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연극 방법을 통한 제주설화의 교재화 방안 연구 = (A) Study of Measures to Con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rough Educational Pl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48963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88.3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xi, 251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82-191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 교육은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을 극대화하고 삶의 총체적인 지혜를 터득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문학을 향유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설화를 체험하고 형상화하며 자신의 삶에 반영된 설화의 의미를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는 가운데 문학의 주체요 문화 전승의 주체로 서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설화의 교재화를 중심으로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의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설화의 교재화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첫째, 현행 교육과정 문학 영역 중 설화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로 나누어 분석을 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둘째, 설화의 교재화 구성 조건과 원리를 밝히고 제주설화의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을 마련한 후 대상 작품을 선정하였다.
      셋째, 제주설화 교육을 위한 설화 텍스트와 교육 연극 방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Ⅱ장에서는 현행 문학 교육과정에 설화 교육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교육연극 방법이 어느 정도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설화의 제재수는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나 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설화의 본질보다도 언어사용기능의 신장을 위한 도구적 성격을 띠는 제재가 많았다. 따라서 설화의 본질에 입각하여 총체적인 문학 체험을 할 수 있는 설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제주설화의 교재화를 위한 원리를 살펴보고 작품을 선정하였다.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제주설화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주설화를 분석하였으며, 삼성신화, 설문대할망, 천지왕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다섯 작품을 설화 교재화 대상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제주설화의 교재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구연용, 읽기용, 연극놀이용 텍스트를 제작하였다. 구연용 텍스트로는 ‘삼성신화, 설문대할망, 천지왕본풀이’ 세 편을, 읽기용 텍스트로는 ‘삼성신화, 설문대할망, 천지왕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다섯 편을, 연극놀이용 텍스트로는 ‘삼공본풀이’ 텍스트를 제작하였다.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으로 학년별 제주설화 교수·학습 모형, 설화별 활동 프로그램, 그리고 설화 교육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제주설화 교수·학습 모형은 저학년·중학년·고학년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설화별 활동 프로그램은 ‘비언어교육과 언어 교육,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총 16개 영역 147종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화 교육 수행평가 도구는 역할수행을 중심으로 한 교사 관찰지와 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한 자기 평가지, 동료 평가지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과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에 적용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검증 도구로는 설문을 통한 조사와 심층면담, 교사일지 그리고 수업 후 결과물인 학생 작품에 대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적용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일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연구자가 개발한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문학 수업에 다른 수업보다 더 몰입하며 즐겁게 참여하였다.
      둘째, 학생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은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며 내면화된 의미를 독창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을 적용했던 설화가 수록된 전래동화집을 스스로 찾아 읽는 등 문학을 즐기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넷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제주 지역의 설화에 대하여 긍지와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설화의 내용을 바르게 파악할 뿐 아니라 설화의 내용을 자신의 삶과 비교하며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면담일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제주지역의 설화를 교재화한 문학 수업에 매우 높은 집중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교육연극을 통한 문학 수업을 즐기고 있고 설화 속 인물과의 감정이입이 매우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연구자가 개발·적용한 ‘교육연극 방법을 통한 제주설화 교재화 방안’은 학습자들이 문학을 향유하게 하는 문학 교육의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많을 것이라 여겨진다.
      번역하기

      문학 교육은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을 극대화하고 삶의 총체적인 지혜를 터득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문학을 향유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

      문학 교육은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을 극대화하고 삶의 총체적인 지혜를 터득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문학을 향유하는 사람으로 만드는 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설화를 체험하고 형상화하며 자신의 삶에 반영된 설화의 의미를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는 가운데 문학의 주체요 문화 전승의 주체로 서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설화의 교재화를 중심으로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의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설화의 교재화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첫째, 현행 교육과정 문학 영역 중 설화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로 나누어 분석을 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둘째, 설화의 교재화 구성 조건과 원리를 밝히고 제주설화의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을 마련한 후 대상 작품을 선정하였다.
      셋째, 제주설화 교육을 위한 설화 텍스트와 교육 연극 방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Ⅱ장에서는 현행 문학 교육과정에 설화 교육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교육연극 방법이 어느 정도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설화의 제재수는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나 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설화의 본질보다도 언어사용기능의 신장을 위한 도구적 성격을 띠는 제재가 많았다. 따라서 설화의 본질에 입각하여 총체적인 문학 체험을 할 수 있는 설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제주설화의 교재화를 위한 원리를 살펴보고 작품을 선정하였다.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제주설화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주설화를 분석하였으며, 삼성신화, 설문대할망, 천지왕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다섯 작품을 설화 교재화 대상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제주설화의 교재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구연용, 읽기용, 연극놀이용 텍스트를 제작하였다. 구연용 텍스트로는 ‘삼성신화, 설문대할망, 천지왕본풀이’ 세 편을, 읽기용 텍스트로는 ‘삼성신화, 설문대할망, 천지왕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다섯 편을, 연극놀이용 텍스트로는 ‘삼공본풀이’ 텍스트를 제작하였다.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으로 학년별 제주설화 교수·학습 모형, 설화별 활동 프로그램, 그리고 설화 교육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제주설화 교수·학습 모형은 저학년·중학년·고학년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설화별 활동 프로그램은 ‘비언어교육과 언어 교육,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총 16개 영역 147종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화 교육 수행평가 도구는 역할수행을 중심으로 한 교사 관찰지와 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한 자기 평가지, 동료 평가지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과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에 적용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검증 도구로는 설문을 통한 조사와 심층면담, 교사일지 그리고 수업 후 결과물인 학생 작품에 대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적용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일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연구자가 개발한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문학 수업에 다른 수업보다 더 몰입하며 즐겁게 참여하였다.
      둘째, 학생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은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며 내면화된 의미를 독창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을 적용했던 설화가 수록된 전래동화집을 스스로 찾아 읽는 등 문학을 즐기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넷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제주 지역의 설화에 대하여 긍지와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설화의 내용을 바르게 파악할 뿐 아니라 설화의 내용을 자신의 삶과 비교하며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면담일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제주지역의 설화를 교재화한 문학 수업에 매우 높은 집중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교육연극을 통한 문학 수업을 즐기고 있고 설화 속 인물과의 감정이입이 매우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연구자가 개발·적용한 ‘교육연극 방법을 통한 제주설화 교재화 방안’은 학습자들이 문학을 향유하게 하는 문학 교육의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많을 것이라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ture education should serve as a facilitator to maximize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o help them to understand a comprehensive wisdom of life. It should help them enjoy literature. It is not until students experience the legends of their residing areas and express their images in a variety of ways that they can lead literature and succeed to culture.
      This study is designed to grope for practical measures for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by focusing on how to co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e following are the measures. First, the researcher divided the legend-related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into textbooks, guidance books, and curriculum and groped for alternatives.
      Second, the researcher dwelt on the conditions and principles of converting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made a selection of works to be subject to such a change.
      Third, the researcher ironed out programs where legend texts and educational drama methods were applied
      Forth, the researcher tested the effects by dint of applying the programs to the educational fields.
      According to these procedures, chapter Ⅱ deals with how legendary education is embodied in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and how much educational drama approaches have been accepted by focusing on textbooks, guidance books and curriculum. In the seventh curriculum, the essence of legends is ignored and most of restrictions are placed on legends under the banner of enhancement of language use.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hat the course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essence of legends. Therefore this chapter suggests that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regained by dint of using local legends as materials for literature education and that legen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way of applying educational drama approaches.
      Chapter Ⅲ makes a selection of works for converting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e research takes a look at the appropriateness of such a change and selects the principles of converting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working out standards for selecting works for changing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in relation to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such a change. The selected legends include Samseongsinwha, Seolmundaehalmang, Cheonjiwhangbonbuli, Samgongbonpuli, and Sekyeongbonpuli. The researcher makes an analysis of the works on the basis of her standards for selection and the findings of researchers in legends.
      Chapter Ⅳ seeks to con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o begin with, such legends as Samseongsinwha, Seolmundaehalmang, and Cheonjiwhangbonbuli are used to produce orally narrated texts and Samseongsinwha, Seolmundaehalmang, Cheonjiwhangbonbuli, Samgongbonpuli, and Sekyeongbonpuli are used to produce texts for reading and Samgongbonpuli is used to produce a text for a role play.
      The programs are divided into models for Jeju lege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programs by legend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legends.
      The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Jeju legends are divided into things for lower graders, middle graders and high graders.
      Activity programs by legend has a workbook for each legend.
      consisting of a total of 147 contents in 16 areas by dividing them into verbal education and nonverbal education as well as integrative activity.
      The evaluative tools for legend education include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s related to role performance and learners' self-evaluation checklist and friends checklis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learners' meaning.
      The tools for tes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s include questionnaire research, in-depth interview, the teacher's log and the students' works as the results of the classe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 observational log has it that the students were more immersed in the class programs of this research than any other classes.
      Second, the analysis of students' works shows that they constructed creative meanings and that they expressed their inner meanings in a unique way.
      Third, the programs helped the students to form an attitude of enjoying literature.
      Forth, the questionnaire research reveals that they came to take pride and interest in the legends of Jeju area and that they had a good understanding of legends and that they compared their own life with the contents of the legends.
      Fifth,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log shows that the subjects showed a strong power of concentration on literature classes where the legends of the local community were dealt with and that they enjoyed literature class through educational plays and that they felt strong empathy with the characters in the legends.
      All in all, this research on measures to con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rough educational drama approaches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literature education for learners to enjoy literature in a proper way.

      번역하기

      Literature education should serve as a facilitator to maximize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o help them to understand a comprehensive wisdom of life. It should help them enjoy literature. It is not until students experience the legends o...

      Literature education should serve as a facilitator to maximize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o help them to understand a comprehensive wisdom of life. It should help them enjoy literature. It is not until students experience the legends of their residing areas and express their images in a variety of ways that they can lead literature and succeed to culture.
      This study is designed to grope for practical measures for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by focusing on how to co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e following are the measures. First, the researcher divided the legend-related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into textbooks, guidance books, and curriculum and groped for alternatives.
      Second, the researcher dwelt on the conditions and principles of converting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made a selection of works to be subject to such a change.
      Third, the researcher ironed out programs where legend texts and educational drama methods were applied
      Forth, the researcher tested the effects by dint of applying the programs to the educational fields.
      According to these procedures, chapter Ⅱ deals with how legendary education is embodied in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and how much educational drama approaches have been accepted by focusing on textbooks, guidance books and curriculum. In the seventh curriculum, the essence of legends is ignored and most of restrictions are placed on legends under the banner of enhancement of language use.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hat the course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essence of legends. Therefore this chapter suggests that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regained by dint of using local legends as materials for literature education and that legen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way of applying educational drama approaches.
      Chapter Ⅲ makes a selection of works for converting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e research takes a look at the appropriateness of such a change and selects the principles of converting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working out standards for selecting works for changing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in relation to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such a change. The selected legends include Samseongsinwha, Seolmundaehalmang, Cheonjiwhangbonbuli, Samgongbonpuli, and Sekyeongbonpuli. The researcher makes an analysis of the works on the basis of her standards for selection and the findings of researchers in legends.
      Chapter Ⅳ seeks to con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o begin with, such legends as Samseongsinwha, Seolmundaehalmang, and Cheonjiwhangbonbuli are used to produce orally narrated texts and Samseongsinwha, Seolmundaehalmang, Cheonjiwhangbonbuli, Samgongbonpuli, and Sekyeongbonpuli are used to produce texts for reading and Samgongbonpuli is used to produce a text for a role play.
      The programs are divided into models for Jeju lege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programs by legend and educ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legends.
      The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Jeju legends are divided into things for lower graders, middle graders and high graders.
      Activity programs by legend has a workbook for each legend.
      consisting of a total of 147 contents in 16 areas by dividing them into verbal education and nonverbal education as well as integrative activity.
      The evaluative tools for legend education include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s related to role performance and learners' self-evaluation checklist and friends checklis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learners' meaning.
      The tools for tes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s include questionnaire research, in-depth interview, the teacher's log and the students' works as the results of the classe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 observational log has it that the students were more immersed in the class programs of this research than any other classes.
      Second, the analysis of students' works shows that they constructed creative meanings and that they expressed their inner meanings in a unique way.
      Third, the programs helped the students to form an attitude of enjoying literature.
      Forth, the questionnaire research reveals that they came to take pride and interest in the legends of Jeju area and that they had a good understanding of legends and that they compared their own life with the contents of the legends.
      Fifth,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log shows that the subjects showed a strong power of concentration on literature classes where the legends of the local community were dealt with and that they enjoyed literature class through educational plays and that they felt strong empathy with the characters in the legends.
      All in all, this research on measures to convert jeju legends into teaching materials through educational drama approaches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literature education for learners to enjoy literature in a proper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사 검토 = 2
      • 국문 초록 = ⅰ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사 검토 = 2
      • 3. 연구 방법 = 9
      • 4. 용어의 정의 및 제한점 = 10
      • 가. 용어의 정의 = 10
      • 나. 연구의 제한점 = 11
      • Ⅱ. 설화 교재화를 위한 교육과정 내용 분석 = 12
      • 1. 문학 영역 교육과정 설화 지도 내용 분석 = 12
      • 가. 설화 지도 내용의 변모 양상 = 12
      • 나. 현행 문학 영역 교육과정 설화 지도 내용 분석 = 13
      • 2. 교과서의 설화 단원 분석 = 16
      • 가. 「말하기·듣기」교재의 설화 단원 분석 = 16
      • 나. 「읽기」교재의 설화 단원 분석 = 18
      • 다. 「쓰기」교재의 설화 단원 분석 = 20
      • 라. 구어체로 수록된 전래동화작품 분석 = 21
      • 3. 교사용 지도서의 설화 지도 내용 분석 = 22
      • 가. 수업목표 분석 = 23
      • 나. 지도서에 제시된 교수·학습 절차에 대한 분석 = 29
      • 다. 참고사항에 나타난 지도 내용 분석 = 31
      • 4. 문학 영역 교육과정 설화 지도의 개선 방향 = 36
      • Ⅲ. 제주설화의 교재화 원리 및 작품 선정 = 39
      • 1. 설화의 교재 변용 조건 = 39
      • 가. 문학 교재의 조건 = 39
      • 나. 설화의 교재 변용 조건 = 41
      • 다. 설화의 교재 변용 모형 = 42
      • 2. 제주설화의 교재화 원리 = 44
      • 가. 설화의 교재화 적합성 = 44
      • 나. 제주설화의 교재화 원리 = 50
      • 다. 제주설화의 교재화 방안 = 52
      • 3. 제주설화 작품 선정 = 54
      • 가. 선정 기준 선행 연구 고찰 = 54
      • 나. 설화 교재화 작품 선정 기준 = 56
      • 다. 설화 교재화 작품 선정 = 57
      • Ⅳ. 제주설화의 교재화 실제 = 67
      • 1. 제주설화 텍스트 제작 = 67
      • 가. 구연용 텍스트 제작 = 67
      • 나. 읽기용 텍스트 제작(부록에 첨부) = 73
      • 다. 연극놀이용 텍스트 제작 = 73
      • 2.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 개발 = 79
      • 가. 제주설화 교수·학습 모형 개발 = 80
      • 나. 설화별 활동 프로그램 개발 = 85
      • 다. 제주설화 교육 수행평가 도구 개발 = 110
      • 3. 제주설화 교재화 프로그램의 적용 = 121
      • 가. 교재 재구성을 통한 제주설화 교육 = 121
      • 나. 재량활동 운영을 통한 제주설화 교육 = 149
      • Ⅴ. 제주설화 교재의 적용 결과 분석 = 154
      • 1. 설문지 분석 = 154
      • 가. 수업 전 설문지 조사 결과 분석 = 154
      • 나. 수업 후 설문지 조사 결과 분석 = 155
      • 2. 면담 일지 분석 결과 = 162
      • 3. 교사 일지 분석 결과 = 165
      • 4. 어린이 일기 분석 결과 = 168
      • 5. 어린이 작품 분석 결과 = 169
      • 가. 이미지 표현 활동의 결과 분석 = 169
      • 나. 문자 언어 활동의 결과 분석 = 175
      • Ⅵ. 결론 및 제언 = 180
      • 참고문헌 = 182
      • ABSTRACT = 192
      • 부록 = 1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