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예술기반 도시재생의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2020 순천 아트페어 ‘사운드 가든 in 순천’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Storytelling Method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e and Arts: An Analysis of Works in the 2020 Suncheon Art F air “Sound Garden in Sun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8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based on a study of storytelling that uses urban cultural contents built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literature review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e and arts. Through research on the city cultural heritage and storytelling centered on symbolic messages, the paper aims to meet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analyzing the creative process and performance programs of music contents. The 2020 Suncheon Art Fair “Sound Garden in Suncheon” program was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research topics.
      In addition, the works were analyzed through storytelling application for performance programs. The storytelling approach was based on images of meditation and nature, and it was used to analyze how auditory elements have produced urban regeneration images in connection with performanc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cultural spaces. By apply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city locality,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will be able to share the context with urban regeneration in the region. In addition,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will be able to share the context with local urban regeneration by connecting music contents to performances and “food therapy” programs. This paper thus proposes the possibility and proliferation of performance programs for urban regeneration by deriving a music content-oriented urban regeneration storytelling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creation and planners.
      번역하기

      This paper is based on a study of storytelling that uses urban cultural contents built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literature review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e and arts. Through research on the city cultural heritage and storytell...

      This paper is based on a study of storytelling that uses urban cultural contents built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literature review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e and arts. Through research on the city cultural heritage and storytelling centered on symbolic messages, the paper aims to meet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analyzing the creative process and performance programs of music contents. The 2020 Suncheon Art Fair “Sound Garden in Suncheon” program was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research topics.
      In addition, the works were analyzed through storytelling application for performance programs. The storytelling approach was based on images of meditation and nature, and it was used to analyze how auditory elements have produced urban regeneration images in connection with performanc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cultural spaces. By apply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city locality,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will be able to share the context with urban regeneration in the region. In addition,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will be able to share the context with local urban regeneration by connecting music contents to performances and “food therapy” programs. This paper thus proposes the possibility and proliferation of performance programs for urban regeneration by deriving a music content-oriented urban regeneration storytelling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creation and plann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바론, "퍼포머의 움직임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악기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15

      2 장영은, "코로나19 극복 울산시민 심리 치유: ‘힐링 프로그램’ 운영"

      3 서병찬, "집중명상(Concentration Meditation:CM)이 심신치유(心身治癒)효과에 미치는 영향 –태국 담마까야(Dhammakaya)사원 명상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34-546, 2020

      4 정진이, "지역스토리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가족뮤지컬 <다노다노>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19) : 273-298, 2020

      5 이무용,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전략" 논형 2006

      6 오경환, "조경공간의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장한기, "저주파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응용"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 (1): 823-827, 2001

      8 Radocy, R. E., "음악 심리학" 시그마플러스 1969

      9 김광욱,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회 (41) : 249-276, 2008

      10 윤다함, "쇠퇴한 구도심, 예술로 되살아나다 ‘2020 순천아트페어"

      1 김바론, "퍼포머의 움직임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악기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15

      2 장영은, "코로나19 극복 울산시민 심리 치유: ‘힐링 프로그램’ 운영"

      3 서병찬, "집중명상(Concentration Meditation:CM)이 심신치유(心身治癒)효과에 미치는 영향 –태국 담마까야(Dhammakaya)사원 명상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34-546, 2020

      4 정진이, "지역스토리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가족뮤지컬 <다노다노>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19) : 273-298, 2020

      5 이무용,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전략" 논형 2006

      6 오경환, "조경공간의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장한기, "저주파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응용"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 (1): 823-827, 2001

      8 Radocy, R. E., "음악 심리학" 시그마플러스 1969

      9 김광욱, "스토리텔링의 개념" 겨레어문학회 (41) : 249-276, 2008

      10 윤다함, "쇠퇴한 구도심, 예술로 되살아나다 ‘2020 순천아트페어"

      11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논형 2015

      12 이희곤, "문화콘텐츠 기반의 도시마케팅 연구 : 용산 미군기지 활용방향에 대한 모색"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9

      13 김예성, "문화주도 도시재생의 지역 개발 효과 -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경제학회 10 (10): 3-21, 2012

      14 민현석,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스토리 발굴 및 스토리텔링 방안" 대한지리학회 2012 (2012): 114-, 2015

      15 조명래,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 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1 (21): 39-65, 2011

      16 박은비,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뉴욕 덤보(DUMBO)와 서울 문래예술창작촌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18

      17 박은비,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사례 비교 연구 : 뉴욕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 (55): 125-135, 2020

      18 이호상,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안동문화권의 지역성을 살린 Community Furniture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3

      19 신현식, "문화관광축제 스토리텔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효석문화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9) : 511-532, 2010

      20 이영범, "문래동 철공_예술 창작촌 사례를 통한 지역재생에서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2 (12): 73-90, 2012

      21 김정민, "명상음악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 오라측정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2

      22 오동구, "도시재생전략으로서의 도시문화마케틴 해외사례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9-128, 2007

      23 계기석,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전략모형의 적용방향 연구 : 부천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175-194, 2010

      24 김새미, "도시재생에서 나타난 문화접근법의 대안: 시민성 회복으로서의 문화 공간" 평화연구소 5 (5): 61-96, 2018

      25 이광득, "도시의 문화적 요인에 근거한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05-114, 2013

      26 임동선, "도시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예술분야이 도시재생 지원정책연구: 네덜란드 Broedplaatsen 정책과 NDSM 지역재생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16

      27 백선혜, "도시계획 개발과정에서 주민참여 시스템으로서 뉴욕시 커뮤니티보드의 운영특성 및시사점 연구" 서울도시연구서울연구원 1-168, 2008

      28 윤지영, "도시 콘텐츠를 스토리텔링하자" 부산발전연구원 (149) : 1-12, 2012

      29 Brahm Ankar, D. A., "The Effect of Resonance on Human Consciousness" (5) : 15-17, 2012

      30 Seymour Chatman, "Story and Discourse" 이야기와 담론 1978

      31 Evans, G., "Measure for Measure: Evaluating the Evidence of Culture’s Contribution to Regeneration" 42 (42): 959-983, 2005

      32 최금화, "AHP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기반도시재생 중요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인천학연구원 1 (1): 81-119,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