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 ≪기려수필≫의 정본 확정 -. ≪기려수필≫의 번역 및 주석 -. ≪기려수필≫에 관한 학술 연구 ≪기려수필≫의 정본화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1949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 ≪기려수필≫의 정본 확정 -. ≪기려수필≫의 번역 및 주석 -. ≪기려수필≫에 관한 학술 연구 ≪기려수필≫의 정본화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 ≪기려수필≫의 정본 확정
-. ≪기려수필≫의 번역 및 주석
-. ≪기려수필≫에 관한 학술 연구
≪기려수필≫의 정본화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기려수필≫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그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1955년 간행된 국사편찬위원회 활자본은 원본 ≪기려수필≫을 연대순으로 재편집한 것이다. 원본에 2회 이상 기록되어 있는 인물의 경우에는 인명 밑에 (一) (二) (三) (四) (五) (未) 등으로 원본의 책 수를 표시하였다. 그러면서 두 번 혹은 세 번 등장하는 인물의 전기는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기사 하나만을 선택하여 수록하였다. 이는 원본 자체가 전체적으로 완전히 정리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송상도가 채록, 또는 창작한 내용을 완전히 수용하지 못하였다. 송상도는 횟수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수집한 인물 정보를 바탕으로 최대한 자세한 기록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국사편찬위원회의 ≪기려수필≫은 취사선택이 있었기 때문에 송상도의 노력을 온전히 담지 못하였다.
취사선택의 기준이 모호하다. 각 기사의 내용이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상호 보완해 주는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기사만 선택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 제공의 가능성을 차단하였다.
오자(誤字)가 많고 구두점에도 오류가 있다. 고증과 교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신뢰할 만한 텍스트를 완성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계속해서 부정확한 내용을 인용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기려수필≫의 판본 자료를 확보할 것이다. 현재 확보하거나 파악한 자료로는 국사편찬위원회 간행본, 독립기념관소장본, 한국국학진흥원소장본 등이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자료는 총216건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으나 독립기념관본은 총230건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어서 분량이 다르다. 다른 자료들을 더 확보하면 기사의 총량은 더 달라질 수 있다.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본을 완성하고자 한다.
독립기념관 소장본을 기본 텍스트로 삼는다.
수록된 기사 내용을 검토하여 누락된 인물기사를 보충한다.
구두점을 확정한다.
수록 인물의 생년(生年)을 기준하여 시대순으로 나열한다.
독립기념과 소장본에 수록되지 않은 기사를 발견할 경우 이를 보충한다.
번역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진행한다.
-. 충실성 : 번역문의 품질 제고
번역의 생명은 원문의 내용을 충실하게 표현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원문의 글자 하나하나를 축자(逐字)적으로 번역해야 한다. 그리고 한문이 가지는 문체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한문은 과감한 생략을 통한 함축적 표현을 지향한다. 따라서 자간(字間), 행간(行間)에 숨어있는 함축적 의미를 찾아 주지 않는다면 독자의 이해를 담보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원문을 축자적으로 번역하여 탈역(脫譯)이 없도록 할 것이며, 독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생략된 문장성분과 의미를 되살려 번역문에 반영할 것이다.
-. 전문성 : 철저한 고증과 자료분석을 통한 주석
≪기려수필≫은 사료적 가치가 큰 텍스트이면서 당대의 제도와 일제시대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다양하게 표출되어 있다. 외세의 침입과 항일 의병항쟁의 내용들에는 외래어․외국인명․고유지명 등과 일제에 의해 강행된 단발령 및 다양한 문화적 강압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시대배경에 대한 충분한 전문 지식이 요구된다. 본 번역은 독립운동사 연구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 성과와 보조 자료 활용을 통해 제반 내용을 철저히 고증하여 독자가 신뢰할 수 있는 번역문을 생산하고자 한다.
-. 대중성 : 번역결과물의 공유를 통한 대중적 확산
번역사업의 결과물이 단순히 ‘번역’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번역 결과물을 일반 대중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올바른 역사관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예상되는 학술연구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년차 : ≪기려수필≫의 사료적 가치 재조명
-. 騎驢隨筆의 編纂과 史料的 價値
-. 宋相燾의 행적과『騎驢隨筆』
-. 기려수필의 공정성과 인용 자료의 범위
2년차 : ≪기려수필≫의 문학적 가치 재조명
-. 騎驢隨筆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
-. 騎驢隨筆 所載 漢詩의 憂國과 抵抗意識 硏究
-. 기려수필의 인물 비평과 그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