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진기법으로 표현한 음악회 팜플렛 = (A) CONCERT PHAMPHLET REPRESENTED BY THE PHOTOGRAPHICAL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569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8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8 판사항(3)

      • DDC

        741.67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37p. : 도판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37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문명의 발달로 날로 복잡해지는 우리의 현실속에서 우리는 우리들 정신세계의 카타르시스의 한 방법의 도구로서 '음악'과 '미술'의 생활화를 강조하였다. '음악'과 '미술'이 예술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속에서 서로를 닮아갈 때, 서로가 서로의 예술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음악의 좋은 소재로서의 미술, 미술의 좋은 소재로서의 음악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주제인 '사진기법으로 표현한 음악회 팜플렛'은 사진을 미술로서 보아 사진 그 자체를 미술과의 결합이라는 이론에 바탕을 두고 연구하였다.
      논자는 더 이상 '음악회 팜플렛'이 단순히 종이에 인쇄되어진 인쇄물이 아니라 음악인들이 그들의 심오한 음악세계와 이미지를 그들의 청중이 되기 이전의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시각적 측면을 바탕으로한 예술적 차원에서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제작에 임하고자 한다.
      '음악회 팜플렛' 제작방법으로 사진기법을 선택하였는데, '일러스트레이션' 기법보다는 사진기법의 표현이 지시적인 기능에서 더욱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또한 여러가지 사진이 갖고있는 기능적 본질을 이용하여 예술적 사진의 차원에서 이 '음악회 팜플렛' 제작에 임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사진의 본질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더욱 깊이 연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현대문명의 발달로 날로 복잡해지는 우리의 현실속에서 우리는 우리들 정신세계의 카타르시스의 한 방법의 도구로서 '음악'과 '미술'의 생활화를 강조하였다. '음악'과 '미술'이 예술이라는 ...

      현대문명의 발달로 날로 복잡해지는 우리의 현실속에서 우리는 우리들 정신세계의 카타르시스의 한 방법의 도구로서 '음악'과 '미술'의 생활화를 강조하였다. '음악'과 '미술'이 예술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속에서 서로를 닮아갈 때, 서로가 서로의 예술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음악의 좋은 소재로서의 미술, 미술의 좋은 소재로서의 음악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주제인 '사진기법으로 표현한 음악회 팜플렛'은 사진을 미술로서 보아 사진 그 자체를 미술과의 결합이라는 이론에 바탕을 두고 연구하였다.
      논자는 더 이상 '음악회 팜플렛'이 단순히 종이에 인쇄되어진 인쇄물이 아니라 음악인들이 그들의 심오한 음악세계와 이미지를 그들의 청중이 되기 이전의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시각적 측면을 바탕으로한 예술적 차원에서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제작에 임하고자 한다.
      '음악회 팜플렛' 제작방법으로 사진기법을 선택하였는데, '일러스트레이션' 기법보다는 사진기법의 표현이 지시적인 기능에서 더욱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또한 여러가지 사진이 갖고있는 기능적 본질을 이용하여 예술적 사진의 차원에서 이 '음악회 팜플렛' 제작에 임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사진의 본질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더욱 깊이 연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mphasize that our lives should be made together with the music and art as tool of the method of catalysis in our mental world as we are now living in the current situations complicated day after da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oday's civilization.
      The music and the fine art resembled each other in a huge boundary of arts which can be realized by expending the territory of arts, respeetively. The fine art as a good material of music and the music as another good material of fine art can easily be found in our daily lives if we pay closely more attention to it a little bit.
      A Concert Phamphlet represented by the photographical technique chosen as main subject of thesis, is a combination of the photograph and the fine art as the photograph itself is treated as the fine art, and I have studied it based on the theory so called the everlasting foundation of the fine art.
      Therefore, the presentation of Concert Phamphlet is not only a publication printed simply on the paper but also my good intention to show the artistical difference for the visual aspects to transmit the deep musical world and the significant image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audience.
      The reason I intentionally selected and used the photographical technique as a way of making a Concert Phamphlet, is due to my poor knowledge of drawing and painting which was totally not my field, and I thought the representation of photographical technique was favorable as compared with the Illustration Technique in terms of the instructive function. On top of it, I have decided to make this concert phamphlet in view of the artistical photographical difference by utilizing the functional substance.
      In conclusion, I am going to study and research the logical background of the true nature of photograph and its function.
      번역하기

      We emphasize that our lives should be made together with the music and art as tool of the method of catalysis in our mental world as we are now living in the current situations complicated day after da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oday's civilization...

      We emphasize that our lives should be made together with the music and art as tool of the method of catalysis in our mental world as we are now living in the current situations complicated day after da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oday's civilization.
      The music and the fine art resembled each other in a huge boundary of arts which can be realized by expending the territory of arts, respeetively. The fine art as a good material of music and the music as another good material of fine art can easily be found in our daily lives if we pay closely more attention to it a little bit.
      A Concert Phamphlet represented by the photographical technique chosen as main subject of thesis, is a combination of the photograph and the fine art as the photograph itself is treated as the fine art, and I have studied it based on the theory so called the everlasting foundation of the fine art.
      Therefore, the presentation of Concert Phamphlet is not only a publication printed simply on the paper but also my good intention to show the artistical difference for the visual aspects to transmit the deep musical world and the significant image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audience.
      The reason I intentionally selected and used the photographical technique as a way of making a Concert Phamphlet, is due to my poor knowledge of drawing and painting which was totally not my field, and I thought the representation of photographical technique was favorable as compared with the Illustration Technique in terms of the instructive function. On top of it, I have decided to make this concert phamphlet in view of the artistical photographical difference by utilizing the functional substance.
      In conclusion, I am going to study and research the logical background of the true nature of photograph and its fun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ⅵ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ⅵ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Ⅱ. 이론적 배 경 = 4
      • A. 음악과 미술의 연관성 = 4
      • B. 미술로서의 사진 = 5
      • 1. 사진의 본질 = 5
      • 2. 미술과 사진의 연관성 = 7
      • 3. 예술적 사진 = 22
      • C. 우리나라 음악회 팜플렛의 사례현황 = 25
      •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26
      • A. 작품제작 의도 = 26
      • B. 제작과정 = 26
      • C. 작품분석 = 28
      • Ⅳ. 결론 = 36
      • 참고문헌 = 37
      • ABSTRACT = 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