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Holstein과 Jersey종 젖소집단의 고밀도 유전체 정보 및 연관불평형 비교 = Comparison of SNP variation and extent of linkage disequilibrium in Holstein and Jersey cattle populatio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458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Jersey cattle were introduced and produced in Korea. The number of introduced Jersey cattl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Holstein breed, and there are few related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variations and to characterize linkage disequilibrium (LD) between Jersey and Holstein populations in Korea. High-density SNP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Jersey cattle and 921 Holstein cattle. SNP genotypes were identified using Illumina BovineSNP50 version3 BeadChip, which covers 53,218 SNPs located across all chromosomes. For a fair comparison of LD measurement, 29,127 markers which were common after quality control in both breeds were selected. The allele frequencies of all SNP markers were compared in both breeds, especially for the SNPs which showed segregation in only one breed. The measures of the LD (r2), the squar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lleles at two loci that are carried by haplotypes, were calculated. Relatively small genetic diversity was found in Jersey population by the statistics of allele frequencies, heterozygosity, r2 between adjacent markers,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
      번역하기

      Recently, Jersey cattle were introduced and produced in Korea. The number of introduced Jersey cattl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Holstein breed, and there are few related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i...

      Recently, Jersey cattle were introduced and produced in Korea. The number of introduced Jersey cattl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Holstein breed, and there are few related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variations and to characterize linkage disequilibrium (LD) between Jersey and Holstein populations in Korea. High-density SNP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Jersey cattle and 921 Holstein cattle. SNP genotypes were identified using Illumina BovineSNP50 version3 BeadChip, which covers 53,218 SNPs located across all chromosomes. For a fair comparison of LD measurement, 29,127 markers which were common after quality control in both breeds were selected. The allele frequencies of all SNP markers were compared in both breeds, especially for the SNPs which showed segregation in only one breed. The measures of the LD (r2), the squar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alleles at two loci that are carried by haplotypes, were calculated. Relatively small genetic diversity was found in Jersey population by the statistics of allele frequencies, heterozygosity, r2 between adjacent markers,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에 저지 젖소 품종이 도입되어 사육되고 있으나 도입된 저지소의 개체수는 홀스타인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관련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저지종 집단과 홀스타인종 집단에서 구성한 고밀도 유전제 정보의 유전적 다양성 및 연관불평형의 차이를 비교를 통하여 집단유전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밀도 유전체 정보는 홀스타인종 집단과 저지종 집단 모두에서 같은 종류의 SNP chip을(Illumina BovineSNP50 version3) 이용하여 분석된 유전자형 자료로 총 SNP 마커 수는 53,218개이고 저지종은 120두, 홀스타인종은 921두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관불평형에 대한 공평한 비교를 위하여 품질평가를 완료한 뒤 두 품종에서 공통된 29,127개의마커를 선택하였다. 유전체 전장의 모든 SNP 마커의 유전자 빈도를 비교하였으며, 특히 한 품종에서만 다형성이 존재하는 마커들을 탐색하였다. 일배체형으로 구성되어지는 두 좌위의 대립유전자간 빈도 상관계수의 제곱으로 나타내어지는 r2의 계산을 통하여 품종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였다. 대립유전자빈도, 이형접합성, 일배체형의 r2 및 유효집단 크기 비교에서 저지종의 유전적 다양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최근 국내에 저지 젖소 품종이 도입되어 사육되고 있으나 도입된 저지소의 개체수는 홀스타인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관련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저지종 집단과 홀...

      최근 국내에 저지 젖소 품종이 도입되어 사육되고 있으나 도입된 저지소의 개체수는 홀스타인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관련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저지종 집단과 홀스타인종 집단에서 구성한 고밀도 유전제 정보의 유전적 다양성 및 연관불평형의 차이를 비교를 통하여 집단유전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밀도 유전체 정보는 홀스타인종 집단과 저지종 집단 모두에서 같은 종류의 SNP chip을(Illumina BovineSNP50 version3) 이용하여 분석된 유전자형 자료로 총 SNP 마커 수는 53,218개이고 저지종은 120두, 홀스타인종은 921두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관불평형에 대한 공평한 비교를 위하여 품질평가를 완료한 뒤 두 품종에서 공통된 29,127개의마커를 선택하였다. 유전체 전장의 모든 SNP 마커의 유전자 빈도를 비교하였으며, 특히 한 품종에서만 다형성이 존재하는 마커들을 탐색하였다. 일배체형으로 구성되어지는 두 좌위의 대립유전자간 빈도 상관계수의 제곱으로 나타내어지는 r2의 계산을 통하여 품종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였다. 대립유전자빈도, 이형접합성, 일배체형의 r2 및 유효집단 크기 비교에서 저지종의 유전적 다양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충일 ; 이준호 ; 이득환,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22 (22): 366-372, 2012

      2 이규진, "일제 강점기(1910~1945) 조선의 우유 생산과 보급"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400-410, 2016

      3 Qanbari S, "The pattern of linkage disequilibrium in German Holstein cattle" 41 : 346-356, 2010

      4 Smith DL, "Short communication: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heat stress on milk and component yields and somatic cell score in Holstein and Jersey cows" 96 (96): 3028-3033, 2013

      5 Stachowicz K, "Rates of inbreeding and genetic diversity in Canadian Holstein and Jersey cattle" 94 : 5160-5175, 2011

      6 Lim DH., "Milk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Jersey cows" 6 (6): 5-11, 2017

      7 Thistlethwaite FR, "Linkage disequilibrium vs. pedigree: Genomic selection prediction accuracy in conifer species" 2020

      8 de Roos APW, "Linkage disequilibrium and persistence of phase in Holstein–Friesian, Jersey and Angus cattle" 179 (179): 1503-1512, 2008

      9 Sved JA., "Linkage disequilibrium and homozygosity of chromosome segments in finite population" 2 : 125-141, 1971

      10 Falconer DS,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genetics" Longmans Green 1981

      1 조충일 ; 이준호 ; 이득환,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22 (22): 366-372, 2012

      2 이규진, "일제 강점기(1910~1945) 조선의 우유 생산과 보급"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400-410, 2016

      3 Qanbari S, "The pattern of linkage disequilibrium in German Holstein cattle" 41 : 346-356, 2010

      4 Smith DL, "Short communication: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heat stress on milk and component yields and somatic cell score in Holstein and Jersey cows" 96 (96): 3028-3033, 2013

      5 Stachowicz K, "Rates of inbreeding and genetic diversity in Canadian Holstein and Jersey cattle" 94 : 5160-5175, 2011

      6 Lim DH., "Milk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Jersey cows" 6 (6): 5-11, 2017

      7 Thistlethwaite FR, "Linkage disequilibrium vs. pedigree: Genomic selection prediction accuracy in conifer species" 2020

      8 de Roos APW, "Linkage disequilibrium and persistence of phase in Holstein–Friesian, Jersey and Angus cattle" 179 (179): 1503-1512, 2008

      9 Sved JA., "Linkage disequilibrium and homozygosity of chromosome segments in finite population" 2 : 125-141, 1971

      10 Falconer DS,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genetics" Longmans Green 1981

      11 Rincon G, "Hot topic: Performance of bovine high-density genotyping platforms in Holsteins and Jerseys" 94 : 6116-6121, 2011

      12 Dong Hyun Lim ; Tae-Il Kim ; Sung-Min Park ; Kwang-Seok Ki ; Younghoon Kim, "Evaluation of heat stress responses in Holstein and Jersey cows by analyz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lk production in Korea" 한국축산학회 63 (63): 872-883, 2021

      13 Kyoung-Tag Do ; 이준호 ; Hak Kyo Lee ; Jun Kim ; 박경도, "Estimation of effective population size using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data in Jeju horse" 한국축산학회 56 (56): 1-6, 2014

      14 Dong Hyun Lim ; Vijayakumar Mayakrishnan ; Hyun-Jeong Lee ; 기광석 ; Tae Il Kim ; Younghoon Kim, "A comparative study on milk composition of Jersey and Holstein dairy cows during the early lactation" 한국축산학회 62 (62): 565-576,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