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시가(詩歌)는 삼국시대부터 연맥하여 왔다. 근대에 와서 서구적인 영향을 받아 자유시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우리시가는 새로운 시가의 발생분위기가 익어가는 고통이 자유자각 속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시가(詩歌)는 삼국시대부터 연맥하여 왔다. 근대에 와서 서구적인 영향을 받아 자유시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우리시가는 새로운 시가의 발생분위기가 익어가는 고통이 자유자각 속에...
한국의 시가(詩歌)는 삼국시대부터 연맥하여 왔다. 근대에 와서 서구적인 영향을 받아 자유시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우리시가는 새로운 시가의 발생분위기가 익어가는 고통이 자유자각 속에서 형성되고 있다.
그러던 중에 1884년의 갑신정변의 영향 속에서 서구의 문물에 대한 영향을 받아, 빠른 시간내에서 개화사상이 싹터 개화가사와 개화가, 창가와 신체시를 거쳐 완전한 자유시 형태가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렇게 변형해 오는 우리 시가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외국의 시가도 우리나라에 들어왔고, 특히 서양의 시가는 기독교의전파와 함께 찬송가와 찬미가와 찬송시가 서양인에 의하여 번안 또는 창작되어 이 땅에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00년에 접어들면서부터 번역 시문학이 싹텄으며, 1910년대 후기부터는 『태서문예신보』 가 창간되어 외국의 시작품을 번역 소개하여, 우리나라의 자유시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후 1920년대의 말기에는 『해외문학(海外文學)』 이 창간되어 본격적인 번역기 소재가 있었다.
1930년 초기에는 『금성(金星)』 지가 나와서 외국시를 번역 소개하였으며, 1935년 경에는 주지주의의 시문학이 들어와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고찰하는 동안 외국시가의 수용문제는 곧 현대시가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게 사실이다.
첫째, 우리 시가의 변형 속에는 초보적인 외국시가의 수용의식이 싹튼 점.
둘째, 우리시가의 발전 속에서 외국시가-서양시가의 수용과 번역도 발견된 점.
셋째, 1920년대 후기부터 1930년대로 접어들면서 외국시가-서양시가의 수용자들의 태도가 진지해지고, 번역시의 연구에까지 미친 점.
넷째, 1920년 후기에 번역어의 한계성에 대한 학대와 서양시가의 수용태도에 대한 이론과 충실한 번역성격을 규정짓는 점.
다섯째, 1930년대의 주지시세계가 이땅에 뿌리를 내리게 한 외국시가-서양시가의 번역과 용성이 간접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
이상으로 외국시가의 수용문제를 고찰해 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