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 운영 방안 =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8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장애인스포츠레저사업 현황 조사, 장애인스포츠·레저학�...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장애인스포츠레저사업 현황 조사,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운영을 위한 인식조사,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스포츠레저 사업의 문제점으로 장애인스포츠·레저 활동 비활성화, 장애인스포츠·레저 전문 인력 부족, 지원환경 인프라 부족이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운영 인식조사 결과, 장애인체육단체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계자들은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조성 및 운영 시 셔틀버스 운영 등과 같은 접근성(52.3%)을 가장 강조했으며, 운영 방식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서 직영 운영(61.8%)을 선호하였다.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프로그램 운영 시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가족단위 캠핑(39.2%), 수상레저스포츠(23.7%), 동계스포츠(11.3%), 자동차 레저스포츠(9.5%)등을 선호하였다. 셋째, 전문가 회의결과,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와 관련하여 적합지역은 평창올림픽 및 평창동계패럴림픽이 개최된 평창지역을 가장 바람직한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운영방식으로는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의 공익적 활용을 감안하여 대한장애인체육회 직접운영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으로는 동·하계스포츠·레저캠프, 교육연수프로그램, 가족 캠핑프로그램과 시설임대, 전시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specific plan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urvey and the recognition survey for management of sports a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specific plan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urvey and the recognition survey for manage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a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roblems of sports and leisure business for the disabled were inactivation and lack of experts, infrastructure for sports and leisure for the disabled.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about manage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disability sports organization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mphasized accessibility (52.3%), such as shuttle bus, and direct management (61.8%) by Korea Paralympic Committee. Also, as the program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camping with family(39.2%), water leisure sports (23.7%), winter sports (11.3%) and automobile leisure sports (9.5%) were preferred. Third, Pyeongchang where Winter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ere held was selected as the most desirable area for the establish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and managed directly by Korea Paralympic Committee for public use. For the program, it was suggested to run the summer and winter sports leisure camp,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camping program with family, facility rental, and exhibition progra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학교"

      2 김승완, "체육에서의 장애차별 예방 매뉴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3 이미정, "재활체육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4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중장기 발전 계획"

      5 대한장애인체육회, "장애인레저·스포츠학교건립운영 사업(안)"

      6 김지태, "장애인 뉴스포츠 프로그램의 참여 저해요인과 활성화에 관한 종목개발자의 견해"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16, 2011

      7 성문정, "스포츠비전 2020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과학연구원 2012

      8 김홍남, "독일의 청소년우수선수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체육학교 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51 (51): 111-120, 2012

      9 대한장애인체육회, "2018년 생활체육교실 및 동호회 현황 자료"

      10 대한장애인체육회, "2016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 대한장애인체육회 2016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학교"

      2 김승완, "체육에서의 장애차별 예방 매뉴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3 이미정, "재활체육 제도화 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4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중장기 발전 계획"

      5 대한장애인체육회, "장애인레저·스포츠학교건립운영 사업(안)"

      6 김지태, "장애인 뉴스포츠 프로그램의 참여 저해요인과 활성화에 관한 종목개발자의 견해"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16, 2011

      7 성문정, "스포츠비전 2020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과학연구원 2012

      8 김홍남, "독일의 청소년우수선수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체육학교 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51 (51): 111-120, 2012

      9 대한장애인체육회, "2018년 생활체육교실 및 동호회 현황 자료"

      10 대한장애인체육회, "2016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 대한장애인체육회 2016

      11 대한장애인체육회, "2016대한장애인체육회기금지원사업 성과보고서" 대한장애인체육회 2016

      12 문화체육관광부, "2016 체육백서"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