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귀향의 실패: 스피겔만의 『쥐』와 김금숙의 『풀』 비교 연구 = Homecoming Thwarted: A Comparative Study of Spiegelman’s Maus and Keum Suk Gendry-Kim’s Gr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0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way Art Spiegelman’s Maus and Keum Suk Gendry-Kim’s Grass deal with historical trauma by means of the comics medium. These two graphic novels depict survival stories during World War II from a Nazi concentration camp to the ‘comfort women’ station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with which this sub-genre of comics gives access to the historical trauma engraved within each protagonist. From its conception the term of graphic novel indicates a vessel for non-fiction. Based on the testimony of historical tragedies, Maus and Grass both encompass a distinctive narrating structure where two discrete temporal plates exist. The two temporal levels in Maus are not unilateral: the current encloses and contracts the past narratives, while the past encroaches on the consciousness of the father and son. In Grass, however, the current adds rich details to the witness's testimony, shedding a light on her entire life. These two graphic novels employ different approaches to tragic events: Maus condenses detailed descriptions into one panel, while using ‘economy of narration’. Gendry-Kim, however, keeps pace with the teller, assigning the panels to the landscape with the touches of black and white. In Grass the artist carefully approaches the victim’s painful memory of sexual assault, stressing the depth of her suffering, not the violence of the perpetrator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drawing strategies of the two works help explicate a different ending from that of traditional survival stories, where a hero comes home from adventures and reconciles with his family and community. The two protagonists come home from the camps, but fail to be fully united with his or her own family. These two graphic novels are credited as historical records. Now this new comics approach has unfolded a unique representation of history.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the way Art Spiegelman’s Maus and Keum Suk Gendry-Kim’s Grass deal with historical trauma by means of the comics medium. These two graphic novels depict survival stories during World War II from a Nazi concentration camp to the ...

      This paper studies the way Art Spiegelman’s Maus and Keum Suk Gendry-Kim’s Grass deal with historical trauma by means of the comics medium. These two graphic novels depict survival stories during World War II from a Nazi concentration camp to the ‘comfort women’ station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with which this sub-genre of comics gives access to the historical trauma engraved within each protagonist. From its conception the term of graphic novel indicates a vessel for non-fiction. Based on the testimony of historical tragedies, Maus and Grass both encompass a distinctive narrating structure where two discrete temporal plates exist. The two temporal levels in Maus are not unilateral: the current encloses and contracts the past narratives, while the past encroaches on the consciousness of the father and son. In Grass, however, the current adds rich details to the witness's testimony, shedding a light on her entire life. These two graphic novels employ different approaches to tragic events: Maus condenses detailed descriptions into one panel, while using ‘economy of narration’. Gendry-Kim, however, keeps pace with the teller, assigning the panels to the landscape with the touches of black and white. In Grass the artist carefully approaches the victim’s painful memory of sexual assault, stressing the depth of her suffering, not the violence of the perpetrator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drawing strategies of the two works help explicate a different ending from that of traditional survival stories, where a hero comes home from adventures and reconciles with his family and community. The two protagonists come home from the camps, but fail to be fully united with his or her own family. These two graphic novels are credited as historical records. Now this new comics approach has unfolded a unique representation of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피겔만의 『쥐』(1992)와 김금숙의 『풀』(2017)은 두 작품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적⋅ 공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비극을 만화로 표현하기 위해 유사한 고민과 탐색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두 작품은 1980년대 미국에서 새롭게 등장한 그래픽 노블 작품으로서 기존 신문 연재만화와 구별되는 내용과 형식을 가지고 만화의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성취한 작품이다. 『쥐』와 『풀』은 수용소에서 살아 돌아온 생존자의 증언을 그린 논픽션이다. 증 언자의 구술과 청자 겸 예술가의 작업이 작품 위에 그대로 재현되며, 두 사람의 만남과 대화 는 과거 기억을 유도한다. 현재 이야기는 과거 기억에 수시로 개입하는 한편, 악몽같은 기억 이 귀환해서 현재 시점에 있는 증언자와 청자의 의식을 지배하기도 한다. 역사적 비극의 희생 자인 두 주인공의 증언은 필연적으로 폭력과 고통을 포함한다. 스피겔만은 그림을 촘촘하게 그리면서 텍스트를 절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김금숙은 반대로 수묵화와 같이 여 백을 넉넉하게 두고 주인공의 증언 속도에 맞추어 느리게 진행한다. 『풀』은 특히, 기존 위 안부 서사와 달리 폭력 장면을 상징적이고 우회적으로 표현해서, 피해자의 고통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였다. 역사적 사건을 만화로 표현하기 위해 두 작품이 취한 독특한 서술 구조와 그림 기법은 기존 생존담과 다른 결말을 가리킨다. 고초를 겪고 집에 돌아온 영웅이 국가와 사회에 행복하게 편입되는 관습적인 줄거리와 달리, 『쥐』와 『풀』의 주인공은 비극의 현 장에서 살아 돌아왔지만 귀향에 실패한다. 『쥐』의 블라덱은 가족을 여의고 불행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풀』의 이옥선은 위안부라는 과거와 수양딸로 팔려갔다는 증언 때문에 가족 의 냉대를 당한다. 역사 자료로서 손색없는 두 작품이 증명하듯이, 이제 그래픽 노블은 역사 재현의 지평을 확장했다.
      번역하기

      스피겔만의 『쥐』(1992)와 김금숙의 『풀』(2017)은 두 작품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적⋅ 공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비극을 만화로 표현하기 위해 유사한 고민과 탐색을 보여 주는 작품...

      스피겔만의 『쥐』(1992)와 김금숙의 『풀』(2017)은 두 작품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적⋅ 공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비극을 만화로 표현하기 위해 유사한 고민과 탐색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두 작품은 1980년대 미국에서 새롭게 등장한 그래픽 노블 작품으로서 기존 신문 연재만화와 구별되는 내용과 형식을 가지고 만화의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성취한 작품이다. 『쥐』와 『풀』은 수용소에서 살아 돌아온 생존자의 증언을 그린 논픽션이다. 증 언자의 구술과 청자 겸 예술가의 작업이 작품 위에 그대로 재현되며, 두 사람의 만남과 대화 는 과거 기억을 유도한다. 현재 이야기는 과거 기억에 수시로 개입하는 한편, 악몽같은 기억 이 귀환해서 현재 시점에 있는 증언자와 청자의 의식을 지배하기도 한다. 역사적 비극의 희생 자인 두 주인공의 증언은 필연적으로 폭력과 고통을 포함한다. 스피겔만은 그림을 촘촘하게 그리면서 텍스트를 절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김금숙은 반대로 수묵화와 같이 여 백을 넉넉하게 두고 주인공의 증언 속도에 맞추어 느리게 진행한다. 『풀』은 특히, 기존 위 안부 서사와 달리 폭력 장면을 상징적이고 우회적으로 표현해서, 피해자의 고통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였다. 역사적 사건을 만화로 표현하기 위해 두 작품이 취한 독특한 서술 구조와 그림 기법은 기존 생존담과 다른 결말을 가리킨다. 고초를 겪고 집에 돌아온 영웅이 국가와 사회에 행복하게 편입되는 관습적인 줄거리와 달리, 『쥐』와 『풀』의 주인공은 비극의 현 장에서 살아 돌아왔지만 귀향에 실패한다. 『쥐』의 블라덱은 가족을 여의고 불행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풀』의 이옥선은 위안부라는 과거와 수양딸로 팔려갔다는 증언 때문에 가족 의 냉대를 당한다. 역사 자료로서 손색없는 두 작품이 증명하듯이, 이제 그래픽 노블은 역사 재현의 지평을 확장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금숙, "풀" 보리 2017

      2 이지은, "증언과 증언 ‘사이’를 청취하기 – 증언의 사회적 의미 획득/부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25-35, 2022

      3 권은선, "증언, 트라우마, 서사–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의 일본군 ‘위안부’ 영화" 영화연구소 12 (12): 7-32, 2019

      4 "주목! 이 사람: 위안부피해자 이야기를 담은 장편만화 『풀』 작가 김금숙"

      5 이지은, "민족국가 바깥에서 등장한 조선인 ‘위안부’와 귀향의 거부/실패-1991년 이전 대중매체의 일본군 ‘위안부’ 재현을 중심으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8) : 367-402, 2020

      6 박세혁, "만화로 증언하는 역사적 진리의 해석학적 관점 -김금숙의 “풀”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3 (23): 119-128, 2020

      7 윤명숙, "만화 『풀』로 살펴보는 일본군‘위안부’" 보리 2017

      8 "김금숙이라는 장르-『풀』 김금숙"

      9 "김금숙 작가와의 만남: 가장 낮은 자리, 단단히 버틴 삶을 위하여"

      10 강응천, "‘위안부’로 보는 작은따옴표의 역사학" 457 : 58-59, 2020

      1 김금숙, "풀" 보리 2017

      2 이지은, "증언과 증언 ‘사이’를 청취하기 – 증언의 사회적 의미 획득/부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25-35, 2022

      3 권은선, "증언, 트라우마, 서사–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의 일본군 ‘위안부’ 영화" 영화연구소 12 (12): 7-32, 2019

      4 "주목! 이 사람: 위안부피해자 이야기를 담은 장편만화 『풀』 작가 김금숙"

      5 이지은, "민족국가 바깥에서 등장한 조선인 ‘위안부’와 귀향의 거부/실패-1991년 이전 대중매체의 일본군 ‘위안부’ 재현을 중심으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8) : 367-402, 2020

      6 박세혁, "만화로 증언하는 역사적 진리의 해석학적 관점 -김금숙의 “풀”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3 (23): 119-128, 2020

      7 윤명숙, "만화 『풀』로 살펴보는 일본군‘위안부’" 보리 2017

      8 "김금숙이라는 장르-『풀』 김금숙"

      9 "김금숙 작가와의 만남: 가장 낮은 자리, 단단히 버틴 삶을 위하여"

      10 강응천, "‘위안부’로 보는 작은따옴표의 역사학" 457 : 58-59, 2020

      11 Chute, Hillary, "‘The Shadow of a Past Time’: History and Graphic Representation in Maus" 52 (52): 199-230, 2006

      12 McCloud, Scott, "Understanding Comics : The Invisible Art" Harper Perennial 1993

      13 Rosen, Alan., "The Language of Survival: English as Metaphor in Art Spiegelman’s Maus" 15 (15): 249-263, 1995

      14 Young, James, "The Holocaust as Vicarious Past: Art Spiegelman’s Maus and the Afterimages of History" 24 (24): 666-699, 1998

      15 Campbell, Joseph,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Princeton UP 1968

      16 Baetens, Jan, "The Graphic Novel : An Introduction" Cambridge UP 2015

      17 Hirsch, Marianne, "The Generation of Postmemory" 29 (29): 103-128, 2008

      18 Spiegelman, Art, "The Complete Maus" Penguin 2003

      19 McGlothlin, Erin, "No Time Like the Present: Narrative and Time in Art Spiegelman’s Maus" 11 (11): 177-198, 2003

      20 Ewert, Jeanne, "Narrative Across Media: The Language of Storytelling" U of Nebraska P 178-193, 2004

      21 Spiegelman, "Interview with Gary Groth" 180 : 52-106, 1995

      22 LaCapra, Dominick, "History and Memory After Auschwitz" Cornell UP 139-179, 1998

      23 Gendry-Kim, Keum Suk, "Grass" Drawn & Quarterly 2019

      24 Budick, Emily, "Forced Confessions: The Case of Art Spiegelman’s Maus" 21 (21): 379-398, 2001

      25 Rifkind, Candida, "Drawn from Memory: Comics Artists and Intergenerational Auto/biography" 38 (38): 399-427, 2008

      26 Park, Hye Su, "Art Spiegelman’s Maus: A Survivor's Tale: A Bibliographic Essay" 29 (29): 146-164, 2011

      27 송미경, "(Auto)Biographies at Risk: Reading Art Spiegelman’s Maus"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7 (27): 107-128,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