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중앙아시아 원조외교와 다자주의 = Japan's Aid Diplomacy towards Central Asia and Multilater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6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자주의에 입각한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원조외교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은 전통적으로 양자외교에 머물러 있던 일본 외교가 다자주의 외교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의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진출 사례에서 한국이 주목해야 할 점은 첫째, 민간기업의 적극적 진출을 장려하기 위한 일본정부의 과감한 차관 제공과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다. 일본정부는 경제협력 펀드(Economic Cooperation Fund)를 통한 저율의 차관을 민간기업에 제공함으로써 진출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 했다. 둘째, 서구기업과 차별화된 일본 민간기업의 진출 전략을 들 수 있다. 즉 서구의 기업들이 “high-risk, high-return” 전략을 추구한 반면, 일본 기업은 “low-risk expectation for steady returns”를 택함으로써 꾸준한 이윤 추구와 낮은 리스크 전략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 적극적인 인도적 차원의 원조가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구축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넷째, 일본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양자관계에 머물지 않고 지역 맹주인 중국과 러시아를 배제한 독자적인 다자대화채널 구축에 성공하였다는 점이다. 이로써 중앙아시아지역 진출의 신참국인 일본이 중·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발판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자주의에 입각한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원조외교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은 전통적으로 양자외교에 머물러 있던 일본 외교...

      본 연구는 다자주의에 입각한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원조외교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일본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은 전통적으로 양자외교에 머물러 있던 일본 외교가 다자주의 외교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의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진출 사례에서 한국이 주목해야 할 점은 첫째, 민간기업의 적극적 진출을 장려하기 위한 일본정부의 과감한 차관 제공과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다. 일본정부는 경제협력 펀드(Economic Cooperation Fund)를 통한 저율의 차관을 민간기업에 제공함으로써 진출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 했다. 둘째, 서구기업과 차별화된 일본 민간기업의 진출 전략을 들 수 있다. 즉 서구의 기업들이 “high-risk, high-return” 전략을 추구한 반면, 일본 기업은 “low-risk expectation for steady returns”를 택함으로써 꾸준한 이윤 추구와 낮은 리스크 전략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 적극적인 인도적 차원의 원조가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구축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넷째, 일본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양자관계에 머물지 않고 지역 맹주인 중국과 러시아를 배제한 독자적인 다자대화채널 구축에 성공하였다는 점이다. 이로써 중앙아시아지역 진출의 신참국인 일본이 중·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발판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Japan's diplomacy based on ‘multilateralism’ and strategies towards Central Asia and Caucasus. Traditionally, Japan's diplomatic concept heavily relied on bilateralism for decades. However, starting with Central Asian and Caucasian states, Japan adopted the new approach in the frame of multilateralism. Four points are taken account with attentions when it concerns to Japan's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policies; First, Japan provides civil companies with credits in order to support them to make inroads to Central Asian and the Caucasian markets.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risk of civil companies, providing low-interest credit through the “Economic Cooperation Fund.” Second, it should be noted that Japanese cooperations adopted the differentiated way from others to enter the region. While most of the Western companies have sought the “hight-risk, high-return” from the very beginning, Japanese ones followed the “low-risk expectation for steady returns” so they could successfully take root in this region than any other competitive companies from the West. Third, in the long run, the active humanitarian aid promo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decisively helped to establish the positive national image in Central Asia and Caucasus. Forth, Japan adopted the new concept of “multilateralism” to make firm relations among Central Asian States. The point is, Japan successfully excluded China and Russia which are the influential states in Central Asia. With such efforts, Japan could assure her determined position as the last participant to the ‘New Great Game’ in Central Asia among influential competitors- Russia and China.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Japan's diplomacy based on ‘multilateralism’ and strategies towards Central Asia and Caucasus. Traditionally, Japan's diplomatic concept heavily relied on bilateralism for decades. However, starting with Central Asian and Cau...

      This study focuses on Japan's diplomacy based on ‘multilateralism’ and strategies towards Central Asia and Caucasus. Traditionally, Japan's diplomatic concept heavily relied on bilateralism for decades. However, starting with Central Asian and Caucasian states, Japan adopted the new approach in the frame of multilateralism. Four points are taken account with attentions when it concerns to Japan's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policies; First, Japan provides civil companies with credits in order to support them to make inroads to Central Asian and the Caucasian markets.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risk of civil companies, providing low-interest credit through the “Economic Cooperation Fund.” Second, it should be noted that Japanese cooperations adopted the differentiated way from others to enter the region. While most of the Western companies have sought the “hight-risk, high-return” from the very beginning, Japanese ones followed the “low-risk expectation for steady returns” so they could successfully take root in this region than any other competitive companies from the West. Third, in the long run, the active humanitarian aid promo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decisively helped to establish the positive national image in Central Asia and Caucasus. Forth, Japan adopted the new concept of “multilateralism” to make firm relations among Central Asian States. The point is, Japan successfully excluded China and Russia which are the influential states in Central Asia. With such efforts, Japan could assure her determined position as the last participant to the ‘New Great Game’ in Central Asia among influential competitors- Russia and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다자주의 부상과 일본외교
      • Ⅲ. 일본의 중앙아시아정책 변화과정
      • 1. 원조외교
      • 2. 새로운 대륙정책의 모색
      • Ⅰ. 서론
      • Ⅱ. 다자주의 부상과 일본외교
      • Ⅲ. 일본의 중앙아시아정책 변화과정
      • 1. 원조외교
      • 2. 새로운 대륙정책의 모색
      • 3. 체계적인 다자주의 접근:CAJ
      •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앙아시아 진출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2 "일본원조외교의 역할과 한계분석 캄보디아 문제를 둘러싼 국제정치역학과 일본" 2005

      3 "일본 외무성, http://www.mofa.go.jp/policy/oda/note/grant-6r.html."

      4 "航空業務にする日本とウズベキスタン共和との間の協定に?する交換公文"

      5 "現代中央アジア硏究. http://www13.plala.or.jp/npo-pie/car"

      6 "日本外務省. 川口外相の中央アジア訪. (http://www.mofa.go.jp.)"

      7 "日本外務省(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http://www.mofa.go.jp"

      8 "日本國際問題硏究所(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http://www.jiia.or.jp"

      9 "日本中央アジア報" 日本中央アジア報 2006

      10 "日本中央アジア(Japan Association for Central Asian Studies)"

      1 "중앙아시아 진출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2 "일본원조외교의 역할과 한계분석 캄보디아 문제를 둘러싼 국제정치역학과 일본" 2005

      3 "일본 외무성, http://www.mofa.go.jp/policy/oda/note/grant-6r.html."

      4 "航空業務にする日本とウズベキスタン共和との間の協定に?する交換公文"

      5 "現代中央アジア硏究. http://www13.plala.or.jp/npo-pie/car"

      6 "日本外務省. 川口外相の中央アジア訪. (http://www.mofa.go.jp.)"

      7 "日本外務省(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http://www.mofa.go.jp"

      8 "日本國際問題硏究所(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http://www.jiia.or.jp"

      9 "日本中央アジア報" 日本中央アジア報 2006

      10 "日本中央アジア(Japan Association for Central Asian Studies)"

      11 "新たな次元へと向かう日本·中央アジア關係" 2005

      12 "中央アジア+日本:對話·外相會合/共同聲明-新時代を迎える日本·中央アジア關係-別" 2004

      13 "中央アジア地域情報. http://www3.aa.tufs.ac.jp/~gisr/casia"

      14 "中央アジアコカサス究所(Central Asia and Caucasus Research Institute). http://cari.727.net"

      15 "中央アジアコカサス地域にするODA 績" 東京: 日本外務省 2004

      16 "中央アジアとコカサス" 2004

      17 "テッドロル中央アジアの石油略は新しいビッグゲムだ/安濃一樹別珠樹" 日本外務省 2005

      18 "http://www.kantei.go.jp/foreign/0731douyukai.html"

      19 "http://web-japan.org/stat/index.html"

      20 "Uzbekistan: Waga Gaiko Kotohajime [Uzbekistan: How I began my work there as a diplomat]" Chuo Koron 1996

      21 "The Theory and Praxis of an Institutional For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22 "The Other End of the Silk Road: Japan‘s Eurasian Initiative" 19-1 : 2000

      23 "President Karimov favors direct trade with Japan" 1997.7.7

      24 "ODA- 央アジアにおける地域協力の現?と未來" 日本外務省 2004

      25 "ODA 2004" Tokyo: Economic Cooperation Bureau"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5

      26 "Nihon no ‘Midoru-pawa’" Gaiko [Japan's "Middle Power" Diplomacy]" Tokyo: Chikuma Shobo 2005

      27 "Nihon Keizai Shimbun" 2001.12.5

      28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5

      29 "Japan's Policy toward Central Asia: Searching Multilateral Approach" 2006

      30 "Japan's ODA 2004" 2004

      31 "Japan and the Caspian Oil" 1 (1): 2004

      32 "Japan Statistics, http://web-japan.org/stat/stats/23ODA32.html"

      33 "Address by Prime Minister Ryutaro Hashimoto to the Japan Association of Corporate Executives" 1997.7.2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