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의 내용과 작성 의도 = The Content and Underlying Intentions of the Inscribed Bricks Excavated from the Tomb of Jang Mu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4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세기 중반 황해도 봉산군에서 발견된 장무이묘에서는 많은 수의 명문전들이 발견되었다. 2023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여러 차례 실견회를 가진 결과, 명문전은 총 10개의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본고에서는 장무이묘의 명문전에 기록된 내용과 그 작성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체 문구들을 자세히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명문전들의 각 문구가 갖는 상관관계와 전체 문장의 기재 순서도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명문전들은 내용상 무덤의 조영에 대한 정보를 외부 관람자에게 보이려는 의도로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특히 조주부(趙主簿)로 칭해진 화자가 장무이묘의 조영에 관여하였음을 전하고 있는데, 이는 서진·동진대에 묘주의 가족이 아닌, 정치·사회적 인연으로 고분 조영에 참여한 인물들이 제작한 명문전들과도 비교된다.
      4세기 중반 당시 낙랑·대방군 고지 내에는 고구려의 허용 속에서 중국인 사회의 전통에 따른 장의(葬儀) 문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고분 내에 표현된 벽화·묵서, 명문전 등 외부에 공개된 다양한 전시물들은 묘주 일가가 이주민 집단과의 정서·지향을 공유하는 가운데, 서로 간의 결속을 강화하려는 목적과 관련 있다. 장무이묘에서 발견된 명문전들의 내용 역시 바로 그러한 맥락 속에서 기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4세기 중반 황해도 봉산군에서 발견된 장무이묘에서는 많은 수의 명문전들이 발견되었다. 2023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여러 차례 실견회를 가진 결과, 명문전은 총 10개의 유형으로 파악되...

      4세기 중반 황해도 봉산군에서 발견된 장무이묘에서는 많은 수의 명문전들이 발견되었다. 2023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여러 차례 실견회를 가진 결과, 명문전은 총 10개의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본고에서는 장무이묘의 명문전에 기록된 내용과 그 작성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체 문구들을 자세히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명문전들의 각 문구가 갖는 상관관계와 전체 문장의 기재 순서도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명문전들은 내용상 무덤의 조영에 대한 정보를 외부 관람자에게 보이려는 의도로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특히 조주부(趙主簿)로 칭해진 화자가 장무이묘의 조영에 관여하였음을 전하고 있는데, 이는 서진·동진대에 묘주의 가족이 아닌, 정치·사회적 인연으로 고분 조영에 참여한 인물들이 제작한 명문전들과도 비교된다.
      4세기 중반 당시 낙랑·대방군 고지 내에는 고구려의 허용 속에서 중국인 사회의 전통에 따른 장의(葬儀) 문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고분 내에 표현된 벽화·묵서, 명문전 등 외부에 공개된 다양한 전시물들은 묘주 일가가 이주민 집단과의 정서·지향을 공유하는 가운데, 서로 간의 결속을 강화하려는 목적과 관련 있다. 장무이묘에서 발견된 명문전들의 내용 역시 바로 그러한 맥락 속에서 기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vast body of inscribed bricks has been found connected to the mid-fourth-century Tomb of Jang Mui in Bongsan-gun, Hwanghae-do Province. After several inspections of the bricks conduc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23, these inscribed bricks were grouped into ten types. This paper interprets in detail the phrases written on these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This detailed interpretation facilitates a rough understanding of how each phrase relates to the others and in what order the phrases would make full sentences.
      In terms of their contents, these inscribed bricks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to viewers on the outside. In particular, they relate that a narrator referred to as a Jubu official named Jo wa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of Jang Mui. They can be compared to the inscribed bricks created in China during the Western Jin and Eastern Jin Dynasties that were produced not by family members of the tomb occupants, but by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based on political and social connections to their occupants.
      During the mid-fourth century, funeral practices in the former lands of the Nangnang and Daebang Commanderies followed Chinese traditions with the permission of Goguryeo Kingdom. Many of the artifacts found inside these Chinese-style tombs and introduced to the public, including the murals, ink inscriptions, and inscribed bricks, are related to the desire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tomb occupants to strengthen their bonds and to share emotions and goals with settler groups. The contents of the inscribed bricks discovered from the Tomb of Jang Mui can be observed in this context.
      번역하기

      A vast body of inscribed bricks has been found connected to the mid-fourth-century Tomb of Jang Mui in Bongsan-gun, Hwanghae-do Province. After several inspections of the bricks conduc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23, these inscribed bricks...

      A vast body of inscribed bricks has been found connected to the mid-fourth-century Tomb of Jang Mui in Bongsan-gun, Hwanghae-do Province. After several inspections of the bricks conduc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23, these inscribed bricks were grouped into ten types. This paper interprets in detail the phrases written on these bricks from the Tomb of Jang Mui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This detailed interpretation facilitates a rough understanding of how each phrase relates to the others and in what order the phrases would make full sentences.
      In terms of their contents, these inscribed bricks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to viewers on the outside. In particular, they relate that a narrator referred to as a Jubu official named Jo wa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of Jang Mui. They can be compared to the inscribed bricks created in China during the Western Jin and Eastern Jin Dynasties that were produced not by family members of the tomb occupants, but by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based on political and social connections to their occupants.
      During the mid-fourth century, funeral practices in the former lands of the Nangnang and Daebang Commanderies followed Chinese traditions with the permission of Goguryeo Kingdom. Many of the artifacts found inside these Chinese-style tombs and introduced to the public, including the murals, ink inscriptions, and inscribed bricks, are related to the desire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tomb occupants to strengthen their bonds and to share emotions and goals with settler groups. The contents of the inscribed bricks discovered from the Tomb of Jang Mui can be observed in this con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묘주(망자)에 대한 애도와 표현 방식
      • Ⅲ. 문장의 전개 순서와 고분 조영의 주체
      • Ⅳ. 명문전의 성격과 작성 의도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묘주(망자)에 대한 애도와 표현 방식
      • Ⅲ. 문장의 전개 순서와 고분 조영의 주체
      • Ⅳ. 명문전의 성격과 작성 의도
      • Ⅴ. 맺음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