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지역의 대기오염도 특성평가(Ⅱ)  :  대기질 변수의 시간별 변동을 중심으로 Hourly variations of air quality parameters = Characteristics of Ambient Air Quality in Taegu Area(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11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약문본 연구에서는 과거 7년간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대구지역 주요 대기오염물질에 대 한 대기오염도 분석 및 광화학스모그 기간중의 대기질 평가는 물론 대기오염도 해석에 지배 적인...

      요약문본 연구에서는 과거 7년간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대구지역 주요 대기오염물질에 대
      한 대기오염도 분석 및 광화학스모그 기간중의 대기질 평가는 물론 대기오염도 해석에 지배
      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대구지역의 시정감쇄 요인분석 및 풍향, 풍속과
      대기안정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일주 시간대별 농도변화는 아황산가스와 분
      진의 경우 오전 8~10시경과 오후 4시경에 각각 최고, 최저농도를 나타내였고 이산화질소는
      오전·오후의 교통량증가와 기상인자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두차례의 최고농도를 나타냈다.
      일산화탄소는 시간 환경기준치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으로 동절기와 하절기의 시간별 농도변
      화 양상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오존은 일사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오전 10시경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지역 오존농도의 발생빈도는 최근(1993~1994)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경향
      을 보였으며 오존농도와 그 영향인자와의 상관성 역시 일사량과 이산화질소가 가장 중요변
      수임이 증명되었다. 최근 6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정거리는 가을철이 월편균
      17~20km 정도로 가장 좋았으며 풍향, 풍속 및 대기안정도는 서북서풍이 연중 14.0%,
      2m/sec 이하의 저풍속이 전체의 36.5%, 중립조건인 D등급이 전체의 48.1%로 각각 나타나
      대구지역이 대기오염의 확산에 불리한 조건임을 시사하고 있다.AbstractWith empirical data obtained for last 7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ajor pollutants and to evaluate the air quality of Taegu during the period of
      photochemical smog. In addition to this, causes of visibility reduction in Taegu,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atmospheric stability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for each pollutant by time during daytime,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Oz and partic ulates was measured at around 8~10 o'clock,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those pollutants was found at approximately 15~16 o'clock.In the case of NO;, due to the traffic and complex atmospheric conditions,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measured twice a day. The concentration of CO was much
      less than the atmospheric standard. The difference in the variation of CO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ime was found between summer and winter. Ozone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surging amount of insola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ozone was
      presented at between 15 and 16 o'clock with no respect to season. High concentration of
      ozone was observed much more requently in last 2 years (1993~1994) and it is verified
      that the insolation and NOz were main sources to be highly related to ozone
      concentra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for last 7
      years, the highest visibility (17~20 km) was found in autumn as the monthly average
      value. As conclusion, the analyzed data-base indicated that it is difficult to spread air
      pollutants out of metropolitan Taegu city because of low wind speed (lower than 2
      m/s), wind direction (Northwest), and atmospheric stability (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대기요염도자료
      • 3.결과 및 고찰
      • 3.1 대기오염도의 하루중 시간별 변동
      • 3.2광화학 스모그 기간중 대기질 평가
      • 1. 서론
      • 2.대기요염도자료
      • 3.결과 및 고찰
      • 3.1 대기오염도의 하루중 시간별 변동
      • 3.2광화학 스모그 기간중 대기질 평가
      • 3.3 시정감쇄의 용인 분석
      • 3.4풍향, 풍속 및 대기안정도 평가
      • 4.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