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로공간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변건축물 형태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Element of Buildings Affecting in Street Spa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reet, as a linear factor constituting the city, is an axis of urban development. The substantial function of the street is the traffic space for the passage but now it plays the important role of the place of community where contains various activities such as meeting between people and people, rest, entertainment etc. A street is basically the 3 dimensional space consisted of the sidewalk, roadway and the roadside structures surrounding the street. In this case, the roadside structures are the physical composition factors for the street space and the facade of the roadside structures acts as important variables to form the image of street space. Thu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be applied in the future urban street landscape plan by extracting the superior factors in visual and perceptional aspects which affect the image of street view from the shape composition factors which constitute the facade of the roadside structures, and by search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degree and preference of each factors.
      번역하기

      A street, as a linear factor constituting the city, is an axis of urban development. The substantial function of the street is the traffic space for the passage but now it plays the important role of the place of community where contains various activ...

      A street, as a linear factor constituting the city, is an axis of urban development. The substantial function of the street is the traffic space for the passage but now it plays the important role of the place of community where contains various activities such as meeting between people and people, rest, entertainment etc. A street is basically the 3 dimensional space consisted of the sidewalk, roadway and the roadside structures surrounding the street. In this case, the roadside structures are the physical composition factors for the street space and the facade of the roadside structures acts as important variables to form the image of street space. Thu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be applied in the future urban street landscape plan by extracting the superior factors in visual and perceptional aspects which affect the image of street view from the shape composition factors which constitute the facade of the roadside structures, and by search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degree and preference of each fa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돈서, "한국 현대건축 외장의 색채계획방법론"

      2 정경애,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과의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 한국토지공사, "도시설계 작성 기준에 관한 연구"

      4 김대호, "도시가로경관 가로변건축물의 형태유형에 관한 연구" 17 (17): 186-, 1997

      5 최인정, "도시 가로경관 향상을 위한 건축물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2003

      6 정상진, "건축재료" 보성각 161-303, 2006

      1 박돈서, "한국 현대건축 외장의 색채계획방법론"

      2 정경애,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과의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 한국토지공사, "도시설계 작성 기준에 관한 연구"

      4 김대호, "도시가로경관 가로변건축물의 형태유형에 관한 연구" 17 (17): 186-, 1997

      5 최인정, "도시 가로경관 향상을 위한 건축물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2003

      6 정상진, "건축재료" 보성각 161-30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