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학생 지도교사의 역할인식 제고 방안 = A study on the workshop for teachers` role cognition to deserted student from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56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적 구성 비율로만 본다면 북한이탈학생은 전체 학생이나 소위 다문화 배경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이다. 하지만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교육적 배려는 수적 비율로만 환산될 수 없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공교육 체제에서 그들에 대한 배려는 남북한 전체 학생을 위한 교육통합의 준비이며, 소외 없이 전체를 포용하는 교육적 이상의 실현이다. 이를 실천하는 교사의 노력은 북한이탈학생이 거주지 학교에 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나원을 거쳐 일반학교에 전입한 이후 다양한 차이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이러한 차이를 북한이탈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줄일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교사는 그들의 특별한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터하여 공교육 체제에 안정적으로 적응하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해야 한다. 공교육 체제 적응을 위한 교사의 주요 역할은 북한이탈학생 지도 경험을 가진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이탈학생 학부모의 학교 이해와 관련된 역할이다. 북한이탈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는 학부모가 학교의 문화, 관행, 자녀의 가치관 변화 등을 이해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학생의 학력 격차 해소와 관련된 역할이다. 교사는 개인적 생활 경험과 남북한의 교육과정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학력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셋째,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배려의 표현과 관련된 역할이다. 교사는 그들의 특수성을 이해하면서, 동시에 과도한 배려의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게 표현해야 한다. 넷째, 북한이탈학생의 체험활동 및 외부단체 연계와 관련된 역할이다. 교사는 그들을 위한 체험활동을 준비하고 외부단체를 선별하여 안내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할을 인식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 역할 인식을 위한 워크숍을 예시한다.
      번역하기

      수적 구성 비율로만 본다면 북한이탈학생은 전체 학생이나 소위 다문화 배경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이다. 하지만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교육적 배려는 수적 비율로만 환산될 수 없는 ...

      수적 구성 비율로만 본다면 북한이탈학생은 전체 학생이나 소위 다문화 배경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이다. 하지만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교육적 배려는 수적 비율로만 환산될 수 없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공교육 체제에서 그들에 대한 배려는 남북한 전체 학생을 위한 교육통합의 준비이며, 소외 없이 전체를 포용하는 교육적 이상의 실현이다. 이를 실천하는 교사의 노력은 북한이탈학생이 거주지 학교에 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나원을 거쳐 일반학교에 전입한 이후 다양한 차이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이러한 차이를 북한이탈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줄일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교사는 그들의 특별한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터하여 공교육 체제에 안정적으로 적응하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해야 한다. 공교육 체제 적응을 위한 교사의 주요 역할은 북한이탈학생 지도 경험을 가진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이탈학생 학부모의 학교 이해와 관련된 역할이다. 북한이탈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는 학부모가 학교의 문화, 관행, 자녀의 가치관 변화 등을 이해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학생의 학력 격차 해소와 관련된 역할이다. 교사는 개인적 생활 경험과 남북한의 교육과정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학력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셋째,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배려의 표현과 관련된 역할이다. 교사는 그들의 특수성을 이해하면서, 동시에 과도한 배려의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게 표현해야 한다. 넷째, 북한이탈학생의 체험활동 및 외부단체 연계와 관련된 역할이다. 교사는 그들을 위한 체험활동을 준비하고 외부단체를 선별하여 안내해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역할을 인식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 역할 인식을 위한 워크숍을 예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mpared with multi cultural students, the ratio of North Korean Refugees Students is comparatively few. But, the educational care for them has the special meaning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number. It is the prepar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ideal which embraces all students without exception. Teachers have to make an effort ceaselessly to realize this educational care after they enter South Korean school. The students from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en faced with many various differences after entering the South Korean school. Teachers have to help them to recognize these differences by themselves and help them to overcome the gap. Teachers have to understand their special situation and recognize teacher`s role to help the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public educational system. We can identify the primary role of teacher for the students by interview with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them. The first role is related with their parents` understanding about South Korean school. The teachers have to introduce cultures, customs of South Korean schools and the variation of their children`s values to their parents. The second role is related with solution to the academic ability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students and the students from North Korean refugees. Teachers make an effort to narrow the gap coming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students` individual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urriculum with South Korean students`. The third role is related with expression of care for them. Teachers have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 and express the care for them cautiously. The fourth role is related with preparation of their experiential activities and connections with outside groups for helping them. Teachers have to prepare their experiential activities for helping them to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and connect them to outside groups which can give proper and continuous helping. To perform these roles,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primary roles for teaching students from North Korean refugees. This thesis is presented the workshop for formation of views of instruction. Through this workshop, we can have a chance to recognize and reflect on teachers` role for teaching students from the North Korean refugees.
      번역하기

      As compared with multi cultural students, the ratio of North Korean Refugees Students is comparatively few. But, the educational care for them has the special meaning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number. It is the preparation of integrated educati...

      As compared with multi cultural students, the ratio of North Korean Refugees Students is comparatively few. But, the educational care for them has the special meaning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number. It is the prepar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ideal which embraces all students without exception. Teachers have to make an effort ceaselessly to realize this educational care after they enter South Korean school. The students from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en faced with many various differences after entering the South Korean school. Teachers have to help them to recognize these differences by themselves and help them to overcome the gap. Teachers have to understand their special situation and recognize teacher`s role to help the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public educational system. We can identify the primary role of teacher for the students by interview with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ing them. The first role is related with their parents` understanding about South Korean school. The teachers have to introduce cultures, customs of South Korean schools and the variation of their children`s values to their parents. The second role is related with solution to the academic ability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students and the students from North Korean refugees. Teachers make an effort to narrow the gap coming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s students` individual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urriculum with South Korean students`. The third role is related with expression of care for them. Teachers have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 and express the care for them cautiously. The fourth role is related with preparation of their experiential activities and connections with outside groups for helping them. Teachers have to prepare their experiential activities for helping them to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and connect them to outside groups which can give proper and continuous helping. To perform these roles,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primary roles for teaching students from North Korean refugees. This thesis is presented the workshop for formation of views of instruction. Through this workshop, we can have a chance to recognize and reflect on teachers` role for teaching students from the North Korean refuge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경, "현상학으로 바라본 새터민(탈북이주자)의 심리적 충격과 회복경험" 한국학술정보(주) 2009

      2 박윤숙,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적응" 한국학술정보 (주) 2007

      3 조정아, "탈북청소년 지원 정책 현황과 과제" 2009

      4 조용관, "탈북자와 함께하는 통일" 도서출판 한울 2009

      5 진미정,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학지사 2009

      6 이순형, "탈북민의 가족 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7 이순형, "탈북 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출판부 2007

      8 "영화 “크로싱”DVD 자료, 빅하우스(주), 2009"

      9 조영아, "새터민 청소년의 심리상태와 치유방안. in: 새터민 총소년 교육 직무 연수 교재" 2007

      10 이영주, "새터민 청소년과 함께한 5년. in: 새터민 청소년 교육 직문 연수 교재" 2007

      1 김현경, "현상학으로 바라본 새터민(탈북이주자)의 심리적 충격과 회복경험" 한국학술정보(주) 2009

      2 박윤숙,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적응" 한국학술정보 (주) 2007

      3 조정아, "탈북청소년 지원 정책 현황과 과제" 2009

      4 조용관, "탈북자와 함께하는 통일" 도서출판 한울 2009

      5 진미정,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학지사 2009

      6 이순형, "탈북민의 가족 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7 이순형, "탈북 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출판부 2007

      8 "영화 “크로싱”DVD 자료, 빅하우스(주), 2009"

      9 조영아, "새터민 청소년의 심리상태와 치유방안. in: 새터민 총소년 교육 직무 연수 교재" 2007

      10 이영주, "새터민 청소년과 함께한 5년. in: 새터민 청소년 교육 직문 연수 교재" 2007

      11 조명숙, "새터민 청소년과 교사의 역할. in: 새터민 청소년 교육 직문 연수 교재" 2007

      12 임상수,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 멘토링" 교육과학사 2008

      13 송두록, "북한이탈학생의 학교 적응 지도를 위한 초기 지도 매뉴얼 구안 적용 연구" 2008

      14 김미숙, "북한이탈학생의 교육적응 실태 분석 연구" 2009

      15 박주현, "북한이탈아동의 발달과 문화적응" 2009

      16 윤상석, "북한이탈 학생을 위한 교사 멘토링. in: 탈북 학생 담당 교사 연수 자료" 인천광역시 교육청 2009

      17 김경준, "북한이탈 청소년 종합대책 연구Ⅲ: 대안학교 재학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18 박찬석, "북한 교원에 대한 연구" 2009

      19 "면담자료"

      20 김영만, "대한민국에 사는 탈북자(새터민)들의 적응 실태: 무엇이 그들의 소외감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 학술정보(주) 2005

      21 "다큐멘타리 “천국의 국경을 넘다”DVD 자료, 조선일보, 2008"

      22 남궁달화, "가치탐구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1994

      23 마석훈, "‘탈북청소년’이 지니는 존재의 다양한 의미. in: 무연고 새 터민 청소년 생활 실태 조사" 2008

      24 이향규, "‘먼저 온 미래’: 북한 출신 학생. in: 탈북청소년학생담당교 사연수자료" 인천광역시교육청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