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kg 전후의 3원 교잡종(LY × D) 돼지를 이용하여 처리구별로 각 10두씩 배치하여 출하전 30일간 비육후기 사료를 급여하여 시험하였고, 기본사료(C)에 누에동충하초를 0.01% 첨가한 것을 처리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5493425
2005
Korean
630.5
학술저널
121-129(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90kg 전후의 3원 교잡종(LY × D) 돼지를 이용하여 처리구별로 각 10두씩 배치하여 출하전 30일간 비육후기 사료를 급여하여 시험하였고, 기본사료(C)에 누에동충하초를 0.01% 첨가한 것을 처리구...
90kg 전후의 3원 교잡종(LY × D) 돼지를 이용하여 처리구별로 각 10두씩 배치하여 출하전 30일간 비육후기 사료를 급여하여 시험하였고, 기본사료(C)에 누에동충하초를 0.01% 첨가한 것을 처리구(T)로 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가열감량, 보수성, 전단가, 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에 있어서 육색과 지방색 모두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 포화지방산 비율은 처리구에서 불포화지방산 비율은은 대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필수지방산의 함량은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다(P>0.05).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Prol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 구성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신선육 및 가열육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동일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향후 누에동충하초의 급여량과 급여방법 및 시기 등과 육질과의 상호관련성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from pigs fed Peacilomyces Tenuipes. A total of 20 pigs average 90kg of live weight were assigned into 2 pens(10 pigs/pen). Pigs were fed finishig diets(C; b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from pigs fed Peacilomyces Tenuipes. A total of 20 pigs average 90kg of live weight were assigned into 2 pens(10 pigs/pen). Pigs were fed finishig diets(C; basal feed) or finishing diets containing 0.01% Peacilomyces Tenuipes(T) from 30 days to market weigh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proximate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of C and T 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Also,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shear force and cholesterol were not different(P>0.05). L^(*) value of meat and fat color in C were higher(P<0.05) than that of T. In fatty acids, saturated fatty acid and essential fatty acids of pork loin from T was higher than that of C, while, unsaturated fatty acid of pork loin from C was slightly higher(P>0.05) than that of T. Amino acid compositions of T was lower(P<0.05) than that of C, except proline. The sensory score of fresh and cooked meat showed similarity. Further studied are needs on the 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eeding dietary Peacilomyces Tenuipes
금송의 揷木時期, 床土 및 發根劑가 揷木繁殖에 미치는 影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