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자아와 공자적 자아를 아주 대립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우리가 갖고 있는 전형화된 이해방식에 반영된 어떤 오해와 편견을 풀기 위해 이 두 학자의 교육철학을 의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7121
-
2015년
Korean
공자와 소크라테스 ; Confucian concepts of learning and thinking ; Hannah Arendt's concept of thinking ;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modern East-Asia ; comparative studies on Philosophies of education in East and West ; East-Asian humanistic pedagogy ; 배움의 개념 ; 자기지식 ; 인문적 사유 ;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 ; 한나 아렌트 ; 사유와 판단 ; 인문적 가치교육 ; 공동체 감각 ; 행위와 실천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자아와 공자적 자아를 아주 대립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우리가 갖고 있는 전형화된 이해방식에 반영된 어떤 오해와 편견을 풀기 위해 이 두 학자의 교육철학을 의미...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적 자아와 공자적 자아를 아주 대립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우리가 갖고 있는 전형화된 이해방식에 반영된 어떤 오해와 편견을 풀기 위해 이 두 학자의 교육철학을 의미있게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지식(self-knowledge)라는 개념을 소크라테스와 공자의 가르침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 개념을 중심으로 소크라테스와 공자의 교육 및 학습 개념에 대해 비교교육철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거나 전통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과 이를 따르고 이것에 순응하도록 요청하는 공자의 가르침 간에는 우리가 전형적으로 생각해 오던 대비 이상으로 공유하는 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것은 바로 소크라테스와 공자 모두에게 자기 자신을 아는 자, 즉 교육받은 사람은 사유하는 것, 성찰하는 것을 그 핵심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사유는 그 사람을 인격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성장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동서양의 인문적 전통에서 인간을 교육적으로 만드는 두 가지 서로 구별되는 상이한 사유 방식을 개념화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wo traditions of humanistic pedagogies West and East, represented by the Socratic and the Confucian teachings. It is intended to question our common misunderstanding reflected in the stereotyped contrasts between ...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wo traditions of humanistic pedagogies West and East, represented by the Socratic and the Confucian teachings. It is intended to question our common misunderstanding reflected in the stereotyped contrasts between the Socratic self and the Confucian self: an intellectualist versus a moralist, an active versus a passive learner, and a political progressive versus a political conservative. In this attempt, I will focus on the clarification of the idea of ‘self-knowledge’ in each thinker, especially in its connection to our being virtuous or good. This bold attempt will give us a chance to view Socratic and Confucian teachings from an unfamiliar perspective, which will in turn lead us to see where and how the two thinkers’ teachings can converge and diverge, to be seen in a new light for our humanistic teaching. It will also show how a comparative study in philosophy of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onstructive intercultural convers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