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pointed on <Banjohwajenga(반조화전가)> <Gisuga(기수가)> two gasa series, and looked into the aspects of ridicule and laughter and an end of dispute. On the ground of the result we demonstrated the esthetic characterist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This thesis pointed on <Banjohwajenga(반조화전가)> <Gisuga(기수가)> two gasa series, and looked into the aspects of ridicule and laughter and an end of dispute. On the ground of the result we demonstrated the esthetic characteristi...
This thesis pointed on <Banjohwajenga(반조화전가)> <Gisuga(기수가)> two gasa series, and looked into the aspects of ridicule and laughter and an end of dispute. On the ground of the result we demonstrate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wo gasa series according to concept of humor and satire. Two gasa series created against the disputant circumstances between men group and women group(<Banjohwajenga>) or within women groups(<Gisuga>), and attack to partner group expressed on works as a ridiculous speech take with laughter. But come to an end of dispute make peace with each other by reconcile within disputant groups or reconcile of outside disputant groups. We can confirm on works that the base of reconcile already planed in consciousness of disputant groups. Also <Banjohwajenga> series created between men group and women group are stronger than <Gisuga> series created within women groups from a strength of dispute. On the ground of this result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wo gasa series can conceptualized the variation of humor and satire. The disputant group recovered their pride and secured the unity with partner group by variation of humor and satire. And We can guess that this disputant groups recognized the disputant process as a play.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전가로서의 <반조화전가>,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2002
2 "호모 루덴스" 까치 1999
3 "해학의 미적 범주" 사상계 1958
4 "한국현대소설의 풍자" 삼지원 1992
5 "한국 현대 골계소설 연구" 문학예술사 1985
6 "풍자의 개념에 대한 몇 가지 문제" 6 : 1995
7 "역대가사문학전집" 동서문화원 1987
8 "반/조 화전가 계열 가사에 대한 고찰-남녀의 性역할에 대한 차별적 인식에 주목하여" 서울대 국문학연구회 3 : 1999
9 "미학강의 1" 19751989
10 "문답형 규방가사의 창작환경과 지향" 1995
1 "화전가로서의 <반조화전가>,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2002
2 "호모 루덴스" 까치 1999
3 "해학의 미적 범주" 사상계 1958
4 "한국현대소설의 풍자" 삼지원 1992
5 "한국 현대 골계소설 연구" 문학예술사 1985
6 "풍자의 개념에 대한 몇 가지 문제" 6 : 1995
7 "역대가사문학전집" 동서문화원 1987
8 "반/조 화전가 계열 가사에 대한 고찰-남녀의 性역할에 대한 차별적 인식에 주목하여" 서울대 국문학연구회 3 : 1999
9 "미학강의 1" 19751989
10 "문답형 규방가사의 창작환경과 지향" 1995
11 "내방가사 연구 봉화지역의 자료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논 총" 1971
12 "남성 작가의 화전가에 관한 일고찰-여성과의 의사소통 욕구에 주목하여" 7 :
13 "규방가사의 문화적 의미와 교육적 가치 1-화전가를 중심으로" 14 : 2002
14 "규방가사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5 "과 <반조화전가>에 대하여 계명대 한국학연구소" 1970
16 "19세기 화답형 규방가사의 창작과정과 그 의의" 문학과 언어 학회 21집 : 1999
해방기 삶의 탐색 태도와 그 의미 ― 허준의「잔등(殘燈)」론 ―
辭說時調 연구의 新 地坪 : 조선후기 野談과의 대화적 양상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8 | 1.285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