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처우개선방안에 대한 운영자와 종사자의 필요도 및 실행도 인식 차이 =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Gap Between Management and LTC Workers in Nursing Homes: The Strategies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6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과 함께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의 처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기요양 분야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나가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처우개선정책의 중요 이해당사자인 운영자와 종사자가 필요로 하는 처우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얼마나 충실히 실행되고 있다고 느끼는지, 처우개선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상호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운영자 206명과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등 직접서비스 종사자 622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진이 UNECE(2012)의 일자리 질 모델에 근거하여 개발한 7개 영역 29가지 처우개선방안에 대하여 필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고 운영자와 종사자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9가지 처우개선방안에 대해 운영자와 종사자 모두에서 높은 필요도를 보였고, 실행도는 전반적으로 필요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동일한 처우개선방안에 대하여 운영자와 종사자가 느끼는 필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처우개선정책의 우선순위와 관련해서는 운영자와 종사자 모두 1순위로 ‘보수 적정화’를 선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보수 적정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필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게 평가된 처우개선방안에 대하여 노인요양시설이 충실히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과 운영자와 종사자 간 필요도 및 실행도 인식의 차이를 상호 이해하고 좁혀나가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과 함께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의 처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기요양 분야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나가기 위한 논의가 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과 함께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의 처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기요양 분야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나가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처우개선정책의 중요 이해당사자인 운영자와 종사자가 필요로 하는 처우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얼마나 충실히 실행되고 있다고 느끼는지, 처우개선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상호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운영자 206명과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등 직접서비스 종사자 622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진이 UNECE(2012)의 일자리 질 모델에 근거하여 개발한 7개 영역 29가지 처우개선방안에 대하여 필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고 운영자와 종사자 간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9가지 처우개선방안에 대해 운영자와 종사자 모두에서 높은 필요도를 보였고, 실행도는 전반적으로 필요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동일한 처우개선방안에 대하여 운영자와 종사자가 느끼는 필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처우개선정책의 우선순위와 관련해서는 운영자와 종사자 모두 1순위로 ‘보수 적정화’를 선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보수 적정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필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게 평가된 처우개선방안에 대하여 노인요양시설이 충실히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과 운영자와 종사자 간 필요도 및 실행도 인식의 차이를 상호 이해하고 좁혀나가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in long-term care(LTC)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elp to understand management and LTC worker’s perceptions of which of workforce strategies they need and how much they(their management) have put them into practice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nagement and LTC worker’s perceptions of the strategies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to compare the two perceptions carefully. 206 operators and 622 LTC workers in institutional care homes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7 dimensions 29 workforce strategies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by e-mail. fax. or interview.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29 strategies were generally much needed in both groups, but then again they have not been carried out fully. And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perception gaps between management and care workers in terms of the necessity and the level of practice of some strategies, while they agreed on ‘wage increases’ as the top priority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a proper remuner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of LTC worker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the workforce policies, that facilitate long-term care institutions’ action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narrow the perception gaps between management and LTC workers.
      번역하기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in long-term care(LTC)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elp to understand management and LTC worker’s perceptions of which of work...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in long-term care(LTC)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elp to understand management and LTC worker’s perceptions of which of workforce strategies they need and how much they(their management) have put them into practice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nagement and LTC worker’s perceptions of the strategies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to compare the two perceptions carefully. 206 operators and 622 LTC workers in institutional care homes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7 dimensions 29 workforce strategies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by e-mail. fax. or interview.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29 strategies were generally much needed in both groups, but then again they have not been carried out fully. And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perception gaps between management and care workers in terms of the necessity and the level of practice of some strategies, while they agreed on ‘wage increases’ as the top priority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a proper remuner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of LTC worker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the workforce policies, that facilitate long-term care institutions’ action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narrow the perception gaps between management and LTC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요약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은하, "장기요양시설 운영개선방안 연구 – 수급자우선시설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서울복지재단 2012

      2 이정석,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임금 및 근로환경 실태조사‒만족도 및 처우개선 의견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책연구원 2014

      3 한국노인복지중앙회 정책연구소, "장기요양기관 운영 및 임금실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중앙회 2012

      4 서동민, "장기요양 종사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및 대책" 국민건강보험공단 & 백석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5 이화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금천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74-298, 2013

      6 오세근,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1 (11): 101-136, 2010

      7 국가인권위원회, "요양보호사 노동 인권 개선 정책권고"

      8 김지혜, "서울시 요양보호사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7 (17): 15-23, 2011

      9 우혜숙, "서울시 요양보호사 처우개선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한국요양보호사협회 2013

      10 남우근, "서울시 요양보호사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연구원 2013

      1 정은하, "장기요양시설 운영개선방안 연구 – 수급자우선시설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서울복지재단 2012

      2 이정석,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임금 및 근로환경 실태조사‒만족도 및 처우개선 의견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책연구원 2014

      3 한국노인복지중앙회 정책연구소, "장기요양기관 운영 및 임금실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중앙회 2012

      4 서동민, "장기요양 종사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및 대책" 국민건강보험공단 & 백석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5 이화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금천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74-298, 2013

      6 오세근,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1 (11): 101-136, 2010

      7 국가인권위원회, "요양보호사 노동 인권 개선 정책권고"

      8 김지혜, "서울시 요양보호사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7 (17): 15-23, 2011

      9 우혜숙, "서울시 요양보호사 처우개선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한국요양보호사협회 2013

      10 남우근, "서울시 요양보호사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연구원 2013

      11 박세경, "사회서비스 돌봄 일자리의 쟁점과 과제" (162) : 32-41, 2010

      12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13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 선진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14 제갈현숙, "노인장기요양보험 1년 평가: 시장화 비판과 제도정착을 위한 과제" 사회공공연구소 2009

      15 이영미,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관련 소진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755-1764, 2013

      16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고용노동부 2014

      17 Benerjee. A., "“Out of control”: violence against personal support workers long-term Care" York University/Carleton University 2008

      18 Estryn-Behar. M., "Violence risks in nursing. results from the European ’next study" 58 : 107-114, 2008

      19 OECD, "The looming crisis in the health workforce: How can countries respond?" OECD Publishing 2008

      20 Fujisawa. R., "The long-term care workforce: overview and strategies to adapt supply to a growing demand" OECD Publishing 2009

      21 OECD, "The long-term care workforce: overview and strategies to adapt supply to a growing demand" 2009

      22 Gleckman. H., "The faces of home care. report from the field" 29 (29): 125-129, 2010

      23 "The 2007 national survey of state initiatives on the direct-care workforce"

      24 Hotta. S., "Shakai Hosho to Keizai (Social Security and Economy). Vol.3" Shakai Sabisu to Chiiki (Social Services and Community). University of Tokyo Press 149-172, 2010

      25 황보옥, "Q방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유형화"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165-190, 2012

      26 Cangiano. A., "Migrant care workers in ageing societies. Report on Research Findings in the United Kingdom. Centre on Migration" Policy and Society (COMPAS). University of Oxford 2009

      27 Rothgang. H., "Long-term care in germany" 6 (6): 54-84, 2007

      28 Koshitani. M., "Influence on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of patients’ violence against caregivers in nursing homes and group homes" 15 (15): 62-73, 2008

      29 OECD, "Help wanted? providing and paying for long-term care" OECD publishing 2011

      30 Schmidt. S., "Gesundheitsrisiko altenpflege. ein projekt zur verbesserung der qualität in altenpflege- einrichtungen" 5 : 2007

      31 PHI, "Facts No. 3. Who are the direct care workers?"

      32 UNECE, "Expert group on measuring quality of employment. statistical framework for measuring quality of employment" 2012

      33 Vermeylen. Greet.,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Quality in work and employment in the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UNECE/ILO/Eurostat Seminar on the Quality of Work 2005

      34 "Employment in social care in europe.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35 Ministry of Health, "Disability Support Services in New Zealand (2004). The Workforce Survey. Final Report" 2004

      36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년도 장기요양급여 평가결과"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37 최희경,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의 노인 돌봄 서비스직에 대한 적용" 사회복지연구소 21 : 27-5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ocial Policy Review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al Policy Review ->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6 1.54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