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세종수목원 교목 4종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 - 소나무, 메타세쿼이아, 칠엽수, 이팝나무를 대상으로 - = Estimation of Carbon Stock and Annual CO2 Uptake of Four Species at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 Pinus densiflor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esculus turbinata, Chionanthus retusu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0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 new carbon stock in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a major urban greenspace in Sejong-si. This study involved field and ground surveys of 1,336 trees, including 794 Pinus densiflora trees with a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of above 5.5cm, which are the most planted in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Chionanthus retusus 154 trees plante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216 trees, and Aesculus turbinata 172 trees as street tree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rom April to Novemb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stock were calculated using the annual carbon stock estimation equation used in the forest carbon offset projec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arbon stock of the 12cm diameter class, which is the most distributed of four major tree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C. retusus (0.0136tC/tree), P. densiflora (0.0126tC/tree), M. glyptostroboides (0.0092tC/tree), and A.
      turbinata (0.0076tC/tree). In addition, the field survey measurement data compared with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data for 20 trees showed a difference of 10.0cm in tree height and 1.7cm in diameter at breast height (p<0.05). In the future, additional carbon stock and annual uptake of other species planted in the arboretum are expected to promote the carbon uptake effect of the arboretum and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NDC. In the long term,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carbon uptake factor of trees and shrubs mainly used to calculate the exact carbon uptake amount of trees mainly used in urban forests and garden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 new carbon stock in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a major urban greenspace in Sejong-si. This study involved field and ground surveys of 1,336 trees, including 794 Pinus densiflora trees with 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 new carbon stock in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a major urban greenspace in Sejong-si. This study involved field and ground surveys of 1,336 trees, including 794 Pinus densiflora trees with a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of above 5.5cm, which are the most planted in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Chionanthus retusus 154 trees plante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216 trees, and Aesculus turbinata 172 trees as street tree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rom April to Novemb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stock were calculated using the annual carbon stock estimation equation used in the forest carbon offset projec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arbon stock of the 12cm diameter class, which is the most distributed of four major tree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C. retusus (0.0136tC/tree), P. densiflora (0.0126tC/tree), M. glyptostroboides (0.0092tC/tree), and A.
      turbinata (0.0076tC/tree). In addition, the field survey measurement data compared with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 data for 20 trees showed a difference of 10.0cm in tree height and 1.7cm in diameter at breast height (p<0.05). In the future, additional carbon stock and annual uptake of other species planted in the arboretum are expected to promote the carbon uptake effect of the arboretum and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NDC. In the long term,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carbon uptake factor of trees and shrubs mainly used to calculate the exact carbon uptake amount of trees mainly used in urban forests and garde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종특별시의 주요 도심 녹지인 국립세종수목원을 대상으로 신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흉고직경 5.5cm 이상 소나무 794본과 가로수로 식재된 이팝나무 154본, 메타세쿼이아 216본, 칠엽수 172본 등 총 1,336본의 수목을 대상으로 4월부터 11월까지 현장조사와 지상라이다 측정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탄소상쇄제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간 이산화탄소흡수량 추정식을 사용하여 탄소 저장량 및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주요 수목 4종이 가장많이 분포하는 흉고직경 12cm 직경급의 탄소 저장량을 비교해본 결과, 이팝나무(0.0136tC/본), 소나무(0.0126tC/본), 메타세쿼이아(0.0092tC/본), 칠엽수(0.0076tC/본)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본을 대상으로 지상라이다 측정자료와 비교해 본 현장조사 자료는 수고 10.0cm, 흉고직경은 1.7cm 차이를 보였다 p<0.05). 추후 정확하고 효율적인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목원에 식재된다른 종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가로 구축하면 수목원의 탄소흡수 효과를 홍보하고국가 NDC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으로 도시숲 및 정원에 주로 사용되는 수종의정확한 탄소 저장량 산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교목이나 관목의 탄소흡수계수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세종특별시의 주요 도심 녹지인 국립세종수목원을 대상으로 신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흉고직경 5.5cm 이상 소나무 794본과 가로수로 식재된 ...

      본 연구는 세종특별시의 주요 도심 녹지인 국립세종수목원을 대상으로 신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흉고직경 5.5cm 이상 소나무 794본과 가로수로 식재된 이팝나무 154본, 메타세쿼이아 216본, 칠엽수 172본 등 총 1,336본의 수목을 대상으로 4월부터 11월까지 현장조사와 지상라이다 측정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탄소상쇄제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간 이산화탄소흡수량 추정식을 사용하여 탄소 저장량 및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주요 수목 4종이 가장많이 분포하는 흉고직경 12cm 직경급의 탄소 저장량을 비교해본 결과, 이팝나무(0.0136tC/본), 소나무(0.0126tC/본), 메타세쿼이아(0.0092tC/본), 칠엽수(0.0076tC/본)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본을 대상으로 지상라이다 측정자료와 비교해 본 현장조사 자료는 수고 10.0cm, 흉고직경은 1.7cm 차이를 보였다 p<0.05). 추후 정확하고 효율적인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목원에 식재된다른 종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가로 구축하면 수목원의 탄소흡수 효과를 홍보하고국가 NDC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으로 도시숲 및 정원에 주로 사용되는 수종의정확한 탄소 저장량 산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교목이나 관목의 탄소흡수계수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두영 ; 김의명,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가로수 정보의 추출" 대한공간정보학회 20 (20): 45-57, 2012

      2 강진택 ; 손영모 ; 전주현 ; 이선정, "우리나라 소나무의 수간곡선식 추정에 의한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산정" 한국기후변화학회 8 (8): 415-424, 2017

      3 사예진 ; 우희성 ; 김준순,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사업참여자 인식 및 현황 분석" 한국산림과학회 111 (111): 165-176, 2022

      4 최승운 ; 김태근 ; 김종필 ; 김성재, "산림지역 수목의 기하학적 구조 측정을 위한 휴대용 라이다 장비의 활용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25 (25): 48-58, 2022

      5 고치웅 ; 임종수 ; 김동근 ; 강진택, "디지털 산림자원정보 구축을 위한 최적의 지상LiDAR 스캔 경로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7 (37): 245-256, 2021

      6 이민기 ; 이해인 ; 이창배, "도시숲의 산림 층위에 따른 지상부 바이오매스 및 제어인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3 (33): 677-690, 2022

      7 조현길 ; 김진영 ; 박혜미,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 효과와 계량모델 개발- 5개 향토수종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13-21, 2014

      8 조현길 ; 김진영 ; 박혜미, "도시 상록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 -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571-578, 2013

      9 박은진 ; 강규이,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591-600, 2010

      10 Lukas H, "UNFCCC before and after Paris-what’s necessary for an effective climate regime" 17 (17): 150-170, 2017

      1 조두영 ; 김의명,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가로수 정보의 추출" 대한공간정보학회 20 (20): 45-57, 2012

      2 강진택 ; 손영모 ; 전주현 ; 이선정, "우리나라 소나무의 수간곡선식 추정에 의한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산정" 한국기후변화학회 8 (8): 415-424, 2017

      3 사예진 ; 우희성 ; 김준순,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사업참여자 인식 및 현황 분석" 한국산림과학회 111 (111): 165-176, 2022

      4 최승운 ; 김태근 ; 김종필 ; 김성재, "산림지역 수목의 기하학적 구조 측정을 위한 휴대용 라이다 장비의 활용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25 (25): 48-58, 2022

      5 고치웅 ; 임종수 ; 김동근 ; 강진택, "디지털 산림자원정보 구축을 위한 최적의 지상LiDAR 스캔 경로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37 (37): 245-256, 2021

      6 이민기 ; 이해인 ; 이창배, "도시숲의 산림 층위에 따른 지상부 바이오매스 및 제어인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3 (33): 677-690, 2022

      7 조현길 ; 김진영 ; 박혜미,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 효과와 계량모델 개발- 5개 향토수종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13-21, 2014

      8 조현길 ; 김진영 ; 박혜미, "도시 상록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 -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571-578, 2013

      9 박은진 ; 강규이,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591-600, 2010

      10 Lukas H, "UNFCCC before and after Paris-what’s necessary for an effective climate regime" 17 (17): 150-170, 2017

      11 Korea Forest Service, "The Story of Sejong National Arboretum Construction"

      12 Korea Forest Service., "Statical yearbook of foresty"

      13 Korea Forest Service, "Operating standard for social contribution type forest carbon offset"

      1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Focus 8(15)"

      15 IPCC, "Global Warming of 1.5 °C.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2018

      16 Maltamo M, "Forestry applications of airborne laser scanning, concepts and case studies"

      17 Bauwens S, "Forest inventory with terrestrial LiDAR : A comparsion of static and hand-held mobile laser scanning" 7 (7): 127-, 2016

      18 Korea Forest Service, "Forest Renaissance’promotion strategy" 31-, 2022

      19 Hyyppa E, "Comparsion of backpack, handheld, under-canopy UAV, and above-canopu UAV laser scanning for field reference data collection in boreal forests" 12 (12): 3327-, 2020

      20 IPCC, "Climate Change 2014: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Carbon Keeper Urban Fores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