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試論 = A Study on the Shape and Use of Women’s Jangs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use and shape of women’s jangs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e literary records and pictorial materials.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from the early Joseon era, those from the late era were referred to as well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First, at the national funerals, all women under the queen of both the royal court and the household of government officials wore bonguk-jangsam, an equivalent to Chinese daesu, as a mourning garment. As the funeral rites and court rituals used to be a conventional part of royal etiquette with rare changes, through the painting of daesu in Gukjosangrye Bopyeon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onguk-jangsam of the early Joseon was confirmed as jangsam with straight collar.
      Second, court ladies used red jangsam for cerements and ornament at funeral. As a rule, ordinary clothes were put on for cerements and a miniature of the dead person’s everyday item was used for ornament. Thus, it was concluded that red jangsam was court ladies’ ordinary garment and its shape was the same as that of bonguk-jangsam.
      Third, red jangsam was put on at the wedding ceremonies of crown princesses and royal relatives. That the material was the same as what was used for court ladies’ jangsam for cerements and ornaments showed that red jangsam for wedding was jangsam with straight collar.
      Fourth, jangsam was also worn by gisaeng, Korean geisha. The black jangsam of the gisaeng presented in Akhakgwebeom was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not bonguk-jangsam. This garment was called mongdueui or mongduri.
      Fifth, court’s maids whose position was lower than sanggung wore bonguk mongdueui, a grade lower garment, at the national funerals. It corresponded to baeja of concubines. Presumably, it was the same shape as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orn by concubines or gisaengs.
      Lastly, women of the household of government officials also wore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The portraits of Princess Gyeongsin(unknown~1426) and lady Hayeon (1376~1453) supported this conclusion, respectively.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as excavated at a tomb of aristocrat’s wife in the 16th century, too. These show that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as used as formal dress or cerements. According to Sangryebiyo, wonsam, mongdueui or jangoja were used as cerements and here,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as mongdueui.
      As discussed above, there were two types of jangs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amely jangsam with straight collar and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and both were formal dress worn for various occasions both while living and after death.
      번역하기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use and shape of women’s jangs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e literary records and pictorial materials.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from the early Joseon era, those from the late era wer...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use and shape of women’s jangs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e literary records and pictorial materials.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from the early Joseon era, those from the late era were referred to as well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First, at the national funerals, all women under the queen of both the royal court and the household of government officials wore bonguk-jangsam, an equivalent to Chinese daesu, as a mourning garment. As the funeral rites and court rituals used to be a conventional part of royal etiquette with rare changes, through the painting of daesu in Gukjosangrye Bopyeon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onguk-jangsam of the early Joseon was confirmed as jangsam with straight collar.
      Second, court ladies used red jangsam for cerements and ornament at funeral. As a rule, ordinary clothes were put on for cerements and a miniature of the dead person’s everyday item was used for ornament. Thus, it was concluded that red jangsam was court ladies’ ordinary garment and its shape was the same as that of bonguk-jangsam.
      Third, red jangsam was put on at the wedding ceremonies of crown princesses and royal relatives. That the material was the same as what was used for court ladies’ jangsam for cerements and ornaments showed that red jangsam for wedding was jangsam with straight collar.
      Fourth, jangsam was also worn by gisaeng, Korean geisha. The black jangsam of the gisaeng presented in Akhakgwebeom was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not bonguk-jangsam. This garment was called mongdueui or mongduri.
      Fifth, court’s maids whose position was lower than sanggung wore bonguk mongdueui, a grade lower garment, at the national funerals. It corresponded to baeja of concubines. Presumably, it was the same shape as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orn by concubines or gisaengs.
      Lastly, women of the household of government officials also wore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The portraits of Princess Gyeongsin(unknown~1426) and lady Hayeon (1376~1453) supported this conclusion, respectively.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as excavated at a tomb of aristocrat’s wife in the 16th century, too. These show that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as used as formal dress or cerements. According to Sangryebiyo, wonsam, mongdueui or jangoja were used as cerements and here,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was mongdueui.
      As discussed above, there were two types of jangs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amely jangsam with straight collar and jangsam with turnback collar, and both were formal dress worn for various occasions both while living and after dea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하여 문헌 기록과 유물, 회화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조속오례서례國朝續五禮序例』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대수大袖’ 도상을 통해 ‘본국장삼本國長衫’이 ‘곧은 깃 장삼’임을 확인하였다. 왕비 이하 내외명부는 국상 때 중국 대수에 해당하는 ‘본국장삼’을 상복喪服인 최복으로 착용하였다.
      둘째, 왕실여성은 상례 때 복완服玩과 습의襲衣에 홍장삼을 사용하였다. 홍장삼은왕실여성이 평상시에 입던 관복으로, 8종의 조선후기 의궤에 제시된 도상을 통해 ‘본국장삼’과 같은 ‘곧은 깃 장삼’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자빈과 군부인의 혼례에 홍장삼을 마련하였는데. 대홍필단 겉감과 남초 안감에 백필단 태수苔袖와 백릉 동정을 사용하였다. 이 재료는 왕실여성의 수의용 복완용 장삼 소재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혼례용 홍장삼 역시 ‘본국장삼’ 즉, 홍색의 ‘곧은 깃 장삼’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악학궤범』의 도설에서 볼 수 있는 여기 흑장삼黑長衫은 ‘젖힌 깃 장삼’이 었다. 16세기 계회도에 보이는 기녀의 황색 옷도 동일한 형태였는데 이 옷을 ‘몽두의蒙頭衣’ 또는 ‘몽두리蒙頭里’라고도 하였다.
      다섯째, 상궁 이하 내인들은 국상 때 중국의 ‘배자背子’에 해당하는 ‘본국몽두의 本國蒙頭衣’를 입었다. ‘본국몽두의’는 장삼으로 기록된 경우도 확인됨에 따라 중첩이나 기녀들이 입는 ‘젖힌 깃 장삼’과 같은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경신공주慶愼公主(미상~1426)와 하연河演(1376~1453) 부인의 초상화를 통해 여말선초에는 높은 신분의 외명부들이 ‘젖힌 깃 장삼’을 예복으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점차 착용자의 신분이 낮아지면서 원삼을 착용하지 않는 여성들 복식으로 착용되다가 결국 기녀들의 복식으로 남게 되었다. 16세기반가 부인 묘에서 염습용으로 사용된 ‘젖힌 깃 장삼’이『상례비요喪禮備要』등의 기록에 보이는 몽두의 몽두리임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하여 문헌 기록과 유물, 회화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조속오례서례國朝續五禮序例』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하여 문헌 기록과 유물, 회화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조속오례서례國朝續五禮序例』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대수大袖’ 도상을 통해 ‘본국장삼本國長衫’이 ‘곧은 깃 장삼’임을 확인하였다. 왕비 이하 내외명부는 국상 때 중국 대수에 해당하는 ‘본국장삼’을 상복喪服인 최복으로 착용하였다.
      둘째, 왕실여성은 상례 때 복완服玩과 습의襲衣에 홍장삼을 사용하였다. 홍장삼은왕실여성이 평상시에 입던 관복으로, 8종의 조선후기 의궤에 제시된 도상을 통해 ‘본국장삼’과 같은 ‘곧은 깃 장삼’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자빈과 군부인의 혼례에 홍장삼을 마련하였는데. 대홍필단 겉감과 남초 안감에 백필단 태수苔袖와 백릉 동정을 사용하였다. 이 재료는 왕실여성의 수의용 복완용 장삼 소재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혼례용 홍장삼 역시 ‘본국장삼’ 즉, 홍색의 ‘곧은 깃 장삼’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악학궤범』의 도설에서 볼 수 있는 여기 흑장삼黑長衫은 ‘젖힌 깃 장삼’이 었다. 16세기 계회도에 보이는 기녀의 황색 옷도 동일한 형태였는데 이 옷을 ‘몽두의蒙頭衣’ 또는 ‘몽두리蒙頭里’라고도 하였다.
      다섯째, 상궁 이하 내인들은 국상 때 중국의 ‘배자背子’에 해당하는 ‘본국몽두의 本國蒙頭衣’를 입었다. ‘본국몽두의’는 장삼으로 기록된 경우도 확인됨에 따라 중첩이나 기녀들이 입는 ‘젖힌 깃 장삼’과 같은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경신공주慶愼公主(미상~1426)와 하연河演(1376~1453) 부인의 초상화를 통해 여말선초에는 높은 신분의 외명부들이 ‘젖힌 깃 장삼’을 예복으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점차 착용자의 신분이 낮아지면서 원삼을 착용하지 않는 여성들 복식으로 착용되다가 결국 기녀들의 복식으로 남게 되었다. 16세기반가 부인 묘에서 염습용으로 사용된 ‘젖힌 깃 장삼’이『상례비요喪禮備要』등의 기록에 보이는 몽두의 몽두리임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돌베개 2009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안동대학교 박물관, "하동 할매들 안동 나들이" 안동대학교 박물관 2014

      5 "태종실록"

      6 서인화, "조선시대 연회도" 민속원 2001

      7 김소현, "조선시대 여인의 장삼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7 (67): 114-132, 2017

      8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한문>)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2 (52): 151-160, 2002

      9 이은주, "조선시대 신부복의 이중구조와 변천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9 (9): 137-151, 2006

      10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궁중행사도Ⅲ" 국립중앙박물관 2012

      1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돌베개 2009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안동대학교 박물관, "하동 할매들 안동 나들이" 안동대학교 박물관 2014

      5 "태종실록"

      6 서인화, "조선시대 연회도" 민속원 2001

      7 김소현, "조선시대 여인의 장삼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7 (67): 114-132, 2017

      8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한문>)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2 (52): 151-160, 2002

      9 이은주, "조선시대 신부복의 이중구조와 변천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9 (9): 137-151, 2006

      10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궁중행사도Ⅲ" 국립중앙박물관 2012

      11 박성실, "조선시대 蒙頭衣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5 (55): 57-72, 2005

      12 "정종실록"

      13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14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 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대학교 박물관 2000

      15 "세종실록"

      16 "세조실록"

      17 "성종실록"

      18 "선조실록"

      19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 "만날수록 정은 깊어지고" 한국국학진흥원 2013

      20 동국대학교 박물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도록"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6

      21 대전시립박물관,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대전시립박물관 2016

      22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2008

      23 "高麗史"

      24 "莊烈王后國葬都監儀軌"

      25 "英祖國葬都監儀軌"

      26 "端懿嬪禮葬都監儀軌"

      27 "甁窩先生文集"

      28 "沙溪全書"

      29 "樂學軌範"

      30 "朱子家禮"

      31 金明淑, "朝鮮時代 妃嬪 長衫 및 繡甫老의 一考察" 한국의류학회 8 (8): 1984

      32 김규영, "朝鮮後期 王女 婚禮服 : 『嘉禮謄錄』을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33 "明聖王后國葬都監儀軌"

      34 "懿仁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35 "家禮輯覽"

      36 "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37 윤진영, "契會圖의 복식연구 자료와 성격"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23 : 2005

      38 "國朝續五禮序例"

      39 "國朝喪禮補編"

      40 "國朝五禮儀"

      41 "四禮便覽"

      42 "喪禮諺解"

      43 "喪禮備要"

      44 "仁顯王后殯殿都監儀軌"

      45 "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46 "仁穆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47 "仁祖長陵遷陵都監儀軌"

      48 "仁敬王后國葬都監儀軌"

      49 "仁宣王后國葬都監儀軌"

      50 "三才圖會"

      51 박가영, "「악학궤범」 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國立國樂院 16 :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