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야코비의 멘델스존 비판과 인격 신의 문제-스피노자 논쟁의 두 번째 국면을 중심으로- = Jacobi’s Critique on Mendelssohn and Problem of the Personal God in the second phase of the Debate on Spinoz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1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bate on Spinoza, which had a strong influence throughout the period of classical German philosophy, developed into three phases: Jacobi’s dialogue with Lessing, correspondence with Mendelssohn, and subsequent debates among his contemporaries. This article highlights Jacobi’s critique of the issues raised by Mendelssohn in the second phase of the debate.
      First, Mendelssohn argues that since Spinoza’s unique substance has thoughts (Gedanken) as one of its main properties, it must also have individual thoughts and intelligence. However, in Jacobi’s view, Mendelssohn did not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substance and attributes as natura naturans and modes as natura naturata, so he overlooks the aspect that the Infinite of Spinoza does not have intellect, will, and individual thoughts. And for this reason Mendelssohn understands Spinoza’s freedom as a intentional choice according to the necessary intellect of the Infinite. However, according to Jacob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inite substance of Spinoza, which possesses no intellect or will, with its attributes, and modes can be explained as a necessary series of causa efficiens, in which the genuine freedom such as Salto mortale transcending the chain of necessary knowledge is impossible. Finally, Mendelssohn’s plea that Lessing was a purified Spinozist who acknowledged a god outside the world, so that it was harmless to existent religions and morals, misunderstood Lessing’s true philosophical attitude, which recognized both revelation- and reason-religion while criticizing its dogmatic aspects.
      In addition, Jacobi acknowledges Spinoza’s contribution to show that there are unexplainables at the peak of rational science, and emphasizes that only human beings who act freely according to the le sentiment de l’être, which can be captured in Spinoza’s substance, is able to meet the personal god.
      번역하기

      The Debate on Spinoza, which had a strong influence throughout the period of classical German philosophy, developed into three phases: Jacobi’s dialogue with Lessing, correspondence with Mendelssohn, and subsequent debates among his contemporaries. ...

      The Debate on Spinoza, which had a strong influence throughout the period of classical German philosophy, developed into three phases: Jacobi’s dialogue with Lessing, correspondence with Mendelssohn, and subsequent debates among his contemporaries. This article highlights Jacobi’s critique of the issues raised by Mendelssohn in the second phase of the debate.
      First, Mendelssohn argues that since Spinoza’s unique substance has thoughts (Gedanken) as one of its main properties, it must also have individual thoughts and intelligence. However, in Jacobi’s view, Mendelssohn did not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substance and attributes as natura naturans and modes as natura naturata, so he overlooks the aspect that the Infinite of Spinoza does not have intellect, will, and individual thoughts. And for this reason Mendelssohn understands Spinoza’s freedom as a intentional choice according to the necessary intellect of the Infinite. However, according to Jacob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inite substance of Spinoza, which possesses no intellect or will, with its attributes, and modes can be explained as a necessary series of causa efficiens, in which the genuine freedom such as Salto mortale transcending the chain of necessary knowledge is impossible. Finally, Mendelssohn’s plea that Lessing was a purified Spinozist who acknowledged a god outside the world, so that it was harmless to existent religions and morals, misunderstood Lessing’s true philosophical attitude, which recognized both revelation- and reason-religion while criticizing its dogmatic aspects.
      In addition, Jacobi acknowledges Spinoza’s contribution to show that there are unexplainables at the peak of rational science, and emphasizes that only human beings who act freely according to the le sentiment de l’être, which can be captured in Spinoza’s substance, is able to meet the personal g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고전철학 시기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던 스피노자 논쟁은 야코비의 레싱과의 대화, 멘델스존과의 서신 교류, 동시대인들의 후속 논쟁의 세 국면으로 전개되었다. 이 글은 그 논쟁의 두번째 국면에서 멘델스존이 제기한 쟁점에 대한 야코비의 비판을집중 조명한다.
      먼저 멘델스존은 스피노자의 유일 실체가 그 주요 속성들 중 하나로 사고들(Gedanken)을 지니기에, 개별 사고들이나 지성도 지닐수밖에 없다고 항변한다. 그러나 야코비가 보기에 멘델스존은 스피노자의 능산적 자연으로서의 실체와 그 속성 그리고 소산적 자연으로서의 양태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했기에 스피노자의 무한자가 지성과 의지 및 개별 사고들을 지니지 않는 측면을 간과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멘델스존은 스피노자의 자유를 무한자의 필연적지성에 따른 의도를 지닌 선택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야코비에 따르면 어떠한 지성이나 의지도 지니지 않는 스피노자의 무한 실체와 그 속성들 그리고 양태들의 관계는 작용인의 필연적 계열로서만 설명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필연적 인식의 사슬을 단적으로 넘어서는 공중제비와 같은 진정한 의미의 자유가 불가능하다. 끝으로 레싱이 세계 외부의 신을 인정하는 정화된 스피노자주의자였기에 기존 종교와 도덕에 무해한 입장이었다는 멘델스존의 항변은계시종교와 이성종교 모두를 인정하면서도 그 독단적 측면을 비판하고자 했던 레싱의 참된 철학적 태도를 오해한 것이다.
      아울러 야코비는 이성적 학문의 정점에서 설명 불가능한 것이있다는 점을 보여준 측면에서 스피노자의 공로를 인정하며 스피노자의 실체에서도 포착될 수 있는 존재감에 따라 진정 자유롭게 행위하는 인간이야말로 인격 신과 만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번역하기

      독일 고전철학 시기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던 스피노자 논쟁은 야코비의 레싱과의 대화, 멘델스존과의 서신 교류, 동시대인들의 후속 논쟁의 세 국면으로 전개되었다. 이 글은 그 논쟁...

      독일 고전철학 시기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던 스피노자 논쟁은 야코비의 레싱과의 대화, 멘델스존과의 서신 교류, 동시대인들의 후속 논쟁의 세 국면으로 전개되었다. 이 글은 그 논쟁의 두번째 국면에서 멘델스존이 제기한 쟁점에 대한 야코비의 비판을집중 조명한다.
      먼저 멘델스존은 스피노자의 유일 실체가 그 주요 속성들 중 하나로 사고들(Gedanken)을 지니기에, 개별 사고들이나 지성도 지닐수밖에 없다고 항변한다. 그러나 야코비가 보기에 멘델스존은 스피노자의 능산적 자연으로서의 실체와 그 속성 그리고 소산적 자연으로서의 양태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했기에 스피노자의 무한자가 지성과 의지 및 개별 사고들을 지니지 않는 측면을 간과한다.
      그리고 이 때문에 멘델스존은 스피노자의 자유를 무한자의 필연적지성에 따른 의도를 지닌 선택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야코비에 따르면 어떠한 지성이나 의지도 지니지 않는 스피노자의 무한 실체와 그 속성들 그리고 양태들의 관계는 작용인의 필연적 계열로서만 설명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필연적 인식의 사슬을 단적으로 넘어서는 공중제비와 같은 진정한 의미의 자유가 불가능하다. 끝으로 레싱이 세계 외부의 신을 인정하는 정화된 스피노자주의자였기에 기존 종교와 도덕에 무해한 입장이었다는 멘델스존의 항변은계시종교와 이성종교 모두를 인정하면서도 그 독단적 측면을 비판하고자 했던 레싱의 참된 철학적 태도를 오해한 것이다.
      아울러 야코비는 이성적 학문의 정점에서 설명 불가능한 것이있다는 점을 보여준 측면에서 스피노자의 공로를 인정하며 스피노자의 실체에서도 포착될 수 있는 존재감에 따라 진정 자유롭게 행위하는 인간이야말로 인격 신과 만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기호, "헤겔 『논리의 학』에서의 개념의 개념" 한국헤겔학회 (31) : 125-151, 2012

      2 김희근, "하인리히 하이네의 전통 개념 -하이네의 모세스 멘델스존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회 44 (44): 49-68, 2003

      3 남기호,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한국헤겔학회 (28) : 351-384, 2010

      4 김은주, "지성교정론" 길 117-166, 2020

      5 박승찬, "인격개념의 근원과 발전에 대한 탐구 -토마스 아퀴나스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철학회 (13) : 227-274, 2007

      6 남기호, "야코비의 칸트 비판과 인간의 자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6 (26): 107-161, 2015

      7 이근세, "야코비의 사유구조와 스피노자의 영향" 대한철학회 127 : 109-134, 2013

      8 최신한, "야코비와 스피노자 논쟁" 대한철학회 129 : 315-339, 2014

      9 미리엄 레너드, "소크라테스와 유대인" 생각과 사람들 2014

      10 임성훈, "모세스 멘델스존의 미학“용인능력(Billigungsvermögen)” 개념과 칸트 미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1 (81): 199-222, 2015

      1 남기호, "헤겔 『논리의 학』에서의 개념의 개념" 한국헤겔학회 (31) : 125-151, 2012

      2 김희근, "하인리히 하이네의 전통 개념 -하이네의 모세스 멘델스존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회 44 (44): 49-68, 2003

      3 남기호,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한국헤겔학회 (28) : 351-384, 2010

      4 김은주, "지성교정론" 길 117-166, 2020

      5 박승찬, "인격개념의 근원과 발전에 대한 탐구 -토마스 아퀴나스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철학회 (13) : 227-274, 2007

      6 남기호, "야코비의 칸트 비판과 인간의 자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6 (26): 107-161, 2015

      7 이근세, "야코비의 사유구조와 스피노자의 영향" 대한철학회 127 : 109-134, 2013

      8 최신한, "야코비와 스피노자 논쟁" 대한철학회 129 : 315-339, 2014

      9 미리엄 레너드, "소크라테스와 유대인" 생각과 사람들 2014

      10 임성훈, "모세스 멘델스존의 미학“용인능력(Billigungsvermögen)” 개념과 칸트 미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1 (81): 199-222, 2015

      11 김수배, "모세스 멘델스존과 균형의 계몽주의" 58 : 151-175, 1999

      12 홍우람, "멘델스존의 유대 계몽주의 –계몽주의와 유대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철학연구소 55 : 69-102, 2019

      13 김희근, "레싱과 멘델스존의 유대인 문제 해결 모색 - 『유대인들』과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국괴테학회 (15) : 175-194, 2003

      14 프란츠 메링, "레싱 전설" 한길사 2005

      15 남기호, "경건한 기만과 건강한 비학문(非學問): 야코비의 「신적인 것들과 그 계시에 관하여」" 철학연구회 (111) : 55-92, 2015

      16 Jacobi, "Über die Lehre des Spinoza. Erweiterung der dritten Auflage,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1998

      17 Jacobi, "Über die Lehre des Spinoza, Erweiterungen der zweiten Auflage,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1998

      18 Jacobi, "Über die Lehre des Spinoza in Briefen an den Herrn Moses Mendelssohn,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1998

      19 Jacobi, "Über die Lehre des Spinoza in Briefen an den Herrn Moses Mendelssohn,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53-91, 1998

      20 Jacobi, "Über die Lehre des Spinoza in Briefen an den Herrn Moses Mendelssohn,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92-118, 1998

      21 Mendelssohn, "Über die Lehre des Spinoza in Briefen an den Herrn Moses Mendelssohn,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171-182, 1998

      22 Scholz, Heinrich, "zu Die Hauptschriften zum Pantheismusstreit zwischen Jacobi und Mendelssohn" Verlag von Reuther &Reichard Ⅸ-CⅩⅩⅨ, 1916

      23 Sommer, Konstanze, "Zwischen Metaphysik und Metaphysikkritik. Heidegger, Schelling und Jacobi" Felix Meiner Verlag 2015

      24 Jacobi, "Wider Mendelssohns Beschuldigungen betreffend die Briefe über die Lehre des Spinoza,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1" Felix Meiner Verlag 1998

      25 Hegel,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Ⅲ, Werke in zwanzig Bänden Bd.20" Suhrkamp 1986

      26 Hegel,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Teil4, Vorlesungen. Ausgewählte Nachschriften und Manuskripte Bd.9" Felix Meiner Verlag 1986

      27 Jacobi, "Von den göttlichen Dingen und ihrer Offenbarung,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3" Felix Meiner Verlag 2000

      28 Spinoza, "Tractatus Theologico-Politicus" H. Künrath 1670

      29 Beiser, Frederick C., "The Fate of Reas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30 Mendelssohn, "Philosophische Gespräche, Ausgewählte Werke Bd.Ⅰ" WBG 2009

      31 Mendelssohn, "Moses Mendelssohn’s gesammelte Schriften Bd.5" F. A. Brockhaus 1844

      32 Mendelssohn, "Morgenstunden oder Vorlesungen über das Daseyn Gottes, Ausgewählte Werke Bd.Ⅱ" WBG 2009

      33 Mendelssohn, "Jerusalem oder religiöse Macht und Judentum, Ausgewählte Werke Bd.Ⅱ" WBG 2009

      34 Sandkaulen, Birgit, "Jacobis Philosophie. Über den Widerspruch zwischen System und Freiheit" Felix Meiner Verlag 2019

      35 Fetzer, Dirk, "Jacobis Philosophie des Unbedingten" Ferdinand Schöningh 2007

      36 Homann, Karl, F. H., "Jacobis Philosophie der Freiheit" Verlag Karl Alber 1973

      37 Christ, Kurt, "Jacobi und Mendelssohn. Eine Analyse des Spinozastreits" Königshausen & Neumann 1988

      38 Jaeschke, Walter, "Jacobi und Kant" Felix Meiner Verlag 175-190, 2021

      39 Sandkaulen, Birgit, "Internationales Jahrbuch des Deutschen Idealismus Bd.11" Walter de Gruyter 169-196, 2016

      40 Frank, Manfred, "Internationales Jahrbuch des Deutschen Idealismus Bd.11" Walter de Gruyter 197-220, 2016

      41 Hegel, "Hegels Theologische Jugendschriften" Minerva 1907

      42 Kriegel, Peter, "Hegel Studien Bd.45" Felix Meiner Verlag 19-34, 2011

      43 Hegel,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Gesammelte Werke Bd.14,1" Felix Meiner Verlag 2009

      44 Sandkaulen, Birgit, "Grund und Ursache. Die Vernunftkritik Jacobis" Wilhelm Fink Verlag 2000

      45 Timm, Hermann, "Friedrich Heinrich Jacobi. Philosoph und Literat der Goethezeit" Vittorio Klostermann 35-84, 1971

      46 Verra, Valerio, "Friedrich Heinrich Jacobi. Philosoph und Literat der Goethezeit" Vittorio Klostermann 259-280, 1971

      47 Götz, Carmen, "Friedrich Heinrich Jacobi im Kontext der Aufklärung" Felix Meiner Verlag 2008

      48 Sandkaulen, Birgit, "Friedrich Heinrich Jacobi" Felix Meiner Verlag 217-237, 2004

      49 Otto, Stephan, "Friedrich Heinrich Jacobi" Felix Meiner Verlag 107-125, 2004

      50 Spinoza, "Ethica, Opera Quotquot Reperta Sunt Bd.Ⅰ" Martin Nijhoff 1914

      51 Spinoza, "Epistolae, Baruch de Spinoza Opera Bd.4" Carl Winter Verlag 1925

      52 Jacobi, "Einige Betrachtungen über den frommen Betrug und über eine Vernunft, welche nicht die Vernunft ist,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5.1" Felix Meiner Verlag 2007

      53 Schneider, Peter-Paul, "Die,Denkbücher ‘Friedrich Heinrich Jacobis" Frommann-Holzboog 1986

      54 Pluder, Valentin, "Die Vermittlung von Idealismus und Realismus in der Klassischen Deutschen Philosophie. Eine Studie zu Jacobi, Kant, Fichte, Schelling und Hegel" Frommann-Holzboog 2013

      55 Hammacher, Klaus, "Die Philosophie Friedrich Heinrich Jacobis" Wilhelm Fink Verlag 1969

      56 Schick, Stefan, "Die Legitimität der Aufklärung. Selbstbestimmung der Vernunft bei Immanuel Kant und Friedrich Heinrich Jacobi" Vittorio Klostermann 2019

      57 Goethe, "Dichtung und Wahrheit. Illustrierte und kommentierte Ausgabe" Hermann Seemann Nachfolger 1903

      58 Bonsiepen, Wolfgang, "Der Begriffder Negativität in den Jenaer Schriften Hegels. Hegel Studien Beiheft Bd.16" Bouvier Verlag 1977

      59 Spinoza, "De Intellectus Emendatione Tractatus, Opera Quotquot Reperta Sunt Bd.Ⅰ" Martin Nijhoff 1914

      60 Jacobi, "David Hume über den Glauben oder Idealismus und Realismus. Ein Gespräch (1787),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2,1" Felix Meiner Verlag 2004-, 1787

      61 Mendelssohn, "Briefwechsel Ⅲ, Gesammelte Schriften Jubiläumsausgabe" Friedrich Frommann Verlag 1977

      62 Dieter, Henrich, "Between Kant and Hegel: Lectures on German Ide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63 Hammacher, Klaus, "Anhang zu Schriften zum Spinozastreit,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1,2" Felix Meiner Verlag 1998

      64 Mendelssohn, "An die Freunde Lessings, Ausgewählte Werke Bd.Ⅱ" WBG 2009

      65 Beiser, Frederick C., "A New History of German Literatur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18-423, 2004

      66 임미원, "<인격성〉의 개념사적 고찰" 한국법철학회 8 (8): 171-192, 2005

      67 폴 아자르, "18세기 유럽의 사상" 에피스테메 2017

      68 안윤기, "18세기 범신론 논쟁: 야코비의 『스피노자의 가르침에 관한 편지들』(1785)" 한국칸트학회 (30) : 17-5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가톨릭철학
      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4 0.85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