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표는 한국 사회의 종교의 세속화 경향을 확인하고 세속화와 관련한 변화와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그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갤럽의 1997년, 2004년, 2014년, 2021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6039
2022
Korean
종교 ; 세속화 ; 종교적 믿음 ; 종교의 위기 ; 종교인구 ; religion ; secularization ; religious beliefs ; crisis of religion ; religious perso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45-16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표는 한국 사회의 종교의 세속화 경향을 확인하고 세속화와 관련한 변화와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그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갤럽의 1997년, 2004년, 2014년, 2021년 ...
이 연구의 목표는 한국 사회의 종교의 세속화 경향을 확인하고 세속화와 관련한 변화와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그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갤럽의 1997년, 2004년, 2014년, 2021년 자료를 사용하여 대략 한 세대에 해당하는 약 30년 동안 종교적 믿음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그러한 종교적 믿음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종교인구 비율과 종교적 믿음은 서구사회와 마찬가지로 하락하고 있다. 특히 다른 사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크다. 둘째, '기적'에 대한 믿음을 제외한 종교적 믿음과 종교인구 비율이 유사해졌다. 이는 비종교적인 이유로 종교를 믿는 사람들의 비율이 감소한 것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종교인구의 경우도 종교적 믿음이 다소 약화하였다. 셋째, 종교적 믿음 여부에 종교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다. 특히, 무교와 비교했을 때 개신교에서 종교적 믿음이 강한 경향이 있다. 또한, 세속화와 관련이 깊은 교육 수준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종교인구 비율의 감소와 종교적 믿음의 약화라는 관점에서 세속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종교인구 비율의 감소에 비해 종교적 믿음의 약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이를 본격적인 ‘종교의 위기’로 보기는 어렵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서, "한국교회 현황의 사회학적 이해" 35 : 696-724, 1981
2 한완상,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현상과 구조" 대화출판사 1982
3 김근수, "지금, 한국의 종교" 메디치 2017
4 버거, 피터, "종교와 사회" 종로서적 1981
5 김성건, "유럽중심주의와 한국의 종교사회학: 세속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8 (8): 174-206, 2005
6 재영, "세속화와 한국 교회의 성장" 18 (18): 61-86, 1995
7 이철, "세속화 이론과 교회성장" 42 (42): 53-69, 1998
8 이현송, "불분명한 믿음과 미국 사회의 세속화?" 한국사회학회 43 (43): 147-179, 2009
9 윤승용, "동아시아 종교의 근대화과 그 한계: 동아시아의 민중 종교를 중심으로" 43 : 87-121, 2018
10 김지범 ; 김솔이 ; 강정한, "누가 교회에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가는가?" 한국인구학회 40 (40): 103-121, 2017
1 김병서, "한국교회 현황의 사회학적 이해" 35 : 696-724, 1981
2 한완상,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현상과 구조" 대화출판사 1982
3 김근수, "지금, 한국의 종교" 메디치 2017
4 버거, 피터, "종교와 사회" 종로서적 1981
5 김성건, "유럽중심주의와 한국의 종교사회학: 세속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8 (8): 174-206, 2005
6 재영, "세속화와 한국 교회의 성장" 18 (18): 61-86, 1995
7 이철, "세속화 이론과 교회성장" 42 (42): 53-69, 1998
8 이현송, "불분명한 믿음과 미국 사회의 세속화?" 한국사회학회 43 (43): 147-179, 2009
9 윤승용, "동아시아 종교의 근대화과 그 한계: 동아시아의 민중 종교를 중심으로" 43 : 87-121, 2018
10 김지범 ; 김솔이 ; 강정한, "누가 교회에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가는가?" 한국인구학회 40 (40): 103-121, 2017
11 정재영,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 세속화론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17) : 27-57, 2008
12 BBC, "Will Religion Ever Disappear"
13 Hadden, Jeffrey K, "Toward Desacralizing Secularization Theory" 65 (65): 587-611, 1987
14 Wuthnow, Robert, "The ‘Tinkering’ Generation-Religion after the Baby Room" 18 (18): 62-66, 2007
15 Voas, David, "The Rise and Fall of Fuzzy Fidelity in Europe" 25 (25): 155-168, 2009
16 Caplovitz, David, "The Religious Drop-Outs : Apostasy among College Graduates" Sage Publications 1977
17 Greeley, Andrew, "The Protestant Ethic: Time for a Moratorium" 25 (25): 20-33, 1964
18 Berger, Peter L, "The Heretical Imperative : Contemporary Possibilities of Religious Affirmation" Anchor Press 1979
19 Albrecht, Stan L, "Secularization, Higher Education, and Religiosity" 26 (26): 43-58, 1984
20 Berger, Peter L, "Secularization Falsified" 180 : 23-28, 2008
21 Berger, Peter L, "Secularism in Retreat" 46 : 3-12, 1996
22 Weber, Max, "Science as a Vocation" 87 (87): 111-134, 1958
23 Norris, Pippa, "Sacred and Secular : Religion and Politics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4 Hornsby-Smith, Michael P, "Roman Catholic Beliefs in England: Customary Catholicism and Transformations of Religious Author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5 Hastings, Philip K, "Religious Trends among College Students, 1948–79" 60 (60): 517-531, 1981
26 Hayes, Bernadette C, "Religious Independents within Western Industrialized Nations: A Socio-Demographic Profile" 61 (61): 191-207, 2000
27 Finke, Roger, "Religious Economies and Sacred Canopies: Religious Mobilization in American Cities, 1906" 53 (53): 41-49, 1988
28 Smith, Tom W, "Religious Change around the World" NORC/University of Chicago 2009
29 Pew Research Center, "Religious Belief and National Belonging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30 Wall Street Journal, "Religion Is Dying? Don’t Believe It"
31 Stark, Rodney, "On the Incompatibility of Religion and Science: A Survey of American Graduate Students" 3 (3): 3-20, 1963
32 Ferrari, Silvio, "Law and Religion in a Secular World: A European Perspective" 14 (14): 335-370, 2012
33 Gill, Robin, "Is Religious Belief Declining in Britain?" 37 (37): 507-516, 1998
34 Time Magazine, "Is God Dead?"
35 The New Yorker, "If God Is Dead, Your Time Is Everything"
36 Wood, James, "If God Is Dead, Your Time Is Everything"
37 McFarland, Michael J, "Educational Attainment and Religiosity: Exploring Variations by Religious Tradition" 72 (72): 166-188, 2011
38 Thalheimer, Fred, "Continuity and Change in Religiosity: A Study of Academicians" 8 (8): 101-108, 1965
39 Hoge, Dean R, "Commitment on Campus: Changes in Religion and Values over Five Decades" Westminster Press 1974
40 Hastings, Philip K, "Changes in Religion among College Students, 1948 to 1974" 15 (15): 237-249, 1976
41 Smith, Tom W, "Beliefs about God across Time and Countries" NORC/University of Chicago 2012
42 Chung, Byung Joon, "A Reflection on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103 (103): 319-333, 2014
43 Roof, Wade Clark, "A Generation of Seekers : The Spiritual Journey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Harper 1993
44 한국갤럽, "2021년 3·4월 옴니버스 조사" 2021
제임스 피시킨의 숙의민주주의 이론 : 주요 논지와 한계 및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대전은 어떻게 ‘노잼도시’가 되었나 :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연결망으로 본 ‘장소성’ 소비