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통예술 영재성 탐색과 영재교육 방향 =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Aptitude & on the Direc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for Korean Traditional A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3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utstanding masters of Korean traditional arts have been gifted by innate talent and trained by the motive of acquired learning, not educated by a special program. Today, sin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social culture and the education system of the past, the success and failure rate of this education rests upon the regulation on the standard, requisite, and evaluation which distinguish the gifted of Korean traditional art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managing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creativity under the similar background discovered from the traditional master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not recovered its honor and has just remained in existenc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needs to perform a significant role to create and develop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cultural tradition. For this reason, these days, though overwhelming a Western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this educat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cultivating creativity as well as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historicity rather than relying on the theory and system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riginated from Western education. Therefor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needs to study the master training system originating from Korean history and apply these results to developing the policy and curriculum of the education of the present.
      번역하기

      The outstanding masters of Korean traditional arts have been gifted by innate talent and trained by the motive of acquired learning, not educated by a special program. Today, sin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different...

      The outstanding masters of Korean traditional arts have been gifted by innate talent and trained by the motive of acquired learning, not educated by a special program. Today, since the social situ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social culture and the education system of the past, the success and failure rate of this education rests upon the regulation on the standard, requisite, and evaluation which distinguish the gifted of Korean traditional art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managing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creativity under the similar background discovered from the traditional master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not recovered its honor and has just remained in existenc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needs to perform a significant role to create and develop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cultural tradition. For this reason, these days, though overwhelming a Western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this educat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cultivating creativity as well as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historicity rather than relying on the theory and system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riginated from Western education. Therefor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needs to study the master training system originating from Korean history and apply these results to developing the policy and curriculum of the education of the pres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예술분야에 뛰어난 명인들은 어려서부터 지금과 같은 영재교육을 받으며 자란 것이 아니라선천적으로 주어진 환경 속에서 그 분야의 영재성을 자연스럽게 물려받아 후천적 학습 동기들에 의해 양성된 것이다. 오늘날 영재교육은 과거 전통사회의 문화, 교육 등의 학습의 장이 다르므로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대상이 되는 전통예술 영재성의 판별 기준, 요소, 평가 등의 규정에 따라 전통예술영재교육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예술 분야의 명인들의 영재성의 탐색에서 드러난 판별 요소들을 통하여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교육과정 운영과 창의성을 포함한 예술성계발 교육을 위한 환경의 장이 조성된 정체성 있는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재교육의 체계가 잡혀가고 있는 지금 영재교육의 역사적 전통성을 생각하지않을 수 없다. 더더욱 전통예술교육이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회복되지 못하여 우리 문화로서자리 매김은커녕 명맥만 겨우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걸음마 단계에 있는 전통예술 분야의 영재교육은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계승 발전시키며 전통예술 문화의 새로운 창조의 장을 여는 데 그역할이 크다고 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정서와는 거리가 먼 서구식 영재교육의 체제와 이론을대입하여 전통예술 영재교육을 하려고 한다면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지닌 전통예술 영재양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전통예술 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법은 전통예술의 문화형성에 배경이 된 전통예술관 속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인재관(人才觀)과 인재교육을 토대로 전통예술 영재 교육 연구와 더불어 전통예술 영재 양성 교육에대한 지원과 정책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전통예술분야에 뛰어난 명인들은 어려서부터 지금과 같은 영재교육을 받으며 자란 것이 아니라선천적으로 주어진 환경 속에서 그 분야의 영재성을 자연스럽게 물려받아 후천적 학습 동기...

      전통예술분야에 뛰어난 명인들은 어려서부터 지금과 같은 영재교육을 받으며 자란 것이 아니라선천적으로 주어진 환경 속에서 그 분야의 영재성을 자연스럽게 물려받아 후천적 학습 동기들에 의해 양성된 것이다. 오늘날 영재교육은 과거 전통사회의 문화, 교육 등의 학습의 장이 다르므로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대상이 되는 전통예술 영재성의 판별 기준, 요소, 평가 등의 규정에 따라 전통예술영재교육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예술 분야의 명인들의 영재성의 탐색에서 드러난 판별 요소들을 통하여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교육과정 운영과 창의성을 포함한 예술성계발 교육을 위한 환경의 장이 조성된 정체성 있는 전통예술 영재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재교육의 체계가 잡혀가고 있는 지금 영재교육의 역사적 전통성을 생각하지않을 수 없다. 더더욱 전통예술교육이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회복되지 못하여 우리 문화로서자리 매김은커녕 명맥만 겨우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걸음마 단계에 있는 전통예술 분야의 영재교육은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계승 발전시키며 전통예술 문화의 새로운 창조의 장을 여는 데 그역할이 크다고 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정서와는 거리가 먼 서구식 영재교육의 체제와 이론을대입하여 전통예술 영재교육을 하려고 한다면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지닌 전통예술 영재양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전통예술 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법은 전통예술의 문화형성에 배경이 된 전통예술관 속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존재했던 인재관(人才觀)과 인재교육을 토대로 전통예술 영재 교육 연구와 더불어 전통예술 영재 양성 교육에대한 지원과 정책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범모, "창의성-그 심리.인물.사회" 교육과학사 2001

      2 "지능, 창의성, 동기적 측면에서 조명한 전통예술 영재성 in 2012 예술영재교육 교원기초직무연수"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2

      3 원영실, "전통예술영재 교육평가 개발 실습(2)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교원심화연수(Ⅱ)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4 "전통예술영재 교육평가 개발 실습(1)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교원심화연수(Ⅱ)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5 김선희, "전통예술분야 영재성 평가 방법 in 2009 예술영재교육 교원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343-364, 2009

      6 권도희, "전통예술 영재의 특성 및 지도 방법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강사 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3-76, 2009

      7 "전통예술 영재성 탐색 및 판별 동향과 방법 in 2011 예술영재교육 교원 심화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1

      8 "전통예술 영재성 개념에 대한 반성 in 2010 예술영재교육 교원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0

      9 변미혜, "전문학교 및 전문 교과 내의 국악교육 활성화 방안 in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 인성 교육 학술대회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0 정진원, "음악 영재성의 이해와 양성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강사 연수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83-, 2009

      1 정범모, "창의성-그 심리.인물.사회" 교육과학사 2001

      2 "지능, 창의성, 동기적 측면에서 조명한 전통예술 영재성 in 2012 예술영재교육 교원기초직무연수"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2

      3 원영실, "전통예술영재 교육평가 개발 실습(2)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교원심화연수(Ⅱ)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4 "전통예술영재 교육평가 개발 실습(1)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교원심화연수(Ⅱ)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5 김선희, "전통예술분야 영재성 평가 방법 in 2009 예술영재교육 교원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343-364, 2009

      6 권도희, "전통예술 영재의 특성 및 지도 방법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강사 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3-76, 2009

      7 "전통예술 영재성 탐색 및 판별 동향과 방법 in 2011 예술영재교육 교원 심화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1

      8 "전통예술 영재성 개념에 대한 반성 in 2010 예술영재교육 교원연수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0

      9 변미혜, "전문학교 및 전문 교과 내의 국악교육 활성화 방안 in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 인성 교육 학술대회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0 정진원, "음악 영재성의 이해와 양성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강사 연수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83-, 2009

      11 이현주, "예술영재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 탐색: 음악, 미술, 무용영재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0 (20): 547-570, 2010

      12 조선미,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1 (21): 611-630, 2011

      13 이경화, "영재의 지능, 창의성, 자아개념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6 (6): 147-162, 2007

      14 이정규, "영재의 인지적 특성 연구: 3개영역별(문과, 이과, 예술) 영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953-971, 2005

      15 윤초희, "영재성 유형과 학년 수준에 따른 동기 및 인지적 특성" 4 (4): 2005

      16 박성익, "영재교육의 이해와 방향 in 2009 예술영재교육교원연수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17 송인섭, "영재교육과 창의성" 한국영재교육학회 기조강연 12-13, 2005

      18 이방현, "세종 시대의 영재 교육이 현대 영재 교육에 미치는 함의"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5-23, 2009

      19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사례를 통한 전통예술분야의 영재 개념 및 선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20 임학순, "미래의 환경과 문화예술 in 2009 예술영재교육 교원연수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21 조남권, "동양의 음악사상 악기" 민속원 21-, 2005

      22 정보영, "국악영재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원영실, "국악영재 판별을 위한 가락 및 리듬 인지능력 검사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24 "국악영재 판별 및 선발 사례 발표 in 2009 예술영재 교육 교원심화연수(Ⅱ)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9

      25 김선희, "국악영재 발굴을 위한 영재성 평가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4 (4): 31-5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