검사강보승: 국내 20여 년간 중증 중독학 연구 관련 독성물질의 고찰 / 3334 /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18 권 제 1 호 2007소견 및 예방적 조치와 관련된 연구, (4) 실험연구 중 면역, 생식, 유전 및 전처치에 관련된 연구, (5) 2가지 이상의 독성물질 관련 연구는, 주제가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1가지 독성물질의 선정이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연구대상에서 제외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10th ed. Geneva" 1994.

      2 "The cause of death by" 2006

      3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St. Louis: Mosby 2064-2238, 2002

      4 "Research on poisoning data collection using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 retrospective preliminary sur-vey" 4 : 32-43, 2006

      5 "Forming a Poison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s Press 2004

      6 "Encyclopedia of toxic exposure" Seoul: Gunja 1998

      7 "Emergency Medicine" New York: McGraw-Hill 1057-1222, 2000

      8 "Clinical toxicolo-gy" Seoul:Gunja 3-8, 2006

      9 "Clinical observation of drug intoxication" 6 : 349-356, 1995

      10 "Clinical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7 : 398-404, 199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10th ed. Geneva" 1994.

      2 "The cause of death by" 2006

      3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St. Louis: Mosby 2064-2238, 2002

      4 "Research on poisoning data collection using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 retrospective preliminary sur-vey" 4 : 32-43, 2006

      5 "Forming a Poison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s Press 2004

      6 "Encyclopedia of toxic exposure" Seoul: Gunja 1998

      7 "Emergency Medicine" New York: McGraw-Hill 1057-1222, 2000

      8 "Clinical toxicolo-gy" Seoul:Gunja 3-8, 2006

      9 "Clinical observation of drug intoxication" 6 : 349-356, 1995

      10 "Clinical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7 : 398-404, 1996

      11 "Analysis of 2002 years pesticides poisoning deaths data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counter plan to prevent death due to herbicides poisoning" 2 : 77-82, 2004

      12 "2005 annual report on injury patient statistics" 2 : 6-26, 2006

      13 "2004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Toxic 40" 18 (18): 2007

      14 "1995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14 : 487-537,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5-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2 0.33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