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어와 제주방언, 이름의 정치언어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03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many ways which call the vernacular of Jeju island. For example, Jeju dialect, Jejudo dialect, Jeju patois, Tamla language, Jeju language, etc. Recently, the frequency in use of ‘Jeju language’ is on the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pap...

      There are many ways which call the vernacular of Jeju island. For example, Jeju dialect, Jejudo dialect, Jeju patois, Tamla language, Jeju language, etc. Recently, the frequency in use of ‘Jeju language’ is on the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 of names which call vernacular of Jeju island and to analyse the reason of this change. First of all, this paper starts with a critical review of the precedent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of language and dialect and their relations. This review enable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ormal linguistic viewpoint about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dialect. And then, examining the use aspect of the term ‘Jeju language’ and ‘Jeju dialect’, this paper analyses the concept of ‘Jeju language’ and the reason of this usage. This analysis result facilitates, not only our understanding of extralinguistic strained relations between ‘Jeju language’ and ‘Jeju dialect’, but also a good grasp on significance and problem of using the term ‘Jeju language’ which supplants the term ‘Jeju dial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언어와 방언
      • 3. 제주어와 제주방언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언어와 방언
      • 3. 제주어와 제주방언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태린, "?‘국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학회 (48) : 363-394, 2006

      2 정승철,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태학사 2013

      3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년도 제주어보전교육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2

      4 정예영, "프랑스의 지방어 보호와 육성 정책" 프랑스학회 (46) : 401-420, 2008

      5 조태린, "표준어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한말연구학회 (20) : 215-242, 2007

      6 양창용, "타 언어 사례를 통해 본 제주어 활성화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7-21, 2013

      7 차윤정, "지역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 ― 1930년대 표준어 제정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5) : 387-412, 2009

      8 김은희, "지역어 부흥운동의 일한 비교 연구― 오키나와와 제주의 경우 ―" 한국일본학회 (83) : 13-24, 2010

      9 김은희, "지방자치단체의 언어정책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23-138, 2010

      10 김순자,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제주학회 36 : 1-33, 2011

      1 조태린, "?‘국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학회 (48) : 363-394, 2006

      2 정승철,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태학사 2013

      3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년도 제주어보전교육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2

      4 정예영, "프랑스의 지방어 보호와 육성 정책" 프랑스학회 (46) : 401-420, 2008

      5 조태린, "표준어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한말연구학회 (20) : 215-242, 2007

      6 양창용, "타 언어 사례를 통해 본 제주어 활성화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7-21, 2013

      7 차윤정, "지역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 ― 1930년대 표준어 제정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5) : 387-412, 2009

      8 김은희, "지역어 부흥운동의 일한 비교 연구― 오키나와와 제주의 경우 ―" 한국일본학회 (83) : 13-24, 2010

      9 김은희, "지방자치단체의 언어정책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23-138, 2010

      10 김순자,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제주학회 36 : 1-33, 2011

      11 문순덕, "제주어의 문화정책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12 : 291-309, 2008

      12 문순덕, "제주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 방법"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38-51, 2013

      13 문순덕, "제주어, 유네스코 절멸위기의 진단 이후 극복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12

      14 송상조, "제주어 표기법 제정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효과"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4-20, 2012

      15 강영봉, "제주어 표기법 마련과 관련한 몇 문제"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32-38, 2012

      16 제주발전연구원, "제주어 표기법"

      1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어 보전 및 육성 조례"

      18 문순덕, "제주방언의 보전 전략" 영주어문학회 19 : 187-207, 2010

      19 강정희, "제주방언 연구의 생태 언어학적 가치" 제주학회 36 : 53-83, 2011

      20 고영진, "제주도 방언과 그 보존운동 재검토-「제주도방언」에서「제주어」로?" 제주작가회의 33 : 209-234, 2011

      21 문성숙, "제주국제자유도시 외국어 서비스 강화에 따른 국어와 제주방언 보존방안 연구" 제주발전연구원 2002

      22 김세중,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을 위한 제주어 육성 정책의 진단과 향후 과제" 제주학회 36 : 35-52, 2011

      23 강영봉, "제주 사회 통합과 제주어" 탐라문화연구소 (43) : 39-65, 2013

      24 하응천, "제주 방언의 위기 극복 방안" 한국언어연구학회 9 (9): 87-94, 2004

      25 제주특별자치도, "제2차 제주어 발전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12

      26 강영봉, "우리 시대 제주어의 가치" 강창일 국회의원 9-29, 2007

      27 차윤정, "언어에 대한 시선과 로컬어 육성 전략― 제주어와 브르타뉴어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8) : 145-180, 2012

      28 차윤정, "언어권리와 로컬의 주체형성―제주로컬어 부흥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3-30, 2011

      29 박경훈, "소멸위기의 제주어, 왜 국가 어젠다가 되어야 하는가"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22-37, 2013

      30 강정희, "소멸위기의 제주방언 보전을 위한 방언 활성화 방안" 영주어문학회 23 : 185-205, 2012

      31 양창용, "소멸위기 언어 보존 사례 분석을 통한 제주어(제주방언) 보전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13

      32 정승철, "방언 표기법의 이상과 현실-제주방언을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15 : 33-51, 2008

      33 오창명, "국제화시대에 있어서 제주 토착어의 적극적 활용" 영주어문학회 10 : 5-28, 2005

      34 조태린, "계급언어, 지역언어로서의 표준어" 생각의 나무 26 : 74-87, 2004

      35 고재환, "‘제주어 표기법’의 제정 절차"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 21-31, 2012

      36 Haugen, E, "Sociolinguistics: Selected Readings" Penguin 1972

      37 Calvet, L.-J, "Linguistique et colonialisme : Petit traité de glottophagie" Payot 1974

      38 Saussure, F. de,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yot 1916

      39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1학년도 제주어교육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