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동아시아사 속 진흥왕비의 역사적인 위상을 고려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진흥왕비 연구에서 주목받지 않았던 문제의식과 그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진흥왕비에서는 비문 작성에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1310
2020
-
진흥왕비 ; 북위 ; 内 ; 藤湖南 ; 고증학 ; 金正喜 ; 碑學 ; 동아시아사 ; 동양사학 ; King-Jinheung monument(真 ; 興王碑) ; Northern Wei ; Konan Naito(内 ; 藤湖南) ; Gim Jeong-hui(金正喜) ; Kaozheng (考証 ; 学 ; ) ; Bei xue(碑學) ; history of East Asia ; Oriental history
900
KCI등재
학술저널
327-360(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동아시아사 속 진흥왕비의 역사적인 위상을 고려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진흥왕비 연구에서 주목받지 않았던 문제의식과 그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진흥왕비에서는 비문 작성에 영...
본고는 동아시아사 속 진흥왕비의 역사적인 위상을 고려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진흥왕비 연구에서 주목받지 않았던 문제의식과 그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진흥왕비에서는 비문 작성에 영향을 끼친 유교적인 사상과 고유신앙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복합적인 사상은 북위의 석각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진흥왕비는 북조와 한국고대국가를 포 함한 동아시아사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비석으로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진흥왕비가 지금까지 동아시아사 속에서 의의를 찾을 수 없었던 까닭은 근대 동양사학 연구자가 비석에 대해 멸시적인 시선을 갖고 있었 기 때문일 것이다. 内藤湖南에 의해 이루어진 근대 최초의 진흥왕비 연구 논문은 중국 북조와 신라의 교류 속에 진흥왕비를 위치시킨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문제의식에는 고증학자인 金正喜에 대한 대항·우월 의식이 담겨있었고 거기에는 北碑南帖論으로 대표되는 고증학자의 비석 연구 중시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있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awareness of the problem missing from the historical narrative when considering the historical phase of the King-Jinheung monument(真興王碑) in East Asia. The Jinheung monument can show Confucianism and peculiar beliefs t...
This paper considers awareness of the problem missing from the historical narrative when considering the historical phase of the King-Jinheung monument(真興王碑) in East Asia. The Jinheung monument can show Confucianism and peculiar beliefs through words. This complex though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one carving materials in Northern Wei. Therefore, this stone monument is important as a stone monument in East Asian history that covers the Northern Dynasties and the ancient countries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Jinheung monument did not find any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East Asia. Because, in modern oriental history, there was an understanding that monument studies was underestimated. The first study of the Jinheung monument in modern hisitory was done by Konan Naito(内藤 湖南). He found the significance of the Jinheung King monument in the exchange between the Northern Court of China and Silla. However, he had a sense of opposition and superiority to Gim Jeong-hui(金正喜). In other words, his thought was critical of the Kaozheng(考証学) scholar s emphasis on stone monument research, which is called the Northern stelae and Southern copybooks(北碑南帖論) .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石過眼錄"
2 신형식, "한국사 7 삼국의 정치와 사회 3-신라·가야" 1997
3 이호영,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1-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7
4 공석구,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 1-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7
5 李成市,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단계" 주류성 2009
6 이노우에 나오키,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노태돈 교수 정년기념논총 2)" 사계절 2014
7 하일식,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학회 (93) : 61-105, 2019
8 박초롱,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의의" 한국사학회 (118) : 43-78, 2015
9 김영하, "일제시기의 진흥왕순수비론-‘滿鮮’의 경역인식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학회 (52) : 435-466, 2008
10 조인성, "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연구의 의의-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2) : 5-25, 2011
1 "金石過眼錄"
2 신형식, "한국사 7 삼국의 정치와 사회 3-신라·가야" 1997
3 이호영,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1-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7
4 공석구,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 1-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7
5 李成市,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단계" 주류성 2009
6 이노우에 나오키,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노태돈 교수 정년기념논총 2)" 사계절 2014
7 하일식,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학회 (93) : 61-105, 2019
8 박초롱,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의의" 한국사학회 (118) : 43-78, 2015
9 김영하, "일제시기의 진흥왕순수비론-‘滿鮮’의 경역인식과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학회 (52) : 435-466, 2008
10 조인성, "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연구의 의의-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2) : 5-25, 2011
11 최병헌, "신라 진흥왕대의 국가발전과 정치사상 - 진흥왕순수비·황룡사장육존상 조성의 역사적 의의 -" 신라문화연구소 54 : 89-120, 2019
12 전덕재, "신라 중고기 州의 성격 변화와 軍主" 40 : 2001
13 노중국, "신라 中古期 儒學 사상의 수용과 확산" 대구사학회 93 : 1-28, 2008
14 최진열, "북위황제 순행과 호한사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15 전덕재, "문자와 고대 한국1–기록과 지배" 주류성 2019
16 전덕재, "문자와 고대 한국 1–기록과 지배" 주류성 2019
17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동북아 정세와 고구려 역사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20
18 주보돈,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19 노중국,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한국고대사 연구 과제와 몇 가지 재해석" 한국고대사학회 (57) : 5-44, 2010
20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21 하일식, "감악산비 논란과 감악신사에 대하여" 한국역사연구회 (117) : 485-518, 2020
22 "魏書"
23 稲葉岩吉, "高麗尹瓘九城-特に英雄二州の遺址に就て下-" 16 (16): 1931
24 佐藤智水, "雲岡仏教の性格-北魏国家仏教成立の一考察-" 59 (59): 1977
25 "阮堂先生全集"
26 菅野智明, "近代碑学の書論史的研究" 研文出版 2011
27 石永峰, "近代日本における碑帖論争と内藤湖南" 13 : 2020
28 노중국, "譯註韓國古代金石文II" 駕洛史蹟開發硏究所 1992
29 "論語"
30 "禮記"
31 李道學, "磨雲嶺眞興王巡狩碑의 近侍隨駕人에 관한 檢討" 9 : 1992
32 姜萬吉, "眞興王碑의 隨駕臣名 硏究-黃草嶺碑와 昌寧碑-" 1 : 1955
33 "海東金石苑"
34 "水經注"
35 "林園經濟志"
36 佐川英治, "東魏北齊革命と"魏書"の編纂" 64 (64): 2005
37 吉川幸次郎, "東洋学の創始者たち" 講談社 1976
38 内藤虎次郎, "東洋史稿" 金港堂書店 1932
39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第1卷"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40 "書經"
41 정현숙, "新羅와 北魏 ․ 隋 ․ 唐의 書藝 比較 硏究" 한국서예학회 (13) : 189-219, 2008
42 盧鏞弼, "新羅眞興王巡狩碑硏究" 一潮閣 1996
43 今西龍, "新羅眞興王巡守管境碑考" 12 (12): 1922
44 内藤虎次郞, "新羅眞興王巡境碑考" 2 (2): 1911
45 崔南善, "新羅眞興王の在來三碑と新出現の磨雲嶺碑" 2 : 1930
46 武田幸男, "新羅中古期の史的研究" 勉誠出版 2020
47 蘇浩, "山本竟山と富岡鉄斎の交遊について" 34 : 2018
48 朝鮮總督府, "大正六年古蹟調査報告" 朝鮮總督府 1920
49 "周易"
50 橋本繁, "古代日本と朝鮮の石碑文化" 朝倉書店 2018
51 德泉さち, "北魏時代の巡行碑に関する覚え書き" 48 : 2016
52 内藤虎次郎, "内藤湖南全集 第8卷" 筑摩書房 1969
53 内藤虎次郎, "内藤湖南全集 第14卷" 筑摩書房 1976
54 高木尚子, "内藤湖南の中等東洋史教科書における東洋史像-文化交渉学の視点から-" 3 : 2008
55 山田智, "内藤湖南とアジア認識-日本近代思想史からみる" 勉誠出版 2013
56 陶德民, "内藤書簡研究の新しい展開可能性について : 満洲建国後の石原莞爾·羅振玉との協働を例に" 47 : 2020
57 李暁辰, "京城帝国大学の韓国儒教研究-「近代知」の形成と展開-" 勉誠出版 2016
58 朴漢濟, "中國中世胡漢體制研究" 一潮閣 1988
59 "三國遺事"
60 金哲埈, "三國時代의 禮俗과 儒敎思想" 6·7 : 1969
61 町田隆吉, "アジア諸民族における社会と国家-岡本敬二先生退官記念論集" 国書刊行会 1984
62 이정빈, "6세기 중·후반 요서말갈(遼西 靺鞨)과 돌궐·고구려" 동북아역사재단 (61) : 7-41, 2018
63 김창석, "6세기 전반 新羅의 대외관계와 百濟觀" 57 : 2018
64 안정준, "6세기 高句麗의 北魏末 流移民 수용과 ‘遊人’" 국학연구원 (170) : 1-28, 2015
65 고광의, "5-6세기 新羅書藝에 나타난 외래 書風의 수용과 전개" 4 : 2004
66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碑學 유행과 그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129-160, 2010
“순망치한(脣亡齒寒; Môi Hở Răng Lạnh)”과 비대칭성의 구조 : 베트남·중국 관계와 국경의 역사경관(historyscapes)
고대 한반도의 목간문화 변용과 다면목간의 ‘편철’ : 漢簡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초기 그리스의 식민시와 접경지의 문화 역동성 : 이탈리아로 이주한 에우보이아인들의 고고학 증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7-0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해외민족연구소 -> 중앙사학연구소영문명 : Division for Foreign National Policy -> Institute for Historical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5 | 1.075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