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업재해 및 공공 데이터의 다면분석을 통한 기계식 주차장 안전관리 향상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Safety Management of Mechanical Parking Garages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and Public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3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족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복잡하고 대형화된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해체, 관리, 유지·보수 업무를 하는 관련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이 재해발생의 원인인 산업재해 중 사망사고 비율은 전체의 20%로, 재해의 강도가 높아, 선제적인 재해예방활동이 요구된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비용과 인력을 고려했을 때, 재해예방 활동을 실시할 효과적인 대상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통계 데이터와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공공 데이터를 다면 분석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상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재해예방활동을 위한 공공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재해조사표를 기반으로 작성된 산업재해 통계데이터를 이용해, 요인별로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빈도와 추세를 확인하고,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산업재해 통계데이터는 각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특징을 파악하기에 좋으나, 해당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특징을 파악할 수 없고, 사고 발생 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기계식 주차장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기타의 사업 근로자와 기계식 주차설비의 특징을 반영한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업재해 통계데이터 및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공공 데이터, 기계식 주차장치 관리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다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차설비의 연식에 따라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업종이 달라져,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업종, 발생형태, 기계식 주차장의 연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계식 주차장의 연식을 3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기계식 주차설비 연식별 구체적인 안전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빅 데이터 시대에 활용도 높은 데이터의 확보는 곧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이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재해예방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공공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려면, 담당자 개개인이 교차검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기관 간 업무 협조체계 및 기관 간 데이터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 정보를 편하게 활용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구체적인 정보공개에 범위 설정 및 개인정보 또는 기업의 실적정보 유출 등 데이터 개방에 따른 부담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안기술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부족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복잡하고 대형화된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해체, 관리, 유지·보수 업무를 하는 관련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함�...

      부족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복잡하고 대형화된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해체, 관리, 유지·보수 업무를 하는 관련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계식 주차장이 재해발생의 원인인 산업재해 중 사망사고 비율은 전체의 20%로, 재해의 강도가 높아, 선제적인 재해예방활동이 요구된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비용과 인력을 고려했을 때, 재해예방 활동을 실시할 효과적인 대상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통계 데이터와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공공 데이터를 다면 분석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상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재해예방활동을 위한 공공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재해조사표를 기반으로 작성된 산업재해 통계데이터를 이용해, 요인별로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빈도와 추세를 확인하고,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산업재해 통계데이터는 각 업종의 산업재해 발생 특징을 파악하기에 좋으나, 해당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특징을 파악할 수 없고, 사고 발생 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기계식 주차장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기타의 사업 근로자와 기계식 주차설비의 특징을 반영한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산업재해 통계데이터 및 기계식 주차장에 대한 공공 데이터, 기계식 주차장치 관리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다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차설비의 연식에 따라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업종이 달라져,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업종, 발생형태, 기계식 주차장의 연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계식 주차장의 연식을 3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기계식 주차설비 연식별 구체적인 안전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빅 데이터 시대에 활용도 높은 데이터의 확보는 곧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이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재해예방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공공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려면, 담당자 개개인이 교차검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기관 간 업무 협조체계 및 기관 간 데이터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 정보를 편하게 활용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구체적인 정보공개에 범위 설정 및 개인정보 또는 기업의 실적정보 유출 등 데이터 개방에 따른 부담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안기술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nstallation of complex and large-sized mechanical parking garages increases to solve the insufficient parking problems,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in related industries that perform installation, dismantl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mechanical parking garage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fatality rate among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mechanical parking garage is 20% of the total, and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is high, so preemptive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cost and manpower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set an effective target for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is study tried to set specific target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by analyzing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al data and public data on mechanical parking garage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using public data for effective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e statistical data on occupational accidents prepared based on the occupational accident survey tabl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causes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confirming the frequency and trend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factor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tatistical data of industrial accidents was good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each industry,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engaged in the relevant work and not possible to secu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occurring facilities.

      In order to suggest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nd other business workers engaged in mechanical parking related work, statistical data on industrial accidents, public data on mechanical parking garages, and survey results on mechanical parking garage managers are to be analyzed in an integrative way: A multi-faceted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by simultaneously analyzing each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industry in which industrial accidents occur, the type of occurrence, and the age of the mechanical parking garage, as the types of industries in which accidents occur var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king facilities. Based on this, a specific safety management plan for each type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y was derived by dividing the age of the mechanical parking garage into three sections.
      In the era of big data, securing highly useful data is the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and companie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public data when establishing data hubs and making decisions o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each person in charge must be aware of the need for cross-valid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nter-agency work cooperation system and inter-agency data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and reflected in policies. In addition, policy support and data security technologies are need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data disclosure, such as setting the scope for specific information disclosure and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or company performance information.
      번역하기

      As the installation of complex and large-sized mechanical parking garages increases to solve the insufficient parking problems,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in related industries that perform installation, dismantl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

      As the installation of complex and large-sized mechanical parking garages increases to solve the insufficient parking problems,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in related industries that perform installation, dismantl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mechanical parking garage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fatality rate among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mechanical parking garage is 20% of the total, and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is high, so preemptive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cost and manpower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set an effective target for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is study tried to set specific target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by analyzing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al data and public data on mechanical parking garage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using public data for effective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The statistical data on occupational accidents prepared based on the occupational accident survey tabl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causes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confirming the frequency and trend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factor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tatistical data of industrial accidents was good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each industry,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engaged in the relevant work and not possible to secu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accident occurring facilities.

      In order to suggest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nd other business workers engaged in mechanical parking related work, statistical data on industrial accidents, public data on mechanical parking garages, and survey results on mechanical parking garage managers are to be analyzed in an integrative way: A multi-faceted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by simultaneously analyzing each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industry in which industrial accidents occur, the type of occurrence, and the age of the mechanical parking garage, as the types of industries in which accidents occur var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king facilities. Based on this, a specific safety management plan for each type of mechanical parking facility was derived by dividing the age of the mechanical parking garage into three sections.
      In the era of big data, securing highly useful data is the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and companie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public data when establishing data hubs and making decisions o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each person in charge must be aware of the need for cross-valid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nter-agency work cooperation system and inter-agency data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and reflected in policies. In addition, policy support and data security technologies are need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data disclosure, such as setting the scope for specific information disclosure and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or company performance in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 림 목 차 ⅲ
      • 표 목 차 ⅳ
      • 국 문 초 록 ⅵ
      • 그 림 목 차 ⅲ
      • 표 목 차 ⅳ
      • 국 문 초 록 ⅵ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 목적 및 내용 2
      • 제2장 이론적 고찰 5
      • 2.1 기계식 주차장의 정의 및 관련 법령 5
      • 2.1.1 기계식 주차장의 정의 5
      • 2.1.2 주차장법 5
      • 2.1.3 기계식 주차장치의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등에 관한 규정 7
      • 2.2 기계식 주차장의 종류 7
      • 2.3 선행연구 고찰 10
      • 2.4 기계식 주차장 사고사례 13
      • 2.5 기계식 주차장 설치현황 15
      • 2.5.1 기계식 주차장 누적 설치현황 15
      • 2.5.2 기계식 주차장 신규 설치현황 19
      • 2.6 공공 데이터의 정의 25
      • 2.7 통계 이론 27
      • 제3장 산업재해 통계데이터 분석 28
      • 3.1 기계식 주차장과 관련된 산업재해 통계데이터 분석 28
      • 3.1.1 데이터 선정 및 분석방법 28
      • 3.1.2 지역별 재해현황 30
      • 3.1.3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35
      • 3.1.4 업종별 재해현황 36
      • 3.1.5 연령별 재해현황 40
      • 3.1.6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5
      • 3.2 기계식 주차장치 관리인 설문조사 49
      • 3.2.1 설문표본 선정 및 설문조사 방법 49
      • 3.2.2 설문조사 결과분석 50
      • 3.3 산업재해 통계데이터 분석 결과 및 토의 52
      • 제4장 공공 데이터의 수집 및 다면분석 56
      • 4.1 분석 데이터소스의 선정 56
      • 4.2 산업재해 통계데이터와 사고설비 데이터 다면분석 58
      • 4.2.1 산업재해 발생 업종과 사고설비 형식 다면분석 58
      • 4.2.2 산업재해 발생 업종과 사고설비 연식 다면분석 59
      • 4.2.3 사고설비 연식과 형식 다면분석 63
      • 4.3 다면분석 결과 및 토의 65
      • 제5장 결론 67
      • 5.1 기계식 주차장 안전관리 향상 방안 67
      • 5.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공공 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68
      • 참 고 문 헌 70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