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0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재무상태표상 부채로 계상되고 있는 퇴직급여부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퇴직급여부채는 종업원의 퇴직 전 근로제공에 대한 대가를 퇴직 이후에 지급하기 위하여 적립한 금액으로서, IFRS의 도입이전에는 매 보고기간 말 현재 모든 종업원의 일시퇴직을 가정한 금액, 즉 청산가치로 측정하였으나 IFRS의 도입이후에는 과거 제공된 근로용역에 대한 대가뿐만 아니라 미래 제공될 근로 용역가치의 상승효과까지도 부채가치 평가에 반영하게 되는, 이른바 예측단위적립방식(PUC)에 따른 보험수리적 현재가치로 측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장부에 계상된 퇴직급여부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바 본 논문에서는 IFRS의 도입이전과 도입이후에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FRS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표본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퇴직급여부채는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관찰되었다. 이는 퇴직급여부채를 제외한 일반적인 부채가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과 비교해 볼 때 퇴직급여부채는 다른 일반적인 부채와는 달리 기업이 보유한 인적자본의 가치를 나타내는 무형자산적 성격이 내재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IFRS의 도입으로 인하여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는가에 대한 분석결과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은 IFRS 도입 이후에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퇴직급여부채의 측정방법 변경으로 기업의 종업원이 미래에 제공할 용역의 가치가 추가
      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간 연구가 없었던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회계기준의 변화로 인한 부채 성격의 변화가 자본시장에서의 기업가치 결정과정에 반영되고 있음을 밝힌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공헌점을 가진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재무상태표상 부채로 계상되고 있는 퇴직급여부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퇴직급여부채는 종업원의 퇴직 전 근로제공에 대한 대가를 퇴직 이후에 지급하...

      본 논문에서는 재무상태표상 부채로 계상되고 있는 퇴직급여부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퇴직급여부채는 종업원의 퇴직 전 근로제공에 대한 대가를 퇴직 이후에 지급하기 위하여 적립한 금액으로서, IFRS의 도입이전에는 매 보고기간 말 현재 모든 종업원의 일시퇴직을 가정한 금액, 즉 청산가치로 측정하였으나 IFRS의 도입이후에는 과거 제공된 근로용역에 대한 대가뿐만 아니라 미래 제공될 근로 용역가치의 상승효과까지도 부채가치 평가에 반영하게 되는, 이른바 예측단위적립방식(PUC)에 따른 보험수리적 현재가치로 측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장부에 계상된 퇴직급여부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바 본 논문에서는 IFRS의 도입이전과 도입이후에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FRS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표본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퇴직급여부채는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관찰되었다. 이는 퇴직급여부채를 제외한 일반적인 부채가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과 비교해 볼 때 퇴직급여부채는 다른 일반적인 부채와는 달리 기업이 보유한 인적자본의 가치를 나타내는 무형자산적 성격이 내재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IFRS의 도입으로 인하여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는가에 대한 분석결과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은 IFRS 도입 이후에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퇴직급여부채의 측정방법 변경으로 기업의 종업원이 미래에 제공할 용역의 가치가 추가
      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간 연구가 없었던 퇴직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회계기준의 변화로 인한 부채 성격의 변화가 자본시장에서의 기업가치 결정과정에 반영되고 있음을 밝힌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공헌점을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vers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is the accumulated amount to pay the retirement benefits after employee’s retirement. Measurement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was based on liquidation value before adoption of IFRS bu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has to be measured as actuarial present value using the projected unit credit method(hereafter PUC) after adoption of IFRS. This measurement change is likely to affect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and its change as a result of IFRS adoption. The result are as follow;
      Firs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is a significant variable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s value. This result suggests tha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have a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assets which indicates the value of human resource differently from other liabilities.
      Second,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increases with adoption of IFRS. This result suggests tha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calculated by PUC(based on the K-IFRS) is likely to hav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value of employee’s future service.
      This study has several differentiated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is almost first paper that covers the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Second, this study provided the empirical evidence tha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calculated by PUC(based on the K-IFRS) have additional value relevance.
      번역하기

      This paper covers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is the accumulated amount to pay the retirement benefits after employee’s retirement. Measurement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was based on liqu...

      This paper covers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Retirement benefits liability is the accumulated amount to pay the retirement benefits after employee’s retirement. Measurement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was based on liquidation value before adoption of IFRS bu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has to be measured as actuarial present value using the projected unit credit method(hereafter PUC) after adoption of IFRS. This measurement change is likely to affect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and its change as a result of IFRS adoption. The result are as follow;
      Firs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is a significant variable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s value. This result suggests tha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have a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assets which indicates the value of human resource differently from other liabilities.
      Second, value relevance of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increases with adoption of IFRS. This result suggests tha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calculated by PUC(based on the K-IFRS) is likely to hav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value of employee’s future service.
      This study has several differentiated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is almost first paper that covers the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Second, this study provided the empirical evidence that retirement benefit liability calculated by PUC(based on the K-IFRS) have additional value relev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실증연구 설계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실증연구 설계
      • Ⅳ. 실증분석 결과
      • V.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래경, "회귀분석" 자유아카데미 2009

      2 류건식, "퇴직연금 회계기준의 국제 비교 및 영향 분석" 보험연구원 20 (20): 75-105, 2009

      3 심상현, "퇴직급여부채 회계처리 관련 회계감사 이슈와 기업의 대응방안" 20-26, 2012

      4 성주호, "예측급여적립방식에 의한 근퇴법상의 연금부채 평가" 보험연구원 17 (17): 3-33, 2006

      5 이봉주, "비상위험준비금의 정보가치에 대한 실증적 연구" 12 (12): 39-65, 2001

      6 나영, "무형자산의 가치관련성에 따른 경제위기 전․후 차이분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8 (28): 271-297, 2010

      7 박상규, "기타포괄이익과 그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 한국국제회계학회 (52) : 213-232, 2013

      8 권기정, "기부금의 가치관련성 분석: 비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51) : 289-306, 2013

      9 성주호, "국제회계기준 퇴직급여부채에 대한 경제변수의 영향력 분석" 한국보험학회 (86) : 113-137, 2010

      10 박형관, "K-IFRS에서의 확정급여채무 평가와 계리적 손익 분석" 한양대학교 2011

      1 성래경, "회귀분석" 자유아카데미 2009

      2 류건식, "퇴직연금 회계기준의 국제 비교 및 영향 분석" 보험연구원 20 (20): 75-105, 2009

      3 심상현, "퇴직급여부채 회계처리 관련 회계감사 이슈와 기업의 대응방안" 20-26, 2012

      4 성주호, "예측급여적립방식에 의한 근퇴법상의 연금부채 평가" 보험연구원 17 (17): 3-33, 2006

      5 이봉주, "비상위험준비금의 정보가치에 대한 실증적 연구" 12 (12): 39-65, 2001

      6 나영, "무형자산의 가치관련성에 따른 경제위기 전․후 차이분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8 (28): 271-297, 2010

      7 박상규, "기타포괄이익과 그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 한국국제회계학회 (52) : 213-232, 2013

      8 권기정, "기부금의 가치관련성 분석: 비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51) : 289-306, 2013

      9 성주호, "국제회계기준 퇴직급여부채에 대한 경제변수의 영향력 분석" 한국보험학회 (86) : 113-137, 2010

      10 박형관, "K-IFRS에서의 확정급여채무 평가와 계리적 손익 분석" 한양대학교 2011

      11 최정호, "IFRS 채택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한국회계학회 38 (38): 391-424, 2013

      12 강선민, "IFRS 조기도입기업과 도입준비기업의 종업원퇴직급여 사례" 한국회계학회 19 (19): 117-147, 2010

      13 고완석, "IFRS 도입에 따른 종업원급여 회계기준 적용 사례: 퇴직급여를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19 (19): 371-412, 2010

      14 Ohlson, J.,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11 (11): 661-687, 1995

      15 Burgstahler, D. C., "Earnings, adaptation, and equity value" 72 : 187-216, 1997

      16 Collins, D. W., "Changes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Book Values over the Past Forty Years" 24 : 39-67,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5 1.49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