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돈분액비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on Productivity of Rye and Subsequent Soil 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54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돈분액비의 DM 농도와 분시 차이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2005년 1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사료작물 포장에서 동계사료작물 호밀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처리(고농도 DM 7.0%, 저농도 DM 1.6% 돈분액비), 세구 2처리(기비 100%, 기비 50%와 추비 50% 시용)를 각 각 4반복 분할구법으로 설계하였다. 고농도 돈분액비 시용이 저농도 액비 보다 호밀의 초장과 건물수량에 통계적으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호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액비를 기비만 시용하는 것 보다 분시하므로 증가하였다(P<0.05). 돈분액비 시용으로 호밀의 대량무기물 (P, K, Ca, Mg 및 Na)이나 미량무기물 (Cu, Fe, Mn 및 Zn) 함량에 차이를 주지 않았고 동계사료작물 호밀을 재배했던 토양의 이, 화학적 특성에도 분뇨처리 효과가 없었다. 다만 호밀의 평균 P 함량 0.16%는 화본과 작물 적정수준 0.2~0.4% 보다 부족했고 호밀재배 토양의 pH (5.5), OM(13.3%), 유효인산 (47.6 ㎎/㎏) 및 Ca (2.75) 함량은 농경지 토양 수준 보다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DM 7.0%의 고농도 액비시용은 DM 1.6%의 저농도 액비 보다 호밀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 왔으나 재배 토양의 이, 화학적 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았다.
      번역하기

      돈분액비의 DM 농도와 분시 차이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2005년 1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사료작물 포장에서 동계사...

      돈분액비의 DM 농도와 분시 차이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2005년 1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사료작물 포장에서 동계사료작물 호밀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처리(고농도 DM 7.0%, 저농도 DM 1.6% 돈분액비), 세구 2처리(기비 100%, 기비 50%와 추비 50% 시용)를 각 각 4반복 분할구법으로 설계하였다. 고농도 돈분액비 시용이 저농도 액비 보다 호밀의 초장과 건물수량에 통계적으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호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액비를 기비만 시용하는 것 보다 분시하므로 증가하였다(P<0.05). 돈분액비 시용으로 호밀의 대량무기물 (P, K, Ca, Mg 및 Na)이나 미량무기물 (Cu, Fe, Mn 및 Zn) 함량에 차이를 주지 않았고 동계사료작물 호밀을 재배했던 토양의 이, 화학적 특성에도 분뇨처리 효과가 없었다. 다만 호밀의 평균 P 함량 0.16%는 화본과 작물 적정수준 0.2~0.4% 보다 부족했고 호밀재배 토양의 pH (5.5), OM(13.3%), 유효인산 (47.6 ㎎/㎏) 및 Ca (2.75) 함량은 농경지 토양 수준 보다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DM 7.0%의 고농도 액비시용은 DM 1.6%의 저농도 액비 보다 호밀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 왔으나 재배 토양의 이, 화학적 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M (dry matter) content and split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LSM) on productivity of rye and subsequent soil quality on the pasture of Livestock Policy Divis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experiment was done between November, 2005 and June 2006, using split plot design. Treatments were 2 main plots (7.0 and 1.6% DM LSM) and 2 subplots (basal fertilizer 100% and basal fertilizer 50% + top dressing 50%). Application of 7.0% DM LSM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DM yield and plant length of rye compared with 1.6% DM LSM (p<0.05). Crude protein content of ry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lit application(basal fertilizer 50%+ top dressing 50%) than in basal fertilizer 100%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cro and micro mineral contents of rye or in subsequent soil quality was found by application of LSM. Mean P content (0.16%) of rye appeared to be lower than proper P level (0.2~0.4%) of grass crop. The pH (5.5), OM (13.3%), available P₂O? (47.6 ㎎/㎏) and Ca (2.75 cmole/㎏) content of the pasture soil studied were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cultivated soil.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a 7.5% DM liquid swine manure increases the productivity of rye compared with a 1.6% DM liquid swine manure, meanwhile the property of pasture soil was not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LSM.
      번역하기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M (dry matter) content and split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LSM) on productivity of rye and subsequent soil quality on the pasture of Livestock Policy Division, Jeju Special Self-Governi...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M (dry matter) content and split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LSM) on productivity of rye and subsequent soil quality on the pasture of Livestock Policy Divis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experiment was done between November, 2005 and June 2006, using split plot design. Treatments were 2 main plots (7.0 and 1.6% DM LSM) and 2 subplots (basal fertilizer 100% and basal fertilizer 50% + top dressing 50%). Application of 7.0% DM LSM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DM yield and plant length of rye compared with 1.6% DM LSM (p<0.05). Crude protein content of ry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lit application(basal fertilizer 50%+ top dressing 50%) than in basal fertilizer 100%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cro and micro mineral contents of rye or in subsequent soil quality was found by application of LSM. Mean P content (0.16%) of rye appeared to be lower than proper P level (0.2~0.4%) of grass crop. The pH (5.5), OM (13.3%), available P₂O? (47.6 ㎎/㎏) and Ca (2.75 cmole/㎏) content of the pasture soil studied were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cultivated soil.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a 7.5% DM liquid swine manure increases the productivity of rye compared with a 1.6% DM liquid swine manure, meanwhile the property of pasture soil was not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L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Ⅴ.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1988

      2 김동암, "초지학" 선진문화사 2001

      3 박남건, "제주화산회 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유거수 및 용탈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2005

      4 김문철, "제주지역의 해발 높이와 목초혼파 조합에 따른 토양 및 목초의 무기물 간 상호관계" 36 (36): 415-421, 1994

      5 송상택, "제주지역에서 건물함량이 다른 돈분 액비 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의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26 (26): 159-170, 2006

      6 김문철, "제주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액비의 비료성분 및 오염도 평가"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6 (46): 469-478, 2004

      7 김문철, "제주도 중산간 목장 지대에서 토양-목초-가축 간 무기영양소의 상호관계. II. 방목기 토양, 목초, 우유 내 무기물함량의 상호관계" 32 (32): 170-178, 1990

      8 이호진, "제 15장. 호밀과 피. 사료작물학"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8

      9 조익환, "액상구비의 시용시기가 오차드그라스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6 (6): 99-108, 1997

      10 황경준, "미생물 발효제 처리 돈분액비 시용이 사료작물 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293-, 2006

      1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1988

      2 김동암, "초지학" 선진문화사 2001

      3 박남건, "제주화산회 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유거수 및 용탈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2005

      4 김문철, "제주지역의 해발 높이와 목초혼파 조합에 따른 토양 및 목초의 무기물 간 상호관계" 36 (36): 415-421, 1994

      5 송상택, "제주지역에서 건물함량이 다른 돈분 액비 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의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26 (26): 159-170, 2006

      6 김문철, "제주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액비의 비료성분 및 오염도 평가"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6 (46): 469-478, 2004

      7 김문철, "제주도 중산간 목장 지대에서 토양-목초-가축 간 무기영양소의 상호관계. II. 방목기 토양, 목초, 우유 내 무기물함량의 상호관계" 32 (32): 170-178, 1990

      8 이호진, "제 15장. 호밀과 피. 사료작물학"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8

      9 조익환, "액상구비의 시용시기가 오차드그라스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6 (6): 99-108, 1997

      10 황경준, "미생물 발효제 처리 돈분액비 시용이 사료작물 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293-, 2006

      11 김문철, "돈분액비시용이 피의 생산성, 토양특성 용탈수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26 (26): 257-266, 2006

      12 농촌진흥청, "농사시험 조사연구기준. 축산편" 농촌진흥청 1974

      13 Schechtner, G., "Wirtschaftsdünger - Richtige Gewinnung und Anwendung" 1991

      14 Yoshida, S., "Laboratory manual for physiological study of rice"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1983

      15 Bracker, H.H., "Gülle-Streßfaktor für die Grünlandpflanzengesllschaft-Betriebswirtschftl. Mitteilg" der Landwirtshaftskammer Schlesweig- holstein, S. 21-28, 1982

      16 Sieling, K., "Growth stage-specific application of slurry and mineral N to oilseed rape, wheat and barly" 25 : 40-48, 2004

      17 Mayland, H.F, "Forage- induced animal disorders. In Forages(II)" Iowa State Univ. Press, Ames. 1995

      18 Miller,D.A., "Forage crops" McGraw-Hill Book Company. 1984

      19 Stevens, R.J., "Estimating nutrient of animal slurries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125 : 233-238, 1995

      20 Statistix 8., "Analytical software statistix 8"

      21 Perkin-Elmer Corperation, "Analytical methods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Perkin-Elmer Crop.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